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생활 우리나라 학벌주의, 어떻게 생각하세요?
페이지 정보

본문

학벌주의라....
다른나라에도 물론 학벌주의가 존재하겠지만..
우리나라는 특히 학벌주의라는 단어에 민감합니다.
어릴 때부터 좋은 대학에 가야 한다는 압박을 가지고 공부합니다.
심지어 중고생들에게 왜 공부를 열심히 하냐고 물어보면 '자기가 하고싶은 일을 하기 위해'
라는 대답보다는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해서' 라는 대답이 대부분입니다. 물론 사회에 나가
사람을 평가하는데 기본적인 기준이 되는 것이 학벌이긴 합니다. 하지만 학벌을 가지고
사람을 차별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현재 우리 나라는 대학이 두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명문대와 명문대가 아닌 대학으로 말입니다. 그리고 요즘은 약간 덜하지만
최근 몇년 까지만 하더라도 사람들도 명문대를 나온 사람과 명문대를 나오지 못한 사람으로 분류하기도 했습니다. 취업이 잘
안되서 청년실업 50만인 이러한 시대에 '좋은 스펙을 가진다면 학벌도 뛰어넘을 수 있다.' 라는 말도 많습니다.
하지만 같은 스펙을 가지고 있다면 대기업같은 곳에서는 당연히 좋은 학벌을 가진 사람을 뽑을 수 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우리나라에 실정때문에 학벌위조 라는 안타까운 사건이 간간히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높은 곳으로 올라가려면
결국 어쩔 수 없이 좋은 학벌이 필요하다는 소리지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113564
그리고 요즘같이 취직안되는 세상에 학벌은 둘째치고 스펙을 높게 쌓으면 전혀 꿀릴 것이 없다고 언론에서 보도되거나
대기업에서도 사원을 뽑을 때 학벌보다 스펙을 더 많이 본다고 하지만 실상은 그게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적 풍토에서도 좋은 스펙을 가지고 있더라도 좋은 학벌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연스럽게 열등감이 드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9&oid=120&aid=0000029280
왜 지방대를 나왔음에도 고스펙을 가진 사람들이 명문대 간 사람들에게 열등감을 느끼느냐.... 일단 사회에 나가면
학벌차별이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없어졌으면 하는 풍토는 사람을 평가할 때 출신대학을 물어보는 것입니다.
그 사람이 무슨 과는 나왔느냐, 어떠한 스펙을 갖추고 있는가는 첫만남에서 잘 물어보지 않습니다. 무슨 대학을 나왔느냐,
이것만 물어보고 맙니다. 이러한 사회적 차별 때문에 은근한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학벌세탁이나
학력위조 같은 사건이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180719
아래 링크는 학벌주의에 대해 올린 글로 많은 토론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보시고 저의 글에도 많은 의견 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6&dir_id=6&docid=41843&qb=7Jqw66as64KY6528IO2VmeuyjOyjvOydmCDsnbTsnKA=&enc=utf8&pid=fWauvsoi5UssstMDfhosss--386004&sid=StEeMwES0UoAADfXIrI
댓글목록

악튜러스님의 댓글
악튜러스 작성일
자본주의적 경쟁에서 파생된 이 사회의 걸림돌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람을 학력으로 판단하려 하는데 이는 그저 단순한 편견 아닌가요? 학교에서 배운 것들은 하나의 인간을 판단하는 척도가 될 수 없습니다. 물론 높은 학력을 얻는 데 필요한 성실성과 자기의지 등은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벌좋은 사람이 성실하다'고 해서 '그렇지 않은 사람은 성실하지 못하다'는 이런 허접한 오류를 범하면 안됩니다. 성실성은 단순히 공부에 있어서의 노력을 뜻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그리고 맨 아래 링크의 네이버지식인 질답이 학벌주의에 찬성하는 것으론 보이지 않습니다. 학벌주의가 왜 생겨났을까를 이야기하는 것 같네요. 그나마 8개 의견을 보아하니, 학벌주의는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다.. 라고 하는데 그렇다고 해서 학벌주의가 정당할 수 있을까요? '선진국이 그러니깐 옳다'식의 이야기 그 이상은 아닌 것 같습니다만.

다크님의 댓글의 댓글
다크 작성일지적 감사합니다 ^^

^)^*님의 댓글
^)^* 작성일
저는 학벌주의에 반대합니다.
요즘시대에 아무리 좋은 명문대를 나왔든 취업이 잘 되지 않는데
옛날의 학벌주의는 요즘시대에 맞지않는것 같습니다.
어떤 위치에 있던간에 자신이 최선을 다해 노력한다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아리랑님의 댓글
아리랑 작성일악튜러스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말씀대로 성실성이 단순히 공부에 한한 노력을 의미하는것이 아닙니다. 또 높은 학벌이 다른 어떤 일도 성실히 수행할것이라는 증표가 되지않아야 합니다. '학벌주의는 선진국에도 있기때문에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라고 경솔한 판단을 할것이 아니라, 이 사회문제를 고치기위해 전세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하는것이 좋을 것 같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