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서구화된 식탁문화가 우리 인정을 메마르게 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토돌이 작성일 06-04-16 17:19 조회 3,672 댓글 5본문

험악해진 원인으로 핵가족의 붕괴, 사회 저변에 깔린 높은 경쟁률, 어려운 경제난 등을 꼽을수도 있겠지만, 저는 그 한 원인으로 서구화된 우리나라 식탁문화를 험악하게 만들고 인정을 메말라가게 만든 원인으로 지적하고 싶습니다.
왜? 서구화된 식탄문화가 인정을 메말라가게 만들까요??
우리의 빨리빨리 문화와 서구의 식탁문화가 합쳐져 전통적으로 우리에게 익숙했던 대가족 문화에서 존재했던 '따듯한 밥상머리 효과'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할아버지 할머니 부모님과 형제 누나가 오붓하게 즐겼던 식사문화가 없어지고 우리는 언제부턴가 시간이 쫒기면서 식사를 하게 됐고 식사도 혼자하게 되었습니다.
또 영국의 어느 대학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간은 당분이 지나치게 많은 식료품과 기름기 있는 패스트 푸드를 먹을때 콜레스테롤과 당료물질의 축척으로 짜증이 자주나게 만드는 세포의 수용을 증대시킨다고 발표했습니다. 우리가 먹는 서구화된 식단을 살펴보면 이런 증거들을 쉽게 찾을수 있을 것입니다.
또 우리나라 대부분의 가정들이 앉아서 오순도순 식사를 하지 않고 식탁에 앉아서 식사를 합니다.
식탁에서의 식사예절이 서양의 것인데, 이에 대한 식사예절을 우리는 제대로 배운적이 없습니다. 식탁에 앉는 예절이나 반찬을 놓는 예절, 음식을 즐기면서 먹는 예절등을 받은 적이 없죠. 그래서 우리나라 식문화가 서양 식탁문화로 옮겨지면서 여러 문제가 발생되었습니다.
여러분은 이처럼 각 가정의 서구화된 식탁문화(음식문화 포함)가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신에 어떤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십니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를 말씀해 주십시오.

댓글목록 5
지나가다가님의 댓글
지나가다가 작성일
혼자서도 밥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만큼 산업이 발전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가족이 모여서 밥을 먹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함께먹지 않는게 잘못 이라는 습관적인 의식 때문에 식탁 문화를 의심할 수도 있지만, 제생각에 사람들 사이에 관심이 없어지는 것은 권위를 기본으로 하는 전통 유교 원리로 인간관계를 통제하기 힘들어 졌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소외된사람님의 댓글
소외된사람 작성일
농촌에서도 젊은이들이 도시로 삶을 개척해볼려고 떠나는 지금 현 사회에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하죠!
대가족에서도 많은 장*단점이 발견되죠!
사회가 말해줍니다...사회가...
달마님의 댓글
달마 작성일
저는 의문이 하나 있습니다. 우리나라 식탁이 서구화, 서구화하는데 이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식탁에 올라오는 반찬은 그리 서양물에 침입을 받은적이 별로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중에 하납니다. 우리집만 그런가요? 다른집도 매일 햄,소시지를 먹지는 안을테니 잘 모르겠습니다. 서양에선 밥도 안먹죠...
물론 다른 것은 알겠습니다. 우리나라가 핵가족화가 확실히 되었고 이 때문에 서구적이라고 하는 것은 이해가 갑니다. 핵가족화로 인해 밥상머리에 앉는 사람 숫자가 매우 적고 수평적인 관계가 되어서 어른이 일하러 가실 시간에 밥을 같이 먹기보다 자신이 먹을 시간대에 먹는 가정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집도 핵가족입니다. 그런데 약간 다른 핵가족입니다. 할아버지, 할머니가 안계시거든요. 때문에 대가족의 식탁이라는 것은 외할아버지 집에서 잠깐 살던 어린시절밖에 경험해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 때문에 밥상머리에 식구가 많은 것이 좋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 것은 일종의 가족회의이며 친목회이고 쓸데없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게 해주는 훌륭한 수단입니다.
때문에 저는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가장의 권위를 세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권위가 무조건 나쁜것은 아닙니다. 옳은 일을 게으름 피우지 못하게 하는 채찍이 될수도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 가정에서 가장의 권위는 없다시피 하니 이런것쯤 내세운다고 문제도 아니죠.
밥상과 식탁문화가 따로 있다는 것은 저로선 잘 공감이 안갑니다. 뭐가 틀린거죠? 밥을 먹는 사람은 같은데 말이죠. 집안 할머니가 식탁이 불편하다 하시면 뭐 식탁 자르면 되는 것이고... (-_-);;
강승진님의 댓글
강승진 작성일우리집도 맨날 밥상에 김치 나물 된장 고등어 ...우리집에 햄버거 피자 통닭 이런거는 그냥 간식 취급해요 ㅋ
파인님의 댓글
파인 작성일서양의 식탁문화가 한국에 접목된 이유는 사회적 이유라고 봅니다. 식탁문화로 사회적 문제가 생긴 게 아니라 사회적 이유 때문에 식탁문화가 이렇게 되었다고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