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예화우화모음 |
추천 찰스에어베어드의 역사연구 네가지
페이지 정보

본문
세계적으로 유명한 역사가 찰스 에이베어드에게 어떤 기자가 물었습니다.
“당신은 한평생 역사를 연구했습니다. 그 역사를 연구하면서 깨달은 바가 무엇입니까?
당신이 그 많은 시간, 세계 역사를 연구하면서 얻은 것이 무엇입니까?”
찰스 에이베어드는 확실하게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나는 역사를 연구하면서 네 가지 진리를 깨달았습니다.
이 네 가지가 그 많은 시간, 세계 역사를 연구하면서 내가 얻은 것의 전부입니다.”
그가 얻은 깨달음은 이것입니다.
그 첫째는,
하나님께서 어떤 것을 멸하시려고 할 때에는 그것이 개인이건 국가건 막론하고
권세욕에 날뛰게 하신다는 것을 알았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겸손하게 만드시면 그것은 축복이요, 교만하도록 내버려두신다면 그것은 심판이라는 것입니다.
권세욕에 날뛰면서 자기자랑하고 자기 명예에 빠지고 교만해지는 것을 보면
하나님께서 저들을 버리시는구나... 한다는 것입니다.
교만 뒤에는 반드시 망하고 권세욕에 날 뛰 다음에는 반드시 떨어지더라는 것입니다.
세계 역사를 보면서 그것을 배웠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개인으로 교만해지든지 국가적으로 교만해지든 권세욕에 날뛰는 것을 보시거든,
이제 석양이 오고 마지막이 오고 끝장 날 때가 다 되었구나. 라고 알면 되겠다.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권세욕에 눈이 뒤집혀져서 날뛴 사람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대통령도 있었고, 부통령도 있었고, 심지어 총을 들고 적과 싸워야할 군인도 있었습니다.
자기들의 생명을 바쳐서 지켜주어야 할 국민을 도리어 그 칼과 그 총으로
자기 국민을 죽인 권세욕에 눈이 먼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지금 어떻게 되었습니까?
우리 가정에서도 노름과 술과 여자에 미쳐서 부인도, 아이들도 때리고
난장을 치던 권위와 권세욕에 눈이 먼 아버지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아버지들이 지금은 얼마나 많이 줄어들었습니까?
그런데도 우리들이 아직도 권세가 없다고 한탄하고 자기 처지를 절망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두 번째로는
하나님의 맷돌이 있는지 없는지 의심까지 될 정도로 천천히 돌아가는데,
그러나 하나님의 맷돌은 부드럽게 천천히 돌면서 갈고 있습니다.
갈아서 결국은 의는 의로, 불의는 불의로, 선은 선으로, 악은 악으로
골라내시고야 만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하나님의 심판이 없다고요? 하나님의 심판은 반드시 있습니다.
의는 의로, 불의는 불의로 깨끗하게 갈라놓으십니다.
이것을 유명한 역사가 찰스 에어베어드가 한 평생 연구한 세계 역사 속에서 읽었다. 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로
그가 역사에서 발견한 진리는 이것입니다.
꿀벌이 꽃에 가서 꿀을 도적질하는데,
그 꿀이 꽃에 괴어 있는 것을 벌꿀들은 꽃에게 다가가 물어도 안보고 막 뽑아냅니다.
꿀벌이 꽃에게서 꿀을 강도질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결국은 그 때문에 꽃이 열매를 맺습니다.
마찬가지로 이 세상에는 악한 사람도 있어 강도질하는 사람도 있고
불의가 득세하는 일도 있지마는 결과적으로는 다 합쳐져서 저만치 가서는 의의 열매,
선의 열매를 맺게 되는 것을 보았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찰스 에이베어드가 보았고, 가졌던 역사의식입니다.
네 번째로는 날이 차츰 어두워질 때는 별을 볼 수 있는데,
이것 마찬가지로 암흑과 혼란이 길어지면 이것이 다 지나가기 전에
반드시 소망의 별이 나타나는 것을 보았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이제 끝났다. 캄캄하다. 망했다. 하는 소리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망하기 전에 반드시 새로운 별을 보여 주십니다.
새벽별을 보여주시고, 소망의 별을 보여주시는 것입니다.
그런고로 역사를 아는 사람은 결코 절망하지 않습니다.
절망할 필요도 없습니다.
절망할 수 도 없습니다.
“당신은 한평생 역사를 연구했습니다. 그 역사를 연구하면서 깨달은 바가 무엇입니까?
당신이 그 많은 시간, 세계 역사를 연구하면서 얻은 것이 무엇입니까?”
찰스 에이베어드는 확실하게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나는 역사를 연구하면서 네 가지 진리를 깨달았습니다.
이 네 가지가 그 많은 시간, 세계 역사를 연구하면서 내가 얻은 것의 전부입니다.”
그가 얻은 깨달음은 이것입니다.
그 첫째는,
하나님께서 어떤 것을 멸하시려고 할 때에는 그것이 개인이건 국가건 막론하고
권세욕에 날뛰게 하신다는 것을 알았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겸손하게 만드시면 그것은 축복이요, 교만하도록 내버려두신다면 그것은 심판이라는 것입니다.
권세욕에 날뛰면서 자기자랑하고 자기 명예에 빠지고 교만해지는 것을 보면
하나님께서 저들을 버리시는구나... 한다는 것입니다.
교만 뒤에는 반드시 망하고 권세욕에 날 뛰 다음에는 반드시 떨어지더라는 것입니다.
세계 역사를 보면서 그것을 배웠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개인으로 교만해지든지 국가적으로 교만해지든 권세욕에 날뛰는 것을 보시거든,
이제 석양이 오고 마지막이 오고 끝장 날 때가 다 되었구나. 라고 알면 되겠다.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권세욕에 눈이 뒤집혀져서 날뛴 사람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대통령도 있었고, 부통령도 있었고, 심지어 총을 들고 적과 싸워야할 군인도 있었습니다.
자기들의 생명을 바쳐서 지켜주어야 할 국민을 도리어 그 칼과 그 총으로
자기 국민을 죽인 권세욕에 눈이 먼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지금 어떻게 되었습니까?
우리 가정에서도 노름과 술과 여자에 미쳐서 부인도, 아이들도 때리고
난장을 치던 권위와 권세욕에 눈이 먼 아버지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아버지들이 지금은 얼마나 많이 줄어들었습니까?
그런데도 우리들이 아직도 권세가 없다고 한탄하고 자기 처지를 절망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두 번째로는
하나님의 맷돌이 있는지 없는지 의심까지 될 정도로 천천히 돌아가는데,
그러나 하나님의 맷돌은 부드럽게 천천히 돌면서 갈고 있습니다.
갈아서 결국은 의는 의로, 불의는 불의로, 선은 선으로, 악은 악으로
골라내시고야 만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하나님의 심판이 없다고요? 하나님의 심판은 반드시 있습니다.
의는 의로, 불의는 불의로 깨끗하게 갈라놓으십니다.
이것을 유명한 역사가 찰스 에어베어드가 한 평생 연구한 세계 역사 속에서 읽었다. 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로
그가 역사에서 발견한 진리는 이것입니다.
꿀벌이 꽃에 가서 꿀을 도적질하는데,
그 꿀이 꽃에 괴어 있는 것을 벌꿀들은 꽃에게 다가가 물어도 안보고 막 뽑아냅니다.
꿀벌이 꽃에게서 꿀을 강도질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결국은 그 때문에 꽃이 열매를 맺습니다.
마찬가지로 이 세상에는 악한 사람도 있어 강도질하는 사람도 있고
불의가 득세하는 일도 있지마는 결과적으로는 다 합쳐져서 저만치 가서는 의의 열매,
선의 열매를 맺게 되는 것을 보았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찰스 에이베어드가 보았고, 가졌던 역사의식입니다.
네 번째로는 날이 차츰 어두워질 때는 별을 볼 수 있는데,
이것 마찬가지로 암흑과 혼란이 길어지면 이것이 다 지나가기 전에
반드시 소망의 별이 나타나는 것을 보았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이제 끝났다. 캄캄하다. 망했다. 하는 소리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망하기 전에 반드시 새로운 별을 보여 주십니다.
새벽별을 보여주시고, 소망의 별을 보여주시는 것입니다.
그런고로 역사를 아는 사람은 결코 절망하지 않습니다.
절망할 필요도 없습니다.
절망할 수 도 없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