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기타 중국산 수입 과연 옳은가?
페이지 정보

본문
가전업계···"中 짝퉁과의 전쟁" ,
중국산 유아용 침대, 사망사고로 리콜 ,
발암물질 든 중국술 버젓이 유통
중국산은 폐기 처분 상품 이라는 말이 은연중에 나오고 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
근본적인 이유는 상품의 질이 낮습니다. 즉 국산보다 가격이 낮은 것에 따라
낮은 가격의 원재료를 사용하는 거죠.
그리고 안전성의 불확신 있습니다. '중국산 갈비탕', '중국 가짜계란',
'중국산 꽃게의 표백제 검출' 속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중국산을 안좋은 시점으로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최근 미국과 한국등 대부분의 나라에서 중국산을 수입하지 말자는 불매 운동까지
나오고 있는 이유가 바로 이점에 있습니다.
저는 이점을 고려해 볼때 중국산 수입을 반대하는 바입니다.
댓글목록

김민강님님의 댓글
김민강님 작성일한 사례를 들면 문구점에가서 맘에 드는 샤프를 사서 써보니 샤프심이 뚝뚝 부러져서 '무슨 일이지?' 하고 '어디서 만든 제품일까?' 라고 생각하고 제조국가를 살펴보면 MADE IN CHINA 라고 쓰여있는... 이런 경험들 한 번 쯤은 해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사소한 것들 조차도 물품이 흐지부지 한 데 어떻게 MP3, 전자사전, 그 밖의 물품들 MADE IN CHINA라고 적혀있는 물품들을 어떻게 믿고 사겠습니까? 저는 이 점을 고려해 볼 때 중국산 수입을 반대하는 바입니다.

발언자님의 댓글의 댓글
발언자 작성일하지만 요즘 중국에서 아이팟 짝퉁이 나왔는데 삼성메모리를 중국에서 싸게 구입해 좋은 평가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구입자들도 좋은 평가를 주고 있구요. 이런 사례를 들어보면 중국의 제품이 모두 나쁜것이 아니고 이런 아이팟에 변화에 따라 중국의 모든 제품들이 변화될 가능성도 보입니다.

임미혜님의 댓글의 댓글
임미혜 작성일요즘 뉴스에 중국의 제품이 변화한다는 뉴스보도 보다는 여전히 짝퉁과의 전쟁, 중국의 안전성의 위협에 관련된 뉴스가 더 많이 보도 됩니다. 이점을 고려해 볼때 아이팟의 변화가 중국의 모든 제품을 변화 시켜준다는 가능성은 확 줄어 듭니다.

김민강님님의 댓글의 댓글
김민강님 작성일
발언자님께 말씀드리겠습니다. 아이팟 짝퉁은 한국에서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대부분의 아이팟 짝퉁이 2만원 ~ 5만원사이에서 경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http://blog.naver.com/hamsserRedirect=Log&logNo=80041315297
실제로 이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구매자의 평이 괜찮게 씌여져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해보십시오. 싸니까. 괜찮다니까. 해서 하나 둘 씩 중국산 제품을 산다고 생각해보세요. 결국 우리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YEPP , COWON , I RIVER 등의 상품들은 중국에서 만들어져서 판매되는 짝퉁 때문에 망하게 되는 경우도 생기지 않을까 싶습니다.

발언자님의 댓글
발언자 작성일
중국제품이 안좋은 이유가 원재료값이 싸다고 했는데, 그에 따라 그 제품의 가격도 아주 낮아져요.
우리가 중국 제품을 살때 가격이 낮은 대신 제품이 안좋다는 것을 감안 해서 삽니다.
그리고 미국과 한국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중국 불매운동을 시작했는데요, 미국이 중국 불매 운동을 일주일간 해본 결과 살 제품이 없었다는 거예요. 그정도로 중국 제품은 모든 나라에 영향을 주고 있고, 중국 제품이 없어진다면 많은 불편함이 생길거예요. 그런점에서 저는 중국산 수입을 찬성하는 바입니다.

임미혜님의 댓글의 댓글
임미혜 작성일하지만 중국제품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가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품질이구요 다른 하나는 안전성입니다. 중국산 계란이지만 싸다고 샀는데 그계란이 가짜 계란일 경우, 중국산 꽃게에 표백제가 검출 됬다는 경우, 우리는 알게모르게 중국산으로 인해 우리의 안전성에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과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불매운동을 시작하는 것이구요, 중국제품이 사라져 불편함이 생기더라도 우리는 우리를 위협하고 있는 중국제품을 사서는 안됩니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중국제품에 발암물질이 들어있을지도 모르니까요.

정진님의 댓글의 댓글
정진 작성일
제가 사회적인, 국제적인 관계나 그런것은 잘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그냥 딱 봤을 때 임미혜님께 하고 싶은 말은 중국제품이 나쁘다고 생각하시면 쓰지 않으면 됩니다. 제품살 때 중국산이라고 씌여있으면 안사면 되는 것입니다.
제 생각에는 중국산이라고 표기 되어있지 않은 것이 많고, 중국산이라고 속여파는 것이 많아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니 수입을 금하자고 하는 게 더 옳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무작정 중국산 수입을 금하자는 것은 단지 개인이 중국산이 싫어서 금지하자는 것 밖에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중국산이 나쁘면 중국산 안쓰면 되는 것이죠. 품질 낮아도 가격이 그에 맞춰 낮으니까, 경제적으로 사정이 나쁜 사람은 중국산을 쓰는 겁니다.

임미혜님의 댓글의 댓글
임미혜 작성일제가 중국수입을 반대하는 이유는 제품에 불량품이 많고 안전성에 위협을 받고 있으므로 반성을 하자는 것입니다. 중국은 아직 발전할 나라입니다. 발전중인 나라가 저품질의 제품을 계속 계발하고 우리가 계속 수입한다면 그 나라는 지속적으로 저품질의 제품을 만들어 낼것입니다. 중국은 전세계나라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인권값이 낮은 중국의 인권력을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가야 전세계가 좋은 영향을 받을수 있을것입니다.

고요한파도님의 댓글
고요한파도 작성일
중국과 우리나라의 무역 규모가 미국보다 크다는 사실을 인지 하시고 이런글을 올리신것이지 한번 물어 보고 싶습니다. 중국의 재품 상당수가 질이 낫다는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글을 쓰신분말처럼 우리가 중국상품을 수입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미국보다 더 큰 규모의 거대 시장을 잃고 우리나라는 파산하게 될것입니다.
중국 상품중에서 싸고 좋은것 또한 상당부분 많이 있습니다. 한 예로 세계 유명 메이커의 생산 공장들이 대부분 중국에 있다는 점을 인지 하시고 중국 생산 산업의 잠재적 능력을 아시기를 바랍니다. 우리나라가 불과 10-20년 전까지먼 해도 짝퉁의 천국이엇다는점을 또한 인지 하시기를 바랍니다.
가장 큰 문제는 우리 수입업체들에게 있습니다. 충분히 중국의 저가의 품질이 우수한 재품을 수입할수 있음에도 더 싸게 사서 비싸게 필아 이득을 챙길려고 하는, 국민의 건강에는 무관심한 수입상들에게 책임을 지워야 함에도 불구 하고 단지 중국에게 그 모든 책임을 지울려고 하는것은 무책임한 민족 이기주의인것 같아서 저 또한 민족주의적 셩걱을 가지고 있지만 상당히 씁쓸한 부분인것 같습니다.
중국은 20년전 부터 인공위성을 자체 기술로 제작 발사까지 할수 있으며 얼마전 뉴스에 보니 세계최초의 핵 융합 발전 시설을 개발햇다고 하더군요.. 중국의 크래커들은 전 세계의 통신망을 마비상태로 만들정도의 인원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점 아시기를 바랍니다. 어떤 면에서 중국은 우리나라의 과학 기술을 휠씬 뛰어넘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이 우리보다 못 산다고 그들을 비하하는것은 우리 스스로를 자멸로 몰고 가는 행동입니다.
우위는 영원히 존재하는것이 아닙니다. 노력 여하에 의해 변화하는것이 우위입니다.
이런글을 쓰는 이유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중국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고 그들에 기술력이라던지 모든것을 무시하는것 같아서 이렇게 중국에 대해서 바로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서 글을 남깁니다.

정진님의 댓글의 댓글
정진 작성일
저도 고요한파도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임미혜님의 댓글의 댓글
임미혜 작성일중국제품이 모두가 저제품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훌륭한 것도 많습니다. 하지만 중국제품 상당수가 불량품입니다. 우리가 계속 이런점을 묻어둔체 중국산을 쓴다면 중국의 생산자들은 더욱 낮은 제품들을 만들어 낼 것입니다. 우리가 '메이드인 차이나 없이 살아보자'를 한다면 생산자들은 반성하고 질좋은 제품을 생산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무리 수입업체들만이 뉘우치고 수입을 안한다 해도 중국의 생산자들이 고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사람이 아니라해도 또다른 피해자가 나올 것입니다.

최소희님의 댓글
최소희 작성일특정한 나라의 수입품들이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모든 물품에는 당연히 인간상에 실수로 안전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중국 수입품들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는 것은 그 만큼 우리나라가 수입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고 그 물품에 비례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물품이 나오는 것입니다. 역으로 생각해본다면 "우리와 무역이 빈번하지 않는 덴마크같은 나라의 물품들이 안전하지 못하다" 라는 말이 부제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임미혜님의 댓글의 댓글
임미혜 작성일그건 실수가 아닙니다. 가짜계란을 예를 든다면 그것은 실수가 아닙니다. 고의적으로, 돈이 적게 들어 구매자들의 알권리에 위협을 주고 있는 거죠, 덴마크는 우리나라와 무역을 많이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무역을 중국만큼이나 많이 한 미국과 무역을 하면서 꽃게속에 표백제 검출, 가짜계란이라는 뉴스 보도를 들어 본적이 있습니까? 대부분의 중국제품들은 안전성을 고려하기 보다는 돈을 먼저 고려하는 것 같습니다.

삼무님의 댓글
삼무 작성일
무역을 해야 먹고 삽니다!
일부 불량제품에 대한 검역이나 품질검사만 제대로 하면 됩니다!
그리고 무분별한 중국 공장진출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임미혜님의 댓글의 댓글
임미혜 작성일당연합니다. 우리는 중국과 무역을 해야만 하고 전세계나라들도 무역을 해야합니다. 중국은 세계무역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미래에도 미칠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은 그에 대한 반성을 해야합니다. 무조건 중국이 잘못했다는 생각은 아닙니다. 하지만 자신의 나라의 이름을 걸고 하는 데도 불구하고, 그렇게 소홀히 하는 행동에 대해서도 반성을 해야할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중국 수입을 반대합니다.

신이내린인간님의 댓글
신이내린인간 작성일
제가 임미혜님의 말을 종합해 보면 중국이 반성해야된다는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무조건 수입을 반대할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와 협상을 색다른 방법으로 맺던가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삼무님 댓글에 쪽글을 달으셨던 내용을 보면 임미혜님도 '국산 수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아요. 그러나 그들의 반성이 필요하다. 반성을 한 후 거래를 하면 더 좋겠다. 그런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임미혜님이 처음 의견을 제시했던 것 자체가 너무 극단적인 발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혹은 반대만 생각하다보니 다소 자신의 의견과 다른 방향으로 글을 썼다는 생각도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