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생활 내신 등급제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본문
교육부의 발표안을 보면 크게 4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학교생활 기록부의 반영비중 확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선
*학생선발의 특성화, 전문화 강화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전형 활성화
이 네 가지 항목에 대한 저의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교생활 기록부의 반영비중 확대
우선 성적 부풀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 원점수와 석차 등급제를 도입한다고 하는데 현재 대학에서 평어를 반영하기 때문에 성적 부풀리기가 일어났다는 것을 간과한 대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내신에 있어서 모두가 함께 열심히 하면 수를 받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공부하였는데, 내신 등급제를 도입하면 불가피한 경쟁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어느 정도의 경쟁은 당연한 것이고 이에 대해 학생들도 당연히 인정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내신 등급제를 도입하면 3년 내내 학생들은 내신에 대한 중압감에 시달리게 되고, 성적만을 중시하게 됩니다.
사실 대학 진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적성을 알고 그에 대한 간접 경험을 하여 올바른 진로 선택을 한 상태에서 진학하는 것인데, 내신등급제를 도입하면 학생들은 내신 시험에 대한 중압감으로 인해 고등학교 3년을 성적에만 몰입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은 자신의 미래와 진로에 대한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가 힘들어지며, 학교에서의 전인교육은 더더욱 힘들어 지게 됩니다.
그리고 교육부에서는 내신 등급제를 실시함으로 인하여 학교생활 기록부의 신뢰도가 재고된다고 하는데 사실 지역별, 학교별 학업 수준의 차이는 아직도 존재합니다. 이런 문제점이 있는데 우수 고등학교에서 입는 피해를 해결 할 수 없습니다. 학생들은 당연히 내신을 잘 받을 수 있는 학교를 찾아 고등학교에 진학할 것이고, 이것이 과연 공정한 평가 방법인가 의문이 듭니다.
사실 현재에도 지역별, 학교별 학업수준의 어마어마한 차이로 인해 문제가 많습니다. 교육부에서는 이러한 학교별 수준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 것이 더 시급한 문제입니다.
그리고 교육부는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데 충실해야 합니다. 한 선생님이 여러 학생을 지도하는 것은 개개인의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평가와 교육을 주지 못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선
수능시험에서 점수가 아닌 등급만 제공하면 아마 상위권 대학같은 경우에는 내신에 변별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본고사의 부활이 우려됩니다.
*학생선발의 특성화, 전문화 강화
저는 특수목적고 동일계특별전형 도입에 관해서는 찬성하는 바입니다. 특목고의 설립 취지에 맞는 방안이며 현제 과학고에서 의대진학이 팽배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도 해결하는데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나아가 사범대 같은 경우에도 실기와 내신 등 대학에서 반영하는 것에 대해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전형 활성화
지역 균형 선발 특별전형 같은 것은 현재에도 비슷하게 있는 제도로 저는 이것에 찬성합니다. 가난이 죄가 아니듯 기회의 어느 정도의 평등을 보장하는 바람직한 방안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이렇게 내신 등급제의 도입에 대해 이러한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내신 등급제가 좋다 나쁘다 라고 어느 한 의견에 편중할 수 없습니다.
내신 등급제 도입의 장점은 내신 부풀리기 문제를 해결하고 대학에서도 내신의 실질 반영 비율이 높아 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 단점은 앞에서도 논했듯이 학생들을 너무 불안하게 할 수 있으며 지역별, 학교별 학력격차를 무시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살려서 내신 등급제를 실시한다면 현재 교육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학교생활 기록부의 반영비중 확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선
*학생선발의 특성화, 전문화 강화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전형 활성화
이 네 가지 항목에 대한 저의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교생활 기록부의 반영비중 확대
우선 성적 부풀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 원점수와 석차 등급제를 도입한다고 하는데 현재 대학에서 평어를 반영하기 때문에 성적 부풀리기가 일어났다는 것을 간과한 대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내신에 있어서 모두가 함께 열심히 하면 수를 받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공부하였는데, 내신 등급제를 도입하면 불가피한 경쟁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어느 정도의 경쟁은 당연한 것이고 이에 대해 학생들도 당연히 인정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내신 등급제를 도입하면 3년 내내 학생들은 내신에 대한 중압감에 시달리게 되고, 성적만을 중시하게 됩니다.
사실 대학 진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적성을 알고 그에 대한 간접 경험을 하여 올바른 진로 선택을 한 상태에서 진학하는 것인데, 내신등급제를 도입하면 학생들은 내신 시험에 대한 중압감으로 인해 고등학교 3년을 성적에만 몰입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은 자신의 미래와 진로에 대한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가 힘들어지며, 학교에서의 전인교육은 더더욱 힘들어 지게 됩니다.
그리고 교육부에서는 내신 등급제를 실시함으로 인하여 학교생활 기록부의 신뢰도가 재고된다고 하는데 사실 지역별, 학교별 학업 수준의 차이는 아직도 존재합니다. 이런 문제점이 있는데 우수 고등학교에서 입는 피해를 해결 할 수 없습니다. 학생들은 당연히 내신을 잘 받을 수 있는 학교를 찾아 고등학교에 진학할 것이고, 이것이 과연 공정한 평가 방법인가 의문이 듭니다.
사실 현재에도 지역별, 학교별 학업수준의 어마어마한 차이로 인해 문제가 많습니다. 교육부에서는 이러한 학교별 수준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 것이 더 시급한 문제입니다.
그리고 교육부는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데 충실해야 합니다. 한 선생님이 여러 학생을 지도하는 것은 개개인의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평가와 교육을 주지 못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선
수능시험에서 점수가 아닌 등급만 제공하면 아마 상위권 대학같은 경우에는 내신에 변별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본고사의 부활이 우려됩니다.
*학생선발의 특성화, 전문화 강화
저는 특수목적고 동일계특별전형 도입에 관해서는 찬성하는 바입니다. 특목고의 설립 취지에 맞는 방안이며 현제 과학고에서 의대진학이 팽배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도 해결하는데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나아가 사범대 같은 경우에도 실기와 내신 등 대학에서 반영하는 것에 대해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회 통합을 유도하는 전형 활성화
지역 균형 선발 특별전형 같은 것은 현재에도 비슷하게 있는 제도로 저는 이것에 찬성합니다. 가난이 죄가 아니듯 기회의 어느 정도의 평등을 보장하는 바람직한 방안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이렇게 내신 등급제의 도입에 대해 이러한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내신 등급제가 좋다 나쁘다 라고 어느 한 의견에 편중할 수 없습니다.
내신 등급제 도입의 장점은 내신 부풀리기 문제를 해결하고 대학에서도 내신의 실질 반영 비율이 높아 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 단점은 앞에서도 논했듯이 학생들을 너무 불안하게 할 수 있으며 지역별, 학교별 학력격차를 무시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살려서 내신 등급제를 실시한다면 현재 교육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