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여론조사 |
교육 홍익대학교 미술대 실기고사 폐지 찬반논란
페이지 정보

본문

실기고사를 폐지키로 해 미술계에
적잖은 파장과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일부 홍대 미대 교수들 사이에서조차도 의견이 엇갈리며
완전 폐지가 과연 가능할까 라는 회의적 반응이 나오고 있는데요.
입시 미술학원들의 반발로 큰 난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1. 학원에서 암기 교육처럼 획일적인 훈련을 받은학생을 뽑기보다는
실기를 아예 보지 말자는 의견이 그동안 있었고
개인적으로는 실기를 적게 보는 쪽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2. 그동안 자율전공 학부생 전형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과
미술에 대한 관심도 등을 심층면접으로 걸러낸 경험도 있다.
3. 실기고사 폐지는 학원 위주의 미술교육을 공교육으로 넘겨
정상화하고 미대 실기고사를 둘러싼 부정의 소지도 제거할 수 있다.
4. 미대 실기고사로 입시학원 비용이 상당이 많이 지출되고 있어
돈 많은 부자들에게 상당히 유리해 입시 형평성에 문제가 많다.

1. 창의성이 중요하고 심층면접으로 학생들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는 생각에는 동의하지만
미술 작가에게는 생각을 작품으로 연결해내는 능력도 중요하다
2. 실기고사 폐지는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다.
3. 독일의 경우도 미대는 실기가 중요하고 실기를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4. 입시학원들의 반발이나 대안 부재 등의 문제로 완전 폐지는 불가능하다.

댓글목록

지식인님의 댓글
지식인 작성일
나는 홍대 미대 시험을 본 사람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바를 몇자 적겠습니다.
예술가들은 예술을 시작하는 때가 차이가 있습니다.
위대한 예술가들은 집안의 환경이나 주변인 추천, 교육 등을 통해서
예술에 입문하게 되는데, 예술과 창작은 시작하는 때가 중요한게 아니라,
예술작품의 진실성과 창의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한국은 입시교육의 틀에서 예술가들을 길러 내는 것이 문제입니다.
순전히 입시교육에 의해서 미대에 입학하고 졸업해야 인정받는
한 제도에 예술가의 등용문이 있는 셈이죠!
입시교육은 무엇입니까?
사교육 아닙니까?
입시미술을 하신 분은 다 아시겠지만, 입시미술에서 개인적인 주관이 들어가면
대학입시 떨어집니다. 순전한 객관적 표현력과 주제에 의한 경쟁적 창의산물로
개인의 능력을 평가 받습니다.
이런 제도 저런 제도가 있을 때 실기고사 폐지에 반대하는 것은 지지를 받을 사안이나,
지금과 같이 예술가의 등용문이 90%가 대학입시로 연결된 상태에선
창의적인 예술가 양성을 위해서 실기고사 폐지는 적극 장려해야 할 사안이 된다고 봅니다.
예술은 다양성을 존중합니다.
그러나, 예술교육은 다양성을 배척합니다.
입시교육을 받은 선배들이 창의적인 제도를 만들지 못합니다.
우리나라가 세계에 나아가 예술가로서 인정받는 길은..
예술 등용문의 길을 입시제도 안에서 빼야 만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예술은 상업성에 물들어 있고, 예술교육은 경쟁에 막혀 있습니다.
여기서 돈을 벌고 이익을 취한 집단의 이익다툼과 다양성 정책 추진 방해가 예상됩니다.
대학입학 목표로 예술가들이 몽둥이로 맞고...
창작의 고민을 하면 사치로 머저리로 병신으로 인정받는...
단순히 외우고 선생님 말씀에 복종하고 따라야 하는...
많은 돈을 학원비에 내면서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예술지원자들 끼리 대화가 단절되고 끊긴...
상위 대학과 하위 대학 간 서열이 매겨지고 관리되는...
똑같은 뎃생물로 똑 같은 생각을 강요받는 객관적 예술인...
그리고... 대학을 졸업해서 생계로 학원 강사로 취업하는...
아!
평생 예술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