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지식정보 |
교양처세 리더십의 조건
페이지 정보

본문
“저 반에서 4등 했어요. 잘했죠”
“너희 반 몇 명인데?”
“32명이요”
“그럼, 상위 10%도 안 되는 거잖아. 더 열심히 해야 돼.”
귀여운 여학생이 나에게 웃으며 말을 걸었다.
중학교에 입학해서 처음 본 시험에서 자기 생각에 좋은 점수를 받았다고 나에게 자랑한 거다.
그런데, 나도 모르게 나는 그 학생의 기분을 엉망으로 만들었다. 괜한 충고를 하면서 말이다.
말하고 돌아서서 ‘왜 그렇게 말했을까?’하는 자책이 들었다.
더 열심히 해야 한다는 말을 하고 싶었어도, 먼저 잘했다고 칭찬해줄걸.
먼저 잘했다고 칭찬해주고 인정해주고, 그리고 더 높은 목표를 설정하라고 말할걸.
말은 다시 주워담을 수 없고,
지나간 상황은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그 여학생의 기분을 망친 것이 계속 아쉬웠다.
그러면서 2가지 이야기가 떠올랐다.
하나는 ‘문제아’들을 잘 다루는 학원 강사인 친구가 언젠가 했던 이야기다.
학원이나 학교에는 문제를 일으키고 잘 통솔이 되지 않는 학생들이 있는데,
학원 강사인 내 친구는 그런 ‘문제아’들을 잘 다룬다는 평을 듣고 있었다.
그 비결이 뭐냐고 언제가 물은 적이 있었는데, 그 친구가 이렇게 말했다.
“인간적으로 친해지면 나한테 잘해.
나랑 친하게 되면 내 수업시간에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 거지.”
또 하나의 이야기는 PC 방을 운영하는 선배에게 들은 이야기다.
“여기 막가는 녀석들도 나에게는 모두 90도로 깍듯하게 인사해.
내가 먼저 그 녀석들을 인정해주거든.
15살에 담배 피워도, 같이 이야기하다 보면 잘하고 인정받을 만한 것이 하나는 있거든.
내가 그걸 먼저 인정해주고 인간적으로 대해주니까, 내 앞에서는 피우던 담배도 끄고 깍듯하게 인사하더라고. “
리더십의 첫 번째 조건은 인간적으로 친해지는 거다.
내가 자신과 같은 편이고, 내가 하는 말은 자신을 위한 말이기 때문에
내 말을 듣는 것이 자신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라는
믿음을 먼저 주는 것에서 리더십은 시작돼야 한다.
내가 아무리 옳은 말을 해도, 내 주장이 아무리 합리적이라 해도,
나와 인간적인 친밀도가 없는 사람의 말은 귀에 들어오지 않는 거다.
인간적으로 친해지는 것은 쉬운 것이 아니다.
15살밖에 안된 녀석이 담배 피며 어슬렁거리는 걸 보며 그 녀석을 애정을 갖고
인간적으로 대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런 녀석을 보면 몽둥이를 먼저 들고 때려주고 싶은 마음만 생길 거다.
하지만, 내가 그 녀석에게 리더십을 발휘하고 싶다면,
인생에 좋은 충고를 해주고 싶다면, 먼저 애정을 갖고 인간적인 친밀함을 만들어야 한다.
충고는 그 다음이어야 한다. 그래야 내 말이 상대에게 전달된다.
그런데, 막상 리더가 되면 사람들은 친해져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거리를 두어야 한다는 생각을 먼저 하는 경우가 많다.
내가 지시하고 명령하는 것을 상대가 잘 듣게 하기 위해서는 너무 가깝게 지내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너무 가까우면 권위가 서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한마디로 ‘아랫것이 맞먹는 사태’을 경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많은 부모들이 첫째에게는 매우 엄하고 무섭게 한다.
그렇게 해야 아이를 통솔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들과 친구처럼 지내면, 아들이 내 말을 잘 안 들을 것 같다는 생각을 은연중에 하며
엄하고 무서운 아버지가 되곤 한다. 하지만, 친밀감 없지 지시하는 것을 따르는 것은 진짜가 아니다.
리더십의 첫 번째 조건은 내 말을 듣는 사람들과 친해지는 것이다.
그래서, 리더십을 배우고 싶은 사람은 먼저 사람들과 친해지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다른 사람과 친해지는 것은 매우 강력한 힘을 갖는다.
강의를 할 때, 사람들은 처음 5분이 매우 중요하다고 한다. 실제로 그렇다.
처음 5분을 잘 시작하면 2시간을 이야기해도 이야기하는 내내 재미있고 즐거운 분위기가 이어진다.
하지만, 처음 5분을 잘 시작하지 못하면 무겁고 재미없는 강의가 되곤 한다.
그런데, 처음 5분 동안은 사람들과 친해지는 시간이다.
말하는 사람과 말 듣는 사람의 친밀도가 처음 5분에 만들어진다.
그런 시간을 갖지 않으면 강의는 겉돌곤 한다.
인간적인 상호작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서로 친해지는 것이다.
아주 당연한 이것이 바로 리더십의 필요 조건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