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예화우화모음 |
추천 마키아가 당신을 노린다!
페이지 정보

본문
역사상의 위인 중에는 드러내놓고 칭찬은 못 하지만,
은연중 암묵리에 존경받는 이름도 많습니다.
마키아벨리, 한비, 조조라는 이름도 그와 같은 예에 속합니다.
그래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악마(惡魔)의 서(書)’, ‘독약’이라고 부르고,
한비의 『한비자』를 ‘이단(異湍)의 서(書)’라고 해서 모두 금지 도서로 한 사람들은
유비(劉備)적인 인간성을 추구하는 도덕군자의 측면에서,
또는 양두구육(羊頭狗肉)의 이중 잣대로 평가한 탓일 것입니다.
심리학자 중에는 목적을 위하여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냉철한 계산으로 권모술수를 행하는 유형을
마키아벨리적(machiavellian) 인간도가 높은 인간’,*
그와 반대의 유형을 ‘마키아벨리적 인간도가 낮은 인간’이라고 부릅니다.
오늘날처럼 기계화, 비인간화가 진행되고 있는 고도 산업 사회에서는
‘고(高)마키아적’ 유형의 인간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제왕학이라는 것은 왕이나 군주가 배우는 학문으로서,
그 속에는 민중을 어떻게 통치하고 권력을 어떻게 잡는가를 설파하는 내용도 포함됩니다만,
덕(德)과 인(仁)으로 통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인간의 성악설에 근거해서 권모술수와 이기주의로 통치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한비자는 유교적 도덕 정치를 시대착오라고 매도하고,
현재는 기력(氣力)의 시대이고, 냉철한 법치주의로 통치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상하 관계는 상호 신뢰가 아니라 이해타산적인 것이며,
윗사람은 자기 마음을 아랫사람에게 보이지 말고, 객관적인 법과 세력으로
신상필벌(信賞必罰)을 하라고 했습니다.
한비는 이사(李斯)와 함께 순자(荀子) 밑에서 공부한 탓으로
성악설에 근거한 이론을 폈습니다.
마키아적 존재(개인, 기업, 국가 등)들은 그렇지 않은 존재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도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개인이건 조직이건 국가건 마키아가 되거나 마키아를 피하는 것이
당하지 않는 비결이라 할까요?
또한 마키아벨리즘을 신봉하지는 않더라도 세상에는 그런 유형의 존재도 있다는 것을
인정할 줄 아는 것, 또한 그런 존재를 판별할 줄 아는 것이 안목이 아닐는지요.
그리고 마키아벨리적 인간은 끝이 아름답지 못하다는 점에서 마키아벨리즘을 넘는
차원 높은 경지를 찾아봐야겠군요.
* High Machiavellianism* 마키아벨리즘이란
마키아벨리 그 사람의 주의, 사상이란 뜻.
마키아벨리의 사상 그 자체는 원래 권모술수나 타락한 정치기술을 가리킨 것이
아니었으나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을 가리지 않는다’는 말이 일반화 되어
곡학아세를 일삼는 지식인, 권력에 압도된 정치가들을 비판하고 매도할 때 사용된다.
한비는 B.C. 200년대, 조조는 A.D. 200년대에 활동한 사람인데, 15, 6세기에 활동한
마키아벨리가 마키아벨리즘의 영예를 안았다.
마키아벨리아니즘이란 포괄적으로 보아서 마키아벨리적인,
마키아벨리류(類)의 인간, 동양식으로 말한다면 한비적, 조조적 인간 정도의 뜻.
다음의 영어 단어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machiavellian;n. 권모술수가, 책모가
a . 마키아벨리(류)의, 마키아벨리적, 교활한
·machinate ; vt. 모의하다. (음모를) 꾀하다.
·machination ; n. 음모를 획책함. 책략.
·machiavellism ; n. 마키아벨리(의) 주의, 사상.
은연중 암묵리에 존경받는 이름도 많습니다.
마키아벨리, 한비, 조조라는 이름도 그와 같은 예에 속합니다.
그래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악마(惡魔)의 서(書)’, ‘독약’이라고 부르고,
한비의 『한비자』를 ‘이단(異湍)의 서(書)’라고 해서 모두 금지 도서로 한 사람들은
유비(劉備)적인 인간성을 추구하는 도덕군자의 측면에서,
또는 양두구육(羊頭狗肉)의 이중 잣대로 평가한 탓일 것입니다.
심리학자 중에는 목적을 위하여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냉철한 계산으로 권모술수를 행하는 유형을
마키아벨리적(machiavellian) 인간도가 높은 인간’,*
그와 반대의 유형을 ‘마키아벨리적 인간도가 낮은 인간’이라고 부릅니다.
오늘날처럼 기계화, 비인간화가 진행되고 있는 고도 산업 사회에서는
‘고(高)마키아적’ 유형의 인간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제왕학이라는 것은 왕이나 군주가 배우는 학문으로서,
그 속에는 민중을 어떻게 통치하고 권력을 어떻게 잡는가를 설파하는 내용도 포함됩니다만,
덕(德)과 인(仁)으로 통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인간의 성악설에 근거해서 권모술수와 이기주의로 통치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한비자는 유교적 도덕 정치를 시대착오라고 매도하고,
현재는 기력(氣力)의 시대이고, 냉철한 법치주의로 통치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상하 관계는 상호 신뢰가 아니라 이해타산적인 것이며,
윗사람은 자기 마음을 아랫사람에게 보이지 말고, 객관적인 법과 세력으로
신상필벌(信賞必罰)을 하라고 했습니다.
한비는 이사(李斯)와 함께 순자(荀子) 밑에서 공부한 탓으로
성악설에 근거한 이론을 폈습니다.
마키아적 존재(개인, 기업, 국가 등)들은 그렇지 않은 존재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도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개인이건 조직이건 국가건 마키아가 되거나 마키아를 피하는 것이
당하지 않는 비결이라 할까요?
또한 마키아벨리즘을 신봉하지는 않더라도 세상에는 그런 유형의 존재도 있다는 것을
인정할 줄 아는 것, 또한 그런 존재를 판별할 줄 아는 것이 안목이 아닐는지요.
그리고 마키아벨리적 인간은 끝이 아름답지 못하다는 점에서 마키아벨리즘을 넘는
차원 높은 경지를 찾아봐야겠군요.
* High Machiavellianism* 마키아벨리즘이란
마키아벨리 그 사람의 주의, 사상이란 뜻.
마키아벨리의 사상 그 자체는 원래 권모술수나 타락한 정치기술을 가리킨 것이
아니었으나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을 가리지 않는다’는 말이 일반화 되어
곡학아세를 일삼는 지식인, 권력에 압도된 정치가들을 비판하고 매도할 때 사용된다.
한비는 B.C. 200년대, 조조는 A.D. 200년대에 활동한 사람인데, 15, 6세기에 활동한
마키아벨리가 마키아벨리즘의 영예를 안았다.
마키아벨리아니즘이란 포괄적으로 보아서 마키아벨리적인,
마키아벨리류(類)의 인간, 동양식으로 말한다면 한비적, 조조적 인간 정도의 뜻.
다음의 영어 단어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machiavellian;n. 권모술수가, 책모가
a . 마키아벨리(류)의, 마키아벨리적, 교활한
·machinate ; vt. 모의하다. (음모를) 꾀하다.
·machination ; n. 음모를 획책함. 책략.
·machiavellism ; n. 마키아벨리(의) 주의, 사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