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기타 우리의 웰빙의식 어떻게 생각하나요?
페이지 정보

본문

웰빙 문화의 사전적 정의는
‘복지․안녕․행복’을 의미하며 우리말로는 참살이라 표현한다.
결국 물질적 가치나 명예보다는
건강한 심신을 행복한 삶의 척도로 삼는다는 말이다.
더 자세히 말해자면 웰빙은 육류 대신 생선과 유기 농산물을 선호하고,
단전호흡․요가 등의 명상요법과 여행․등산․독서 등의
취미생활을 통하여 심신의 건강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2003년 후반 우리나라에 이른바 웰빙 붐이 일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에게서는 내적인 웰빙보다 외적인 웰빙에
더 치우쳐져 있는 웰빙 문화를 볼 수 있다.
분명 잘 먹고 잘 산다는 것을 의미하는 웰빙은
이젠 많이 변모하였고 웰빙은 웰빙족이란 신조어까지 낳고
더 나아가 소비를 부추기는 구실이 되고 있다.
언제부터 웰빙이란 단어가 우리의 소비 심리를 이렇게까지 부추겼다는 말인가?
웰빙이란 단어가 나오기 시작하면서부터 웰빙이란 문화가 정착이 되려고 하자
이젠 상업적인 목적에 여기에 가미되어 길거리에 나가보면
웰빙이 들어간 간판을 아마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웰빙 요가 ․ 웰빙 헬스 ․ 웰빙 와인 ․ 웰빙 하우스 ․ 웰빙 가전 ․
웰빙 투어, 심지어 웰빙 스타일 ․ 웰빙 돼지고기 등
이제는 웰빙이 들어가지 않은 곳이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
그냥 아무이유 없이 따져보지도 않고 웰빙을 선호하는 것이 좋은 게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물론 건강한 몸을 가지고 맑은 정신을 갖는 것이야
우리가 누려야할 당연한 권리이지만 이처럼 웰빙이 상업적 목적으로 변하여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일 일만은 아닌 것 같다.
일부소위 계층들만을 위한 웰빙, 비싼 헬스클럽에서 운동, 비싼 유기농 채소,
일류 레스토랑에서의 몸에 좋은 음식만 고집하는 것만이 웰빙은 아니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라이프코치 탤렌 마이데너는
“끼니때마다 유기농을 먹고, 저녁마다 요가를 하고 주말마다 온천을 가는 것이 웰빙이 아니다.
웰빙은 무엇을 먹고 무엇을 입고 무엇을 쓰느냐의 문제가 아니다.
웰빙은 어떻게 사느냐에 관한 다분히 철학적인 코드이다.
웰빙은 말 그대로 존재(Being)의 안녕이자 완성이다.
자기 스스로 만족스러운 삶이다. 몸과 마음의 행복이다.”라며
웰빙 개념에 주목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마이테너는 외적으로 행해지는 것만이 다가 아니라
내적인 만족감이 함께 존재하였을 때 진정한 웰빙을 누리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처럼 웰빙이란 값비싸고 고급스럽다는 의미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건강한 심신을 가지고 행복한 삶을 누린다는 의미여야 한다.
따라서 우리들은 웰빙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하고
우리들 자신이 더욱 행복하고 멋스러운 삶을 살수 있도록
자신들의 의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댓글목록

apfhd님의 댓글
apfhd 작성일웰빙에대해다시생각해볼수있었던거같네요^^

???님의 댓글
??? 작성일생각을해봐야 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