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예화우화모음 |
추천 햄버거와 데이 크룩
페이지 정보

본문
맥도날드사를 창립한 데이 크록은 원래 종이컵 행상이었다.
그는 쉰 두 살이던 1955년 시카고에서 햄버거와 감자튀김을 팔았다.
데이 크록은 햄버거를 몇도에서 구워야 가장 맛이 있고 햄버거 속의 고기는
어떤 간격으로 칼집을 내야 제맛이 난다는 '맛의 비법'을 알고 있었다.
그는 직접 '햄버거 안내서'를 만들어 전국의 대리점에 보냈다.
데이 크록은 햄버거 하나에 인생의 승부를 걸었다.
그는 미국 일리노이주 오크브룩에 햄버거대학을 설립하고
햄버거를 굽는 기술과 인간관계, 대리점 운영법 등을 가르쳤다.
그가 82세로 세상을 떠날 때는 이미 억만장자가 되어 있었다.
오크브룩의 본사 건물은 지금도 밤늦도록 불이 켜져 있다.
그가 주장한 사업 성공의 비결은 간단했다.
"맥도날드사 직원에게 박사학위를 요구하지 않는다.
다만 배워서 깨우치려는 노력과 의욕이 있어야 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일을 현미경처럼 세밀하게 분석한다.
'대충대충'은 실패의 지름길이다.
그는 쉰 두 살이던 1955년 시카고에서 햄버거와 감자튀김을 팔았다.
데이 크록은 햄버거를 몇도에서 구워야 가장 맛이 있고 햄버거 속의 고기는
어떤 간격으로 칼집을 내야 제맛이 난다는 '맛의 비법'을 알고 있었다.
그는 직접 '햄버거 안내서'를 만들어 전국의 대리점에 보냈다.
데이 크록은 햄버거 하나에 인생의 승부를 걸었다.
그는 미국 일리노이주 오크브룩에 햄버거대학을 설립하고
햄버거를 굽는 기술과 인간관계, 대리점 운영법 등을 가르쳤다.
그가 82세로 세상을 떠날 때는 이미 억만장자가 되어 있었다.
오크브룩의 본사 건물은 지금도 밤늦도록 불이 켜져 있다.
그가 주장한 사업 성공의 비결은 간단했다.
"맥도날드사 직원에게 박사학위를 요구하지 않는다.
다만 배워서 깨우치려는 노력과 의욕이 있어야 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일을 현미경처럼 세밀하게 분석한다.
'대충대충'은 실패의 지름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