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여론조사 |
교육 국사과목의 빈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페이지 정보

본문

국사 (교과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이동: 둘러보기, 찾기
국사(國史)는 대한민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에서 가르치는 한국사 교과목이다.
국사 과목의 교과서는 1종 교과서로 개별 출판사들에게 제작을 위임하지 않고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국사편찬위원회 위탁으로 제작한다.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경우, 6차 교육과정(1996년 고등학교 입학생 ~ 2001년 고등학교 입학생) 까지는
한국 근현대사 내용도 있었으나, 7차 교육과정(2002년 고등학교 입학생~) 이 적용되면서
한국 근현대사 내용이 삭제되었다. 이 내용은 한국근현대사로 이동하였다.
그러다 2006년에 고등학교에 입학한 학생부터 국사 교과서에 한국 근현대사 내용이 추가되었다.
즉, 2002년 고등학교 입학생 ~ 2005년 고등학교 입학생들이 배웠던 국사 교과서와
2006년 고등학교 입학생들이 배웠던 국사 교과서는 다르다.
이에 따라 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사회탐구영역의 국사 과목에
한국 근현대사 내용이 출제 범위에 포함되었다. <..생략>
댓글목록

나.연님의 댓글
나.연 작성일우리나라 역사를 알고 배우는 것이 중요한 건 어찌보면 당연한 것인데 국영수 중심에 입시등으로 국사라는 과목이 등한시 되어지고 있어서 안타깝습니다. 그래서 국사과목을 주요 과목으로 만드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바란님의 댓글
바란 작성일수능에서 만의 국사 변화는 효과가 적을 거라고 봅니다. 대입은 정시만 아니라 수시도 있으니까요. 그런 점들을 고려할때 시험에서의 변화보다 학교 내에서의 변화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따로 새로운 제도가 생겼으면 하는 군요. 일단, 내신에 국사를 필수화하는 것이 먼저겠지요. 그리고 그것을 1학년이 아니라 1학년 2학년 세분화해서, 2년에 걸쳐 배울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한국사 검정능력시험 1급 소지자의 입장으로서 말씀 드리자면, 국사 공부량이 장난 아닙니다. 다른 사탐 3과목 = 국사 1과목 이라는 말도 존재 하니까요.) 더욱이, 제도만 존재하지 말고 국사 가산점이라 든지, 수시 지원이나 내신 점수에, 그리고 수능 사탐에서 국사 선택자에 추가 점수를 준다는 등 이득이 되는 뭐랄까 실질적인 제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래야 많은 학생들이 몰려들고 공부도 하게 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