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기타 통일, 꼭 해야하나?
페이지 정보

본문
◀ 사진 07.09.23 <뉴시스> 기사
안녕하세요. 저는 쌘뽈여자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이윤미라고 합니다. 저는 토론주제로 ‘통일, 꼭 해야 하나?’를 정해보았습니다. 사이버토론은 처음이라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되지만, 좋은 의견 내주시고, 이번토론을 계기로 좋은 경험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를 통틀어 유일한 분단국가입니다.
현재 남한과 북한은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한반도”라는 이름이 아닌 “남과북”이라는 이름으로 분단 현실의 가슴 아픈 삶을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남과 북의 활발한 교류<자료 1>나 사업 <자료 2> 가운데 통일을 염원해 왔으나 아직 통일을 이루지 못한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 통일을 하면 경제적 문제, 문화차이, 지도자 선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통일을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저는 통일을 염원하는 한 사람으로서 통일 하는 것에 찬성합니다.
일단 그 이유 중의 하나로 남북한에는 전쟁으로 인해 헤어진 가족들이 많습니다.
이산가족 상봉이 몇 차례 이루어 졌었지만, 만나는 것도 잠시, 금세 헤어져야 했습니다.
흔히 연인들 사이에 보고 있어도 보고 싶다고 하지만, 몇몇 이산가족들은 보고 싶어도 볼 수가 없습니다. 세월이 흘러 이미 돌아가신 분들도 계시기 때문입니다.
한 핏줄임에도 불구하고 보고 싶을 때 볼 수 없으니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지...
그러나, 9월 25일 SBS뉴스에 따르면 이재정 통일부장관이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이산가족들의 상시 면회를 추진하겠다고 밝혀 이산가족들에게 한낱 희망의 말을 건네주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소식이 보도되어 이산가족들의 아픔을 조금이나마 씻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으로, 북한에는 지하자원이 풍부하고, 남한에는 기술력이 뛰어납니다.
북한의 지하자원과 남한의 기술력을 조합한다면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자료 4> 또한 통일된 국가는 남북한 인구가 합쳐지는 것이므로 우리나라에서 만든 물건을 우리나라에서만 팔아도 이익을 남길 수 있는 시장 경제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분단 비용, 통일 비용<자료 3> 이라는 것을 지불해 왔습니다.
여기서 분단 비용이라는 것은 우리 민족이 두개의 국가로 분단되어 있음으로 인해 지불해 왔고, 현재 지불하고 있는 모든 비용 즉, 분단에 따른 정신적·물질적인 비용은 물론, 직접·간접비용, 분단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모든 것을 말합니다.
분단 비용은 우리가 통일을 이룩하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지불해야 할 금액이지만, 통일 비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줄어들 수 있는 비용입니다. 따라서 분단비용과 통일 비용이 비슷하다면, 또 <자료 4>에서도 알 수 있듯이 통일을 하면 우리에게 이익이 될 수있습니다. 그래서 아직 ‘우리의 소원은 통일’ 이라는 것을 염원하고 있는 것입니다.
끝으로, 현재 우리는 <자료 1>이나 <자료 2>에서처럼 통일이라는 단어에 한 발짝 더 다가가고 있습니다. 이처럼 모든 것은 사소한 것부터 시작되곤 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작게는 모두가 한마음으로 통일에 관심을 기울이고, 또한 서로의 생활문화 같은 것도 배우며, 크게는 통일에 관한 사업 등을 더 활발히 했으면 좋겠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통일은 꼭 이루어 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자료 1 >
- “북한 그림도 보고 수해민도 돕고”
(사)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경기지회와 ‘6·15 공동선언실천 남쪽위원회 경기본 부’는 28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수원 청소년문화센터 전시실에서 ‘통일기원 우리 민족 서화전’을 연다. 남쪽에서는 민중서체로 유명한 신영복씨와 백기완 통일 문제연구소 소장, 서예가 석달윤씨 등의 서예 작품 10여점과 도예 작품 50여점이 전시된다. 북쪽에서는 인민예술가 김상직, 오영석, 송시엽과 공훈예술가 강신범 리혜옥 등의 조선화와 유화 작품 40여점이 선보인다. 특히 북쪽 화가 김상직의 <수리개>와 리용의 <고향의 아침>(사진)은 지난해 완성된 것들로 최근 북한 미술계 동향을 엿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회 기간인 30일에 ‘남북 미술로 보는 통일의 길’이라는 주제로 박계리(서울대 미술사 강사)씨가 강연한다. 또 북녘 동포에게 쌀을 보낼 ‘통일쌀 나누기운동 참가자 모집’ 행사도 열릴 예정이며 작품 판매 대금의 일부는 북한 수해 지원금으로 쓰인다. (031)257-0615.
출처: 07.09.20일자 [한겨례 신문]
< 자료 2 >
- “다른 소리 갈라진 마음 모아 ‘통일화음’ 울립니다”
한겨레 평화의 나무’ 합창단은 한겨레통일문화재단(이사장 민병석)이 21세기 남북 상생과 통일의 미래를 여는 평화·생명 문화운동의 사업의 하나로 결성했다. 합창단은 내년 1월 첫 정기연주회를 시작으로 해마다 ‘평화와 상생’을 주제로 한 공연을 펼쳐 그 수익금으로 통일·평화 관련 사업을 후원 할 예정이다. 또 내년 5월 한겨레 창간 20돌 전국순회공연을 비롯해 지역으로 찾아가는 평화음악회도 꾸밀 계획이다. 합창단 카페 http://cafe.naver.com/peacetree.cafe
출처: 07.09.20일자 [한겨례 신문]
< 자료 3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2&article_id=0000129422§ion_id=100&menu_id=100
출처 : 05.11.09일자 [세계일보]
< 자료 4 >
- 직장인 65% “20년 내 통일될 것”
22일,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직장인 1천991명을 대상으로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응 답자의 65.0%가 통일이 이뤄질 것이라고 답했다. 통일점으로는 19.2%가 ‘6~10년’이라고 응답했으며 이어 ‘16~20년’(18.9%), ‘11~15 년’(17.4%), 50년 후’(16.3%), ‘21~25년’(8.3%), 31~50년(8.1%), ‘26~30년’(7.9%), ‘5년 이내’(3.9%) 순이었다.
남북통일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묻는 질문에는 61.0%가 ‘찬성’한다고 답했지만 ‘반대’나 ‘관심 없다’는 의견도 각각 24.7%, 14.3%에 달했다.
통일에 찬성하는 이유로는 46.8%가 ‘북한의 자원과 남한의 기술력으로 선진국 대열에 진입할 수 있을 것 같아서’를 꼽았다.
반대 이유로는 44.0%가 ‘남한의 경제사정이 더 어려워질 것 같아서’라고 답했고, ‘남과 북이 서로 다른 이념을 갖고 있기 때문’은 28.1%를 차지했다. ‘치열한 경쟁구도로 돌입하게 될 것 같아서’(8.7%), ‘생활에 큰 변화가 생기는 것이 싫어서’(7.8%) 등도 있었다.
댓글목록

삼무님의 댓글
삼무 작성일
학생이라 바쁠텐데 토론을 위하여 노력하는 모습이 보이네요.
여론조사 645 남북평화와 대외정세
여론조사 658 남북 정상회담 개체에 따른 진실 설문조사
등에 Re로 달었으면 더 좋았을텐데요.
그러면 주토론에 대한 Re 토론을 할 수 있었을텐데요.
전에는 주토론과 Re 토론이 있었는데,
학생들의 무분별한 새글 올리기로, 그러한 점이 없어진 것이 안타깝네요.

이윤미님의 댓글
이윤미 작성일
《Re》삼무 님 ,
일단 제 글을 읽어주시고, 또한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제가 미처 다른 분의 글은 읽어보지 못했네요...
다음 토론에 참여할 때는 삼무님의 말씀 참고하겠습니다.

현자가되고싶은소년님의 댓글
현자가되고싶은소년 작성일
개인적으로 찬성합니다.
일단 많은분들이 반대하시는 이유중 하나가 인프라시설이 부족하다일건데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제생각은 북한이 인프라를 건축하는데 드는 기간은 약 8년 정도라 봅니다.
그동안 남한이 고생좀 해야겠죠.
인프라가 다 이루어 졌을시 시베리아 횡단철도도 개통되고 북한의 풍부한 자원도 얻을수 있습니다.
게다가 부족한 땅도 대처하여 땅값도 내릴수있는 효과도 볼수 있겠고
러시아와는 육로 무역이 가능하고 중국과도 가능하겠죠.
8년정도만 고생하면 훨씬 나아질거라 생각하는 모 중학교 ㄱㄷㅈ 입니다.

백말씀님의 댓글
백말씀 작성일
통일 물론 바랍니다.
그리고 그래야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제 생각으론 안되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통일꼭!!님의 댓글
통일꼭!! 작성일
통일당연이 해야지요!!
우리나라에 얼마나 많은 이산가족이 있는데요,,
그리고 북한도 합치게 된다면 우리나란 무적의 나라가 될수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