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뉴스 Re..피할수 없는 빚이라면…신용카드 대출 단계서 막아라
페이지 정보

본문
인터넷 항해 중에 퍼 온 글입니다. 양해 바람니다.
지하철을 타고 가다 보면, 대출 광고가 많은데 학생들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 퍼 온 글 )--------------------------------------
[빚 권하는 한국사회] 피할수 없는 빚이라면…신용카드 대출 단계서 막아라
동아일보 | 기사입력 2007-06-09 03:45
악착같은 대부업체나 사채업자와의 ‘쩐의 전쟁’에서 서민들은 승리할 수 있을까?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진정한 승리. 불필요한 빚은 절대 내지 않는 게 우선이다.
도저히 피할 수 없는 빚이라면 대출 과정에서 거듭 신중하게 생각하고, 이후에도 꼼꼼하게 관리해야 한다.
▽대출은 계획적으로 하라=대부업체 광고 끄트머리에는 역설적으로 “대출은 계획적으로”라는 말이 나온다. 그러나
말만큼 쉬운 게 아니다. 전문가들은 급전이 필요할 때 직장 내 대출을 먼저 알아보고 다음으로 주거래 은행, 외국계
은행, 카드사, 캐피털업체, 상호저축은행 순으로 방문하라고 권한다.
미리 빌릴 금액을 정해서 초과대출을 받지 않아야 한다. 대출 상담원이나 모집인들은 종종 “신용도가 좋으니 더 빌려
라” “연봉의 2배까지 가능하다”고 권유한다. 이런 말에 넘어가면 빚이 쉽게 늘어난다.
▽달콤한 속삭임, 쓴 결과=인터넷 검색 창에 ‘대출’이라는 단어를 치면 수십 개의 대출전문 사이트가 나온다. 이 중
에는 대출을 중개해 주는 이른바 ‘에이전시’들이 있다. 이들은 “원래 (대출이) 안 되는데 내가 연결하면 가능하다
”며 수수료 명목으로 대출금의 10% 정도를 요구한다.
다른 금융기관에서 수수료 한 푼 들이지 않고 돈을 빌릴 수 있는데도 이런 유혹에 속아 수수료를 치르기도 한다. ‘무
이자 1개월’ ‘신용불량자도 저리 대출 가능’이라는 달콤한 안내도 실상은 ‘악마의 속삭임’인 경우가 많다.
▽신용카드 단계에서 멈춰라=‘은행→신용카드→대부업체→사채’. 이는 빚이 악성으로 치닫는 과정이다. 전문가들은
특히 신용카드 단계에서 부채 관리를 잘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사채 이용자 중 상당수가 신용카드로 대출을 받은 뒤 이른바 ‘돌려 막기’를 거쳤기 때문이다. 한국여신금융협회는
신용카드 빚 단계에서 카드사의 다양한 제도를 이용하라고 권한다.
대표적인 것인 리볼빙 서비스. 이는 신용카드 사용대금(대출금)의 일정 비율만 갚고 나머지는 리볼빙 구좌에 넣어 두
는 방식이다. 이번 달에 100만 원을 갚아야 한다면 10만 원만 내고 나머지 90만 원은 리볼빙 형태로 두는 것. 리볼빙
한 금액의 이자율은 18∼20%로 연체이자율(통상 21∼29%)보다 낮다. 또 리볼빙을 이용하면 연체를 피하게 되므로 신용
이 나빠지지 않는다.
카드사에 요청해 빚을 분할 상환하는 ‘할부전환’이나, 은행 잔액 내에서만 쓸 수 있는 체크카드를 이용하는 것도 괜
찮다.
▽빚을 관리하라=자신의 아파트 담보대출 이자율이 얼마인지, 마이너스 통장 이자율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자신의 대출이 어느 기관에 얼마나 있는지는 물론이고 이자율과 상환기한 등을 자세히 파악해야 한다.
그래야만 불필요한 지출을 막을 수 있다.
▽법의 보호를 받아라=빚 때문에 극한 상황에 놓였다면 법에 호소하는 것이 빠르다. 등록되지 않은 대부업체는 모두
불법이다. 일수업자는 대부분 미등록 영업자다. 채권추심 과정에서 물건을 빼앗기거나 집 안에 강제로 들어오는 것도
불법행위다. 압류는 법원 집행관만 할 수 있다. 물론 신체포기 각서도 무효다.
이성호 기자 starsky@donga.com
이은우 기자 libra@donga.com
내 손안의 뉴스 동아 모바일 401 + 네이트, 매직n, ez-i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빚 권하는 한국사회] 대부업체 들춰보니…사채시장 단골은 20, 30代
동아일보 | 기사입력 2007-06-09 03:45
[동아일보]
2002년 10월 대부업이 양성화된 직후 2만9000여 개에 이르던 업체는 올해 초 1만7000여 개로 줄었다.
숫자만 놓고 봐서는 대부업 시장이 후퇴한 것처럼 보인다. 재정경제부가 올해 초 등록업체 4770개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도 총대부잔액은 5조2000억 원으로 업체당 평균 11억 원 정도다. 대부업 양성화 직후인 2003년 4월 평균 대
부잔액 21억 원의 절반 수준이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전문가와 대부업 관계자들은 오히려 평범한 생활인들의 이용률 증가로 인한 대부업의 양극화를
원인으로 꼽고 있다.
신분이나 수입이 확실한 직장인이나 자영업자들이 합법적인 대부업체로 몰리는 반면 생활이 불안정한 사람들은 실태
파악이 어려운 영세 대부업체나 불법 사채시장으로 떠밀려 가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이 2006년 11월부터 3개월간 사금융 이용자 5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0, 30대 이용자가
76%에 이르렀다. 2005년에는 68%였고, 특히 여성은 20대 이용자가 무려 49.5%로 절반에 육박했다.
또 대졸 이상이 58%로, 과거 2004년 40%, 2005년 47% 등의 수치와 비교하면 고학력자가 사금융의 주 고객으로 확실히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다. 고정수입이 있는 회사원(52%)도 절반을 넘어서는 등 매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인다.
하지만 연 200%에 가까운 고금리는 물론 감금 협박 등 불법 채권추심 행위는 여전하다.
자영업자인 A(서울 중랑구) 씨는 2006년 2월 등록 대부업체에서 연 166%라는 고금리에 500만 원을 빌렸다가 연체하자
대부업자에게서 “몸을 팔아서라도 갚으라”는 폭언과 욕설을 들었다.
주부 B(경기 고양시) 씨는 5월 하순 집으로 불쑥 찾아온 일본계 대형 대부업체 직원에게서 “남편 빚을 대신 갚으라”
는 요구와 함께 뺨을 맞는 수모를 겪었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대출 경매사이트까지 등장했다.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해당 사이트에 액수와 자신의 신용정보
를 올리면 돈을 가진 사람들이 이자율을 제시해 낙찰되는 시스템이다.
얼핏 보면 개인 간 돈거래 같지만 사실상 경매사이트가 대신 돈을 지급하고 보증하는 식이다. 이들 업체는 회원 가입
때 신용카드 번호까지 요구하는 사례가 많아 신용정보 유출 위험이 크고, 피해가 생겼을 때 구제 방법도 없는 실정이
다.
민주노동당 경제민주화운동본부 송태경 정책실장은 “고리대금업을 합법화한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할 것”이라며 “
등록업체들도 부실한 관리감독 아래 각종 불법 및 탈법 행위를 자행하고 있고 무등록업체는 더욱 심각하다”고 지적했
다.
이성호 기자 starsky@donga.com
내 손안의 뉴스 동아 모바일 401 + 네이트, 매직n, ez-i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