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여론조사 |
정책 품질이 떨어지더라도 국산품을 애용해야 하는가?
페이지 정보

본문
예전 같으면 다른 예를 들텐데...
지금은 먹는 '쌀'의 예를 들겠습니다.
여러분도 T.V를 보셔서 잘 아시겠지만...
칠레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으로 인한 한국시장내 외국쌀 개방압력이 거셉니다.
그런데 문제는 한국 국민들의 의식엔 토종식품을 먹어야 좋다는 의식이 의외로 많다는 것입니다.
토종, 즉 국산 애용...
한국인은 한국쌀을 먹어야 한다...
그런데, 쌀의 품질이 서양의 것이 더 낫다면....
그래도 한국 국민들은 토종 쌀, 국산 쌀을 먹어야 한다고 주장할까요?
외국의 쌀 생산능력과 가공능력, 과학적인 관리는 한국이 전혀 예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쌀을 베어 말리는데 외국은 순수 햇빛을 이용했고 한국은 미곡장에서 온도를 높여 말리고 있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미곡할때 관리를 잘못해서 한국의 쌀들은 외국쌀보다 깨진 쌀 알이 훨씬 많았었습니다.
이런 깨진 쌀은 밥을 지을 때 밥 맛을 떨어트리는 원인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한국의 상품 품질이 떨어지더라도 국산품을 애용할 수 있는지요?
oneinmen:
그러지들 마시고 농림부 장관을 수입하는 게 어떻습니까? -[03/05]-
지금은 먹는 '쌀'의 예를 들겠습니다.
여러분도 T.V를 보셔서 잘 아시겠지만...
칠레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으로 인한 한국시장내 외국쌀 개방압력이 거셉니다.
그런데 문제는 한국 국민들의 의식엔 토종식품을 먹어야 좋다는 의식이 의외로 많다는 것입니다.
토종, 즉 국산 애용...
한국인은 한국쌀을 먹어야 한다...
그런데, 쌀의 품질이 서양의 것이 더 낫다면....
그래도 한국 국민들은 토종 쌀, 국산 쌀을 먹어야 한다고 주장할까요?
외국의 쌀 생산능력과 가공능력, 과학적인 관리는 한국이 전혀 예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쌀을 베어 말리는데 외국은 순수 햇빛을 이용했고 한국은 미곡장에서 온도를 높여 말리고 있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미곡할때 관리를 잘못해서 한국의 쌀들은 외국쌀보다 깨진 쌀 알이 훨씬 많았었습니다.
이런 깨진 쌀은 밥을 지을 때 밥 맛을 떨어트리는 원인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한국의 상품 품질이 떨어지더라도 국산품을 애용할 수 있는지요?

그러지들 마시고 농림부 장관을 수입하는 게 어떻습니까? -[03/05]-
댓글목록

이유나님의 댓글
이유나 작성일ㅎㅎ WOW~!!! 브라보!! ㅎㅎ 정말 굿 잡!!! 숙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