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주제토론방 |
기타 인터넷 사용으로 인해 언어학습능력 저하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본문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로
핸드폰이 널리 보급되었듯이
인터넷도 그 중 하나로
남녀노소 생활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공유의 평등,손쉽게 정보를 찾고 이용하여
더욱 더 과학기술발전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인터넷 사용으로 인해
학생들의 언어 학습 능력이 심각하게 저하 되고 있다
흔히
"외계어"라고 불리우는 이말은
사이버 세상에서 쓰이는데
문법, 맞춤법에 모두 어긋나는 용어들이다
이런 외계어 남발이
평소 언어생활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어린아이가 인터넷을 사용함으로써
어렸을때부터
올바른 한글 교육을 받지 못하고
인터넷 외계어에 익숙해지는
우려를 범하지 않을수 없다.
법은, 과학기술에
앞서지 못하듯
이러한 현상에 대해
교육정책이 앞서지 못했다.
어렸을때부터
한글을 소중히 여기고
한글의 우수성을 교육하며
올바른 맞춤법을
교육하는 제도의 보완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댓글목록

시뮤짱♡님의 댓글
시뮤짱♡ 작성일
이문제가 옛날부터 대두되긴했습니다. 그리고 점점더 일상으로 깊게 파고드는 외계어는 논란의 도마위에 올려져 여러번 소동을 일으키기도 했지요.
정부도 노력해야하지만 정작 중요한것은 우리들입니다.
처음, 게시판제도가 도입되었을때 학부모와 선생님들은 그것이 아이들의 글쓰기 실력을 향상시킬것이라며 호의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결국 우리나라말이라고 보기에도 이상한 외계어를 낳았고, 국어실력을 간접적으로 떨어뜨리기도했습니다. 아이들은 여러맞춤법에도 햇갈려 고개를 까딱이고, 잘못된 글자와 철자법, 욕설이 난무한 소설이 인기를 끌어 베스트셀러에 오르는것은 정말 혀를 끌끌찰 일입니다.
정부에서는 이에 대한 시급한 대안을 내놓고있진 않습니다. 말씀하셨듯이 법은 과학기술에 앞서지 못했습니다. 허나 어렵더라도 완화시킬 수는 있습니다.
현재 우리말 파괴에 앞장서고있는것은 우리들입니다. 우리가 먼저 노력을 해서 고쳐야합니다. 욕설과 외계어가 난무하는 가운데 우리가 할 수 있는것이 무엇이 있겠냐구요?
첫째. 손에 자연스럽게 책을 올려놓을수 있도록합니다.
책을 읽으면 철자법도 자연스레 맞추게 되고, 수준높은 책을 읽으면 고급스런 작문실력을 갖출수있습니다. 책은 거기에다가 풍부한 지식을 담고있습니다. 좋은책을 골라읽으며 모두 책벌레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둘째. 스스로 철자법을 맞추려노력합니다.
외계어를 쓸것이 아니라 스스로 고운말 바른말을 쓰고 틀리게 쓰는사람을 지적해줄줄도 알아야합니다.
셋째. 실명제와 최소 정보들을 공개하는 것을 도입하는것도 고려해볼만한 일이라봅니다.
실명제는 우선 자신의 이름을 밝히는것이기 때문에 익명제보다는 훨씬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최소정보를 공개하여 스스로 욕설, 외계어를 경계하고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한국인 모두가 행복한 문화인이 되는 그날을 기다려봅니다.

파인님의 댓글
파인 작성일어릴 때 이런 거에 많이 접하면 영향이 가리라 생각이 듭니다

박경환님의 댓글
박경환 작성일
얼마전에 인터넷에서 귀여니 시집에 관해 큰 논란이 일어난 것을 보았습니다.
귀여니는 인터넷소설로 성균관대학교에 특차로 입학하게 되는 그 순간에도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만 문제는 여기서부터 시작됩니다.
인터넷소설도 문학의 일부로 봐달라는 의견과 맞춤법부터 해서
문법이 하나도 맞지 않는 이 소설을 어떻게 국문학으로 받아들이냐는
의견이 대립하였습니다.
귀여니의 소설은 기존의 문학체제를 타파한 신세대 문화 아이콘으로 이미 많은 역영에서 칭송받고 있는 입장이라 그 논란도 더욱 뜨거웠습니다.
그러나 그 영향으로 인해 인터넷에서는 자작소설이 난무하고 있고 내용은 지극히 단순, 문법적인 요소는 완전이 배재된 것으로 판명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 논란이 일어나는 것으로는 여성분들께 익숙한 팬픽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흔히 좋아하는 가수를 미화하는 작품으로 캐릭터는 항상 고정된 이미지로 스토리 진행이 됩니다.
허나 무서울 정도로 많은 매니아들이 있고 많은 칭송을 받은 작품은 출판되기까지 한다는 것입니다.
온오프라인으로 국어순화에 걸림돌이 될만한 것이 많이 있습니다.
하나의 문학장르로 받아들여지는 순간 우리는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여야 하고
배재시키려고 한다면 확실히 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