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뉴스 노벨상 받은 이명박. 훌륭하다. 자랑스럽다.
페이지 정보

본문
노벨상은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 문학상, 평화상, 경제학상으로 6개 부문입니다.
노벨상은 자연환경상이 없습니다...자이드상이 바로 '자연환경 노벨상입니다'. 세상 사람들은 다 그렇게 알고 있음.
태국은 얼마전에 홀수로 많은사람이 죽었습니다. 태국 총리가 4대강을 보기위해서 한국에 방문했다고 합니다.
한국은 22조를 들어서 4대강을 완공했지만, 태국은 220조가 든다고해도 4대강처럼 완공하고싶다 말했습니다.
우리나라는 2006년에 유엔이 선정한, 세계 10대 물부족 국가입니다.
심각할 경우 씻지도 못하고, 물을 식량처럼 배급 받고 살아갈수 있는 극한 사항에 처할수도 있습니다.
왜 우리나라가 10대 물부족국가 인가? 의아한 사람이 많을 것 같은데,
우리나라는 바다가 3면이어서, 비오면 바다로 다빠져 버립니다. 그리고 지구 오존층이 파괴되어서, 날씨도 건조해지고, 비도 한꺼번에 쏟아져내리고, 쪼금씩내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미국의 어떤주는 3달만에 한번씩 비가 오는지역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비가 한꺼번에 내릴때 비를 많이 받아놔야 됩니다. 댐을 많이 건설해야 됩니다.
4대강에 16개보를 건설했다고 합니다. 보는 댐입니다. 보 이렇게 말하니깐 못알아 듣는사람들이 많습니다.
16개 댐을 수력발전용 댐으로 건설해서, 전기도 생산하고, 댐도 억수로 크게 지어서 물부족을 해결했습니다.
우리나라가 아무리 수출많이 해도, 물없이 살지는 못합니다.. 댐이 많으면 홍수도 안납니다.
4대강 사업은 한국을 살렸고, 우리의 식수를 해결한 대단한 사업입니다.
경부고속도로, 포항제철, 4대강사업은....우리의 맥을 잊는 3대 사업이 될것입니다.
한국말로는 보....영어는 댐(DAM) 입니다.
댓글목록

벨트클러져님의 댓글
벨트클러져 작성일
4대강 사업의 취지는 매우 좋다고 봅니다. 하지만,
물은 관리를 잘 하지 못하면 썩습니다. 4대강은 물을 잘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증거는 수도 없이 많죠. 그래서 이렇게 물이 썩는다면 보를 설치해서 관리를 하는 의미가 없어집니다. 하지만 정부는 물이 잘 관리되고 있고 환경적으로도 좋은 영향을 준다고 홍보합니다.
여기에 지나치게 빠른 공사 진행으로 균열이 생기는 등 정상적이지 않아 보이는 보에 대한 확인결과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잘 관리되고 있으니 걱정말라고 합니다. 이게 정상일까요?
다단계 회사에 멋모르고 들어간 사람에게 그 회사의 상위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보여주는 것은 그들 자신의 통장입니다. 동그라미가 두둑히 붙어있는 그들의 통장을 직접 보여주면서 너희들도 이렇게 될거다라고 얘기를 하죠. 모든 것이 다 잘되었을때의 이상적인 결과만을 보여줘서 무조건적인 신뢰를 얻어내고자 하는 것이지요.
이런 것들이 다 괜찮다고 생각하시는 건 아니겠지요?

김민중님의 댓글
김민중 작성일4대강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아무래도 환경파괴죠. 인간위주의 관점에서 보면 4대강은 식수도 해결하고, 물부족도 예방할 수 있는, 또 강을 이용한 관광산업을 통해 득이되는 사업입니다 . 하지만 4대강 사업을 실시하는 곳에 환경이 파괴되고 생태계가 무너지는 것이 문제죠. 결국 사람이 지구, 자연에 살고 있는 한 모든 생물과 공생관계를 유지해야하는데 사람 잘 살자고 환경파괴하는 것은 장기적으로나 궁극적으로 별 이득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님의 댓글
??! 작성일
첫째 홍수를 막으려면 강을 정비하는게 아니라 상류지역에 댐을 쌓아야한다.
둘째 4대강으로 일자리를 늘릴수 있어 친서민 사업이다라고 하였는데 그러면 수주를 지방중소기업에 줘야 마땅하지만 현재 4대강 관련 모든 수주는 대기업이 맡고 있어 이건 대기업만 배불리는 사업이 되버렸다.
셋째 만약 정말 만약에 이명박과 관련된 사람들이 4대강 관련 대기업 주식을 많이 가지고 있다면 이건 이명박 한 개인의 배를 불리는 사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넷째 물부족 국가라는 말은 PAI(인구행동연구소)에서 정의한 말인데 그 기준이 단순해 수자원 개발의 필요성의 기준으로 삼기에는 의문이 든다. 라는 말도 있으니 참 여러가지로 논쟁거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