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예화우화모음 |
추천 여백의 미
페이지 정보

본문
오늘날 아이들의 그림공부는 주어진 도화지 안에
무엇으로든 가득 채우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는 것처럼 생각이 됩니다.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아이들의 스케치북을 보면 저는 그림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봅니다.
"야, 이 그림은 참 색을 곱게 썼다. 중간색 만드는 솜씨가 보통이 아닌데"
그런데 신기하게도 아내는 그림보다도 빈 여백을 보면서 아이들을 야단칩니다.
"이게 뭐야! 이게... 이렇게 스케치북을 낭비하면 다음부터는 안 사준다! 낭비하지 말고 빈 틈 없이
다 그림을 그리란 말이야! 너네 아빠가 종이공장 사장이냐? 이렇게 낭비를 하게... 이게 머야 이게!"
도화지 한 장을 펼치면 거기엔 그림을 그리는 이의 세계관과 자기표현이
맘껏 펼쳐질 넓은 놀이 마당 앞에 서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그 마당 원하는 자리에서 자기의 맘껏 뛰어놀면 되지,
의무적으로 마당 전체를 다 사용하면서 놀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도화지를 무언가로 꽉 채워야 한다는 강박관념은 서양적 사고와 세계관입니다.
동양적 사고는 그림의 '여백'을 굉장히 중요시합니다.
동양화는 절대로 도화지를 빈틈없이 꽉 꽉 채우지 않습니다.
그 꽉 채우지 않는 여백 - 그것은 대상의 세계를 완벽하게 자기가 소유하거나 지배해 버리지 않고,
오히려 그 여백 속에 자신을 포함하여 이웃,
인간들이 끼어들어 공존하고 함께 살려는 공간으로서의 여백을
무의식적으로 남기는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해봅니다.
만약 제 생각이 틀리지 않다면, 아이들이 그림을 그릴 때 빈 여백을 많이 남기면남길수록
'낭비'라고 야단치기보다는 오히려 그 너그러운 마음씨를 칭찬을 해 주어야 합니다.
무엇으로든 가득 채우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는 것처럼 생각이 됩니다.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아이들의 스케치북을 보면 저는 그림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봅니다.
"야, 이 그림은 참 색을 곱게 썼다. 중간색 만드는 솜씨가 보통이 아닌데"
그런데 신기하게도 아내는 그림보다도 빈 여백을 보면서 아이들을 야단칩니다.
"이게 뭐야! 이게... 이렇게 스케치북을 낭비하면 다음부터는 안 사준다! 낭비하지 말고 빈 틈 없이
다 그림을 그리란 말이야! 너네 아빠가 종이공장 사장이냐? 이렇게 낭비를 하게... 이게 머야 이게!"
도화지 한 장을 펼치면 거기엔 그림을 그리는 이의 세계관과 자기표현이
맘껏 펼쳐질 넓은 놀이 마당 앞에 서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그 마당 원하는 자리에서 자기의 맘껏 뛰어놀면 되지,
의무적으로 마당 전체를 다 사용하면서 놀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도화지를 무언가로 꽉 채워야 한다는 강박관념은 서양적 사고와 세계관입니다.
동양적 사고는 그림의 '여백'을 굉장히 중요시합니다.
동양화는 절대로 도화지를 빈틈없이 꽉 꽉 채우지 않습니다.
그 꽉 채우지 않는 여백 - 그것은 대상의 세계를 완벽하게 자기가 소유하거나 지배해 버리지 않고,
오히려 그 여백 속에 자신을 포함하여 이웃,
인간들이 끼어들어 공존하고 함께 살려는 공간으로서의 여백을
무의식적으로 남기는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해봅니다.
만약 제 생각이 틀리지 않다면, 아이들이 그림을 그릴 때 빈 여백을 많이 남기면남길수록
'낭비'라고 야단치기보다는 오히려 그 너그러운 마음씨를 칭찬을 해 주어야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