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지식정보 |
교양처세 모든 성취는 반복의 결과다
페이지 정보

본문
중요한 이야기는 한 번 전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비전이나 핵심가치는 한 번 선언하고 끝내서는 안 된다.
몇 번이고 거듭 말해서 중요성을 공유해야 한다.
처음에 서너 번 반복하면 직원들은 ‘또 그 소리야’라고 생각하고,
다섯 번, 여섯 번이 되면 ‘중요하긴 한 모양이네’라고 생각할 것이다.
적어도 열 번 이상은 말해야 경영자의 본심이 제대로 전달되어 반응을 보이게 된다.
이지훈 지음 '혼.창.통 - 당신은 이 셋을 가졌는가?' 중에서 (쌤앤파커스)
성공은 매일 반복한 사람에게서 나옵니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선수들이나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학생들이나
업무의 달인들은 모두 자기가 중요하다고 여긴 것을 반복한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한 동작을 익히기 위하여 수천 번에 달하는 연습을 합니다.
매번 똑같은 동작을 반복하니 지루하기도 하고 짜증도 납니다.
하지만, 반복적으로 연습하지 않으면 성취할 수 없다는 것을 압니다.
그래서 그들은 지루함과 짜증을 이겨내고 반복합니다.
결코 한 번의 연습으로 모든 것을 다했다고 하는 법이 없습니다.
경영자들은 회사의 비전에 모든 직원들이 동참해주길 기대합니다.
그래서 계속 했던 말을 하고 또 합니다.
지겨울 정도로 회사의 비전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잭 웰치는 기업의 핵심가치는
‘700번 이상 반복해서 직원들에게 말하라’고 강조합니다.
우리는 매일 밥을 먹습니다.
매일 똑같은 행동이지만 밥을 먹는다고 짜증이 나지 않습니다.
‘살아야 한다’는 목표가 있기 때문입니다.
사는 데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밥’이라는 걸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신체적으로 살기 위해 밥이 중요하다면,
자신이 정신적으로 살아남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중요한 것에 몰입해야 합니다.
지루하고 짜증이 나더라도 지속적으로 반복해야 합니다.
그것이 자신의 습관이 되고, 근육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근육이 만들어졌다고 멈추어서도 안 됩니다.
조금이라도 반복하지 않으면 그 근육은 또 다시 풀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자기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한지를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중요한 것을 자신의 머리와 근육에 주입시켜야 합니다.
강헌구 교수는 ‘하루에 꿈을 열다섯 번씩 종이에 적어라’고 했습니다.
자신의 미래를 반복적으로 생각하고, 자극하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자기자극이고 자기강화입니다.
오늘 아침도 나의 미래를 생각합니다.
나의 미래를 위해 가장 중요한 핵심가치가 무엇인지를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핵심가치의 실현을 위해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있는지 점검합니다.
끊임없이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전달하고 반복하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모든 성취는 이러한 반복적인 실행의 결과로 나타날 것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