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학교 논술형 평가는 개인 역량 측정에 가장 효과적인 방식인가?
페이지 정보

본문

논리적과 창의적인 면을 모두 측정 할 수 있으며
결과 도출까지의 과정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논술형 평가는 선택지가 한정되어있는
선다형 평가에 비해 진보한 방식이죠.
하지만 평가에 드는 인력이라던지
제시문을 전문 지식 없이는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어렵게 낸다거나
하는 '좋지 않은 문제'등의 단점을 제외하고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 자체에서의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그리고 논술형 평가보다 한층 더 진보한 대안은 없는걸까요?

댓글목록

그냥남자님의 댓글
그냥남자 작성일많이 알고있는것과 논리력 흔히 말하는 글발과 관계가 궁금합니다. 자칫 능력이 흔히 말하는 글발 시험으로 전락될 수 도 있다고 생각합니다.A란 사람은 100을 알고 있음에도 50을 나타 낼 수 있는 방면에 B란 사람은 50만 알고있는데도 100으로 보여 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그것이 사람의 역량을 평가하기는 다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이론후실천님의 댓글
선이론후실천 작성일
신언서판(身言書判)이란 말도 있잖아요. 전 이말에 완전 찬성입니다.
자신이 아는것을 100% 못 나타내는것 자기가 50%만 큼알아도 100%로 보이게 하는것도 이것 둘다
그 사람의 역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