![]()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뉴스 중국의 해킹. 국제를 넘는다.
페이지 정보

본문
![]() |
![]() |
오늘 한겨레에서 보다가 놀랐습니다. 중국의 해킹이 한국으로 넘어오다니 말입니다. 그것도 박종우 운영자님이 운영하시는 모아조아에서 말입니다. (모아조아는 박종우 운영자님이 현재 운영하고 계시는 채팅사이트, 토론실의 광고적 효과를 내기도함)
솔직히 모아조아가 당했다는 소식 때문에 스크랩하였지만, 그보다 더 앞서 중국이 이제 IT로 한국을 넘어오고 있다는 겁니다. 거대 인력시장인 중국이 물밀듯이 해킹의 풍파가 밀려들어오면, 소수의 인원으로 서버를 운영하는 우리로선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대한 대책으론 예방이 중요하지요. 악성코드로 몰래 침투해서 마비시키는...
한국은 IT 강대국입니다. 서버를 마비시키고 돈으로 협박하는 중국인 해커들에게 질수는 없겠지요. 부디 빠른 복구바라고 앞으로 이 것을 계기로 서버를 돌리는 각 개인이나 단체, 회사의 사이트에선 보안과 관리에 좀더 신경쓰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댓글목록

토돌이님의 댓글
토돌이 작성일
안녕하세요?
동혁님!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저는 지금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대한민국의 인터넷 기술과 보안이 얼마나 취약한지 알게 됐습니다.
이번 일로 한국의 보안기술이 한층 강화되어 중국 인터넷 성장을 통한 재해킹 및 공격을 차단할 방도가 나오길 바라며, 적절한 대응책 마련으로 중소업체들의 피해가 없도록 했으면 하는 소망입니다. 지금까지 중국으로 부터 많은 해커들의 침입이 있어 피해가 컸었지만, 불법 음란 채팅사이트나 게임사이트들이 많아 피해를 숨기고 음지에서 해결했기 때문에 공론화가 늦었던 것이 피해를 더 키우게 된 꼴이 되었습니다. 이젠 중국 해커 조직들이 한국까지 쥐락펴락하는 세상이 되어 인터넷 기술전쟁이 점화되었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으로 중국과 일본 한국의 미묘한 (역사)갈등이 벌어질 때 마다 대 전쟁이 예고 되고 있으며, 한국은 인구수가 중국에 비해 적기 때문에 철저한 보안 기술마련으로 중국과 일본 침입을 막을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이 문제는 어제 SBS 8시뉴스에도 방영되었답니다.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216490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88941.html
동혁님의 한겨레 신문을 통한 시사공부에 찬사와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동혁님! 언제나 신문을 보며 시사를 연구하고 생각하는 멋진 사람이 되세요...
다른 회원님들도 마찬가지구요! 큰 인생공부가 됩니다. 물론, 저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

이얼린님의 댓글
이얼린 작성일
서버관리라는 것이 매우 힘든 일입니다.
우리나라 보안 체계는 매우 허술한 편이기도 하지요. 과거에 우리나라 대학 서버에 백오리피스가 잔뜩 깔려 있어서 도스 공격의 대상이 되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 중형 서버들이 부실한 것은 분명 사실입니다. 방어벽 구축 비용이 많이 들기도 하거니와 전문 인원을 뽑아서 쓴다면 그만큼 유지비용이 많이 들겠지요. 여러 저러한 이유로 인하여 컨텐츠에 더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중국 해커들은 과거에 미국 백악관 사이트까지 해킹한 경험이 있는 우수한 집단입니다. 컴퓨터 해킹 역시 하나의 전략적 기술이며, 우리나라도 양성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손쉽게 국제적인 범죄가 될 수 있는 영역이기도 하지요. 과거 CIH바이러스만 해도 엄청난 피해를 일으켰습니다. 바이러스라는 것은 만들어지고 나서 방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예방을 한다는 것이 그리 쉽지 않습니다. 전문해커들은 그들만의 고유의 전문기술이 있습니다. 공개되지 않은 버그들이나 운영체제의 허점을 찾는 것이지요. 그런 허점을 찾기 위해 하루 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있으니 그들을 이길 수 없겠죠. 특히 예고를 하지 않고 불시에 침투하기 때문에 새벽이나 야간에 은밀하게 로그인해서 로그아웃 파일을 삭제하고 백도어를 설치해 놓으면 아무도 모르게 컴퓨터를 점령할 수 있습니다. 전문 영역인 만큼 전문가가 절실히 필요하지만, 아직 해커로 인해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포털 사이트가 없기 때문에 보안 영역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지요. 그리고 보안을 높일수록 인증절차가 매우 복잡해 집니다. 은행 사이트의 경우 보안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접속하는 방법도 매우 번거롭습니다.
해킹집단이 한 사이트를 공격하면 솔직히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그들이야 말로 최정예 집단이기에 갖가지 방법을 다 사용하지요. 어떤 의미에서는 천재라고 보시면 됩니다. 운영체제에서 허점을 발견한다는 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