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학교 한국의 교육열, 이대로 좋은가?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인의 교육열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한국 학부모들의 높은 교육열은 한국 국민의 최대의 관심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교육열의 예를 들자면, 신문이나 뉴스를 통한 외국 유명 대학의 수석 졸업 등을 다루는 기사에서 접하게 되는 내용이 있다. 자녀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예나 지금이나 지대한 관심사지만,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높은 교육열로 인해 학부모들이 엄청난 교육비를 지출하는 것은 일상적인 일이 되었으며,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그렇다면 이런 높은 교육열의 발생원인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가장 먼저 학력을 중시하는 우리 사회의 문화풍조를 들 수 있겠다. 고학력 우대 현상으로 학력간 임금차이, 학력에 따른 차별적인 고용 등 때문에 학생들은 고학력을 얻기 위하여 서로 치열한 경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우리 사회의 풍조는 높은 교육열 뿐만 아니라 최근 가장 사회적 이슈가 되고있는 학력위조 사건도 더불어 불러오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또, 대입경쟁이 치열해지는 것과 입시위주의 교육이 과외를 발생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가족 이기주의의 만연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겠다. 우리나라 학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교육열은 계층을 막론하고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교육을 위한 비용을 아끼지 않으려는 의향은 고소득층일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토록 뜨거운 교육열과 치열한 교육경쟁의 이유는 어느 대학을 가느냐가 곧 성공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통념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높은 교육열은 잘못된 교육제도 아래에서 교육받고 자라난 한국 학생들에게 여러 문제를 가져온다. 뚜렷한 목적의식 없이 학벌을 위한 대학 진학과 이를 위한 치열한 입시제도, 그로부터 인성교육이 뒷전이 되는 것이 장차 한국을 이끌어 나갈 학생들의 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가 심각하다. 또 이러한 교육현실 속에서 심심치 않게 성적을 비관하여 자살하는 학생들도 나오고 있다. 성적, 오로지 공부 때문에 자신의 목숨까지 버리다니......납득하기 어렵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문제가 있으면 반드시 해결해야하는 법이다. 지금의 교육제도가 문제가 있다면 그 문제의 해결 방향을 찾고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선 학력, 학벌 만능주의 사회의 의식구조를 깨뜨려야 한다. 이를 위해선 실천운동 캠페인이나 토론회 등을 지속적으로 열고 국가 차원에서는 법과 제도의 정비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를 바로 잡아야 한다. 현재의 수능을 바탕으로 한 입시제도가 아닌 대학에서 좀 더 다양한 학생선발기준을 마련하여 적용한다면 현재의 입시교육이 조금은 개선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도 대한민국의 입시위주 교육하에 있는 고등학생으로서 우리는 입시위주의 교육을 겪고 있더라도 앞으로의 아이들에게는 입시위주의 교육이 아닌 다양한 개인의 개성과 특성을 계발할 수 있는 학교교육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댓글목록

한말씀님의 댓글
한말씀 작성일우리나라 사회가 요구하는 것은 일류대를 좋은 성적으로 졸업해서 말잘듣는 사람이지, 개인의 개성과 특성이 있고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갖춘 사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임미혜님의 댓글
임미혜 작성일
《Re》한말씀 님 ,
저는 한말씀님의 의견에 반박합니다. 우리사회가 아무리 부패했다고 하더라도 일류대를 요구하는 이유가 그사람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이시대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갖춘 사람이 뜨고 있습니다. 발명이라는 단어는 이시대에선 요구하지 않습니까?

조수정님의 댓글
조수정 작성일
우리 모두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입시 전쟁 등을 겪지 않길 바라고 있지만
지금 눈 앞의 현실과 우리 사회가 고학력 즉 일류 명문대를 원하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이런 현실이 언제 바뀔지는 미지수 일지 모릅니다.
대학은 고학력을 원하더라도 우리 사회는 점점 창의력과 개인의 개성을 중요시 하고 있으므로
언젠가는 우리 모두가 원하는 교육, 또한 그러한 사회가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싫싫이님의 댓글
싫싫이 작성일높은 인구밀도가 교육열의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개발된 국가중 일구밀도 순위가 홍콩, 대만 다음이 한국이고 대만은 한국못지않게 교육열이 높고 사교육시장이 크죠. 먹을 게 없으면 경쟁이 치열해지고 그래서 학벌이 중요할 수 밖에 없고 교육열이 높아지는 겁니다. 문화풍조를 비판하는 건 별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