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생활 직업에 따른 임금 격차는 정당한가?
페이지 정보

본문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고 합니다. 이 말은 어느 일이든지 다 소중하고, 그 가치를 인정받아야 한다는 것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에는 분명히 직업에 귀천이 있습니다. 명문대를 나와 좋은 직업, 예를 들어 의사, 교수, 변호사, 정치인 등은 우리 사회에서 좋은 대우를 받으며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많은 임금을 받으며, 우리 사회에 유리한 지위를 차지하고, 많은 것을 누리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사법고시에 합격하면 우리 사회의 온갖 부와 명예를 한 몸에 받기도 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필사적으로 고시에 매달리기도 합니다.
반면 3D 업종이라 불리는 더럽고, 힘들고, 위험한 일은 서로 기피하기 때문에 일손이 모자라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이런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대해 하찮게 생각하거나, 낮은 임금을 주게 됨으로써 당연히 하지 않으려 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이들은 우리 사회에서 못 갖고, 좋은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들은 자신들의 모든 것을 다 받쳐 자식을 가르치고, 그래서 좋은 직업을 갖게 하려고 합니다. 온 나라가 과외 열풍, 교육 열풍으로 소란스러운 것도 이 때문입니다.
그러나 과연 의사의 일은 환경 미화원보다 소중할까요?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고, 생명을 살리는 일은 정말 소중합니다. 그러나 환경 미화원 아저씨가 거리를 깨끗이 청소하지 아니하고, 산더미 같은 쓰레기들을 수거해 가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과연 환경 미화원 아저씨보다 의사가 더 필요한 직업일까요? 그래서 그는 환경 미화원보다 10배의 노력의 가치가 있는 일을 해서 10배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것일까요?

1. 의사와 환경 미화원의 현재와 같은 임금 격차는 당연한 것인가?
2. 많은 돈을 버는 직업은 돈을 적게 버는 직업보다 더 소중한가?
3. 의사가 환경 미화원이나 운전사보다 돈을 더 많이 벌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 일의 가치나 소중함을 가르는 기준은 무엇인가?
5. 현재 상태의 직업에 따른 귀천 및 임금 격차 기준은 바른가?
6. 부와 명예는 우리 사회에 대한 기여도에 따라 나누어져야 할까요?
아니면 그것을 획득하는 데 더 많은 투자와 노력을 하는 것에 따라 주어져야 할까요?
7. 시내버스 운전사와 변호사 중 누가 우리 사회에 더 많은 공헌을 할까요?
댓글목록

한말씀님의 댓글
한말씀 작성일
A라는 회사는 10명을 고용하여, 각각 제품을 한사람당 하나씩 만들어 10개를 만들었습니다.
B라는 회사는 10명을 고용하여, 1명이 10개의 제품의 1/10씩 만들어 10개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B라는 회사는 생산성이 늘어, 같은 노력에 같은 시간에 15개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같은 노력으로 B라는 회사사장이 A라는 회사사장보다 더 많이 돈을 벌었습니다.
이것이 자유경제체제입니다.
모든 행위가 동일한 값어치를 갖고 있지는 않습니다.

일리아님의 댓글
일리아 작성일
직업에는 귀천이 없습니다. 단지 그 직업을 받아들이는 사회의 태도가 문제이지요 .
일반적인 사회의 태도가 변호사는 열심히 공부한사람, 환경미화부는 노닥거린 사람 이지만 .
만약 변호사 못지않게 열심히 환경미화부에대한 일을 공부한 사람이있다면
그 사람은 환경미화의 일을 타인들에 비할수없을정도로
잘이해하고 실행할수 있게 될것이고 이는 변호사못지않는 가치를 같게되는것입니다.
저는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고 생각하며
단지 차이가 있는것은 자신의 직업에 얼마나 많은 투자를 했느냐에
그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면에있어 저는 직업에따른 임금 보다 각직업별 개개인의 실력에따른
봉급지급이 더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직업별 실력순위에따른 봉급지급, 물론 그 사람의 능률을 어떻게 계산할수있는지가 가장큰 문제이다.)

Jaewon님의 댓글
Jaewon 작성일
상대적평등 VS 절대적평등
돈을 벌고 못버는건 개인의 능력차
그것까지 국가에서 해준다면 그건 공산주의사회겟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