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뉴스 박수근선생님의 작품 25억에 낙찰
페이지 정보

본문
박수근 유화 25억에 낙찰…국내 경매 최고가 경신
박수근의 유화 ‘시장의 여인들’(1961년작)이 25억원에 낙찰됐다.
7일 서울 사간동 K옥션(사장 김순응)에서 열린 미술품 경매에서 추정가 20억~30억원에 출품된 박수근의 ‘시장의 여인들’이 25억원에 낙찰되면서 국내 미술품 경매 최고가를 또다시 경신했다. 이번 기록은 근현대미술품 뿐 아니라 고미술품 경매 최고가까지 훌쩍 상회하는 것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간 박수근 작품의 최고가는 지난해 12월 13일 K옥션 경매에서 유화 ‘노상’(13×30㎝,1962년작)이 10억4000만원에 낙찰된 것이 최고가 기록이었다. 또 지금까지 국내 미술품 경매 전체 최고가는 지난해 2월 23일 서울옥션 100회 경매에서 17세기 도자기 ‘철화백자운룡문호’가 16억2000만원에 팔린 것이 가장 높은 가격. 이로써 이번 박수근 낙찰가는 고미술, 현대미술을 아우르며 전체 최고가 기록을 단박에 갈아치운 셈이다.
가로 62.4㎝, 세로 24.9㎝(변형 15호)의 가로로 긴 화폭에 여인 12명이 시장에 서거나 앉아 있는 이 작품은 박수근 특유의 거칠거칠한 화강암 질감이 잘 살아 있는 작품으로 평가돼왔다. 또 박수근 그림 중 인물이 가장 많이 등장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 그림은 1965년 박수근의 타계 직전, 로널드 존스라는 한 미군이 박 화백의 다른 소품과 함께 320달러에 구입했던 작품이다. 존스(현재 66세) 씨는 40년간 그림을 소장하다 2년 전 한국인에게 팔아 서울로 돌아오게 됐다.
--------------------
이 기사에 많은 악플들이 있더군요
대다수 사람들이 이해가 안간다고 하고 또한 예술에 돈쓰는것을 사치로 여기는 사람들과
차라리 불우이웃을 도와라 라는 글들이 많이보이더군요
저 개인적으로는 예술은 인간만이 즐길수 있는 특권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리 생활에 보이지 않게
미술과 밀접해 있습니다 .. 그래서 저는 예술을 좋아합니다 ^^
그리고 박수근선생님은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분들중에 한분이기에
당연히 고가로 생각합니다
댓글목록

MosDef님의 댓글
MosDef 작성일
예술에 돈쓰지말고 불우이웃을 도와라,,,,
마치 대통령선거비로 불우이웃을 도와라, 월드컵개최할 돈으로 불우이웃을
도와라,,, 뭐,, 어쩌라는 건지?
이런글들은 네티즌들이 별 생각없이 남긴 글이라 생각하고 넘어가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서희님의 댓글
서희 작성일
예술은 사회발전에 밑 바탕입니다... 신석기시대 비너스상 아십니까? 다산 풍요를 기원하는 상입니다.
아마 국사시간에 배우셨을것입니다. 이게 그 시대의 이동 생활을했냐 안했냐 기준이 되는 중요한 물건이죠..
예술은 하나하나가 그사람의 마음이들어있고 그렇기 떄문에 그 그림에는 하나하나 중요한 사회적 정보도 들어가게
마련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만약 저 그림이 그림으로서의 가치가 아니고 우리가 옛날을 되돌아볼수있는
그림자료라면 거기에대한 가치는 25억이 아닌 가격이 없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소딘님의 댓글
소딘 작성일본인이 원해서... 그에 대한 25억원이라는..일반인이 평생 만질수없는 금액을 지불하는것은 본인의 자유입니다. 즉 위에 님 처럼 무슨 역사적 가치가 없다 하더라도 구매자가 그 돈을 위법행위로 얻어서 구매한것이 아닌이상 왜 그점에 관해서 그리 불평들을 하시는지 이해할수 없군요. 물론 저도 배아프기는 하군요 ㅡㅡ

파렌하잇님의 댓글
파렌하잇 작성일"사돈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MosDef님의 댓글
MosDef 작성일
25억이란 액수도 그렇고 저건 배가 아플 문제조차 아닌것 같은데요,,ㅋ
배가 아픈건 사돈이 갑자기 횡재를 했을때 그런거지 저건 그런 종류의
일이 아닌데 배아플 일도 아니죠. 뜬금없이 빌게이츠보고 배아프다고
하는 것과 같은 일 아닐까요,,
원래 돈많았던 사람이 원래 존재하던 류의 소비를 한게 단지 뉴스로
나왔을뿐인데 지금와서 배아프다니,,,

Life님의 댓글
Life 작성일자기만의 생각하는 가치에 따라 다른거겠죠 뭐 ㅎㅎ 내가 어떤물건에 가치가 잇다고생각하면 그 만큼들어가는 비용을 아깝지 않게 생각하는거겠죠~

소딘님의 댓글
소딘 작성일...........배가아픈이유는... 당연히 25억원이란 일반인은 평생 한번에 만져볼수 없는돈을 자신의 취미생활로 그 돈을 지불한다는게 배가아프구려솔직히 부러운걸 어쩌겠소?....

콘쵸코님의 댓글
콘쵸코 작성일
훌륭한 작가의 예술 작품엗 대해서 어느 정도 작품성을 인정해 주고 거기에 대해서 가치평가를 하는 것은 나쁘다고 보지 않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대해새 금전적인 측면에서 평가하는 것도 나쁘다고 보지 않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 부정적인 면이 있습니다. 일단을 평가를 돈으로 한 이상 작품에 대해서 진정한 의미를 찾기보다 액수로 그 작품을 평가하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단 상품 거래에서 보듯이 거품이 생길 우려도 있습니다.
이런 점들은 작품 보다는 작품이 얼마다 하는 식의 흥미만 대중들에게 인상을 남길 것이라 생각됩니다.
문제는 이런 작품에 대한 경매에 대해서 어떻게 제재가 필요한가 인데.. 이 부분이 민감하다고 생각된다.
경매를 통해 작품의 가치에 대해서 평가하는 것인데 이를 가지고 무엇이라 하기도 그렇고 말이다..
암튼 한국 작품들이 평가를 받는 것은 반가운 현상이지만, 그 액수 만큼 작가의 작품에 대한 진정한 의미도
함께 느껴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