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지식정보 |
경제경영 성장, 피드백을 통한 목적의식이 분명한 연습이 만든다
페이지 정보

본문
체스가 발전하던 초창기,
사람들은 체스에서 피드백을 얻는 간단한 방법을 알아냈다.
그것은 그랜드마스터들이 펼친 역사적인 시합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그랜드마스터가 했던 시합과 정확히 동일한 상황으로 체스판을 배치하고 말을 움직인 후,
자신이 놓은 수를 그랜드마스터의 수와 비교해보는 것이다.
이런 식의 피드백은 아주 효과가 좋다.
의욕이 넘치는 사람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를 놓으면서 연구를 해볼 것이다.
자신의 선택이 그랜드마스터의 선택과 달랐던 또는 같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그 시합에서 그랜드마스터의 수가 지니는 의미는 무엇일까?
그랜드마스터는 어떤 추론을 했기에 그 수를 선택했을까?
매슈 사이드 지음, 신승미 옮김, 유영만 해제 '베스트 플레이어
- 왜 우리는 열광하고 그들은 세상을 지배하는가' 중에서 (행성비)
'피드백'을 통한 연습은 성장을 위한 가장 중요한 동력입니다.
과학실험, 스포츠 등 많은 분야에 해당되는 원칙이지요.
체스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수들의 역사적인 시합을 재연하면서
자신의 선택과 비교 연습해보는 것.
이것도 그 체스 고수로부터 피드백을 받으며 연습하는 좋은 훈련방법입니다.
"우거진 나무가 펼쳐진 숲속 낮은 지대에서 높은 지대로
솜씨 있게 공을 쳐올리는 타이거 우즈처럼 범상치 않은 기술을 구사하는
베스트 플레이어를 보거든 앞에서 말한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천재의 징후처럼 보이는 그 기술을 얻기 위해 그 선수는 당신이 평생 연습했던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철저한 피드백을 받으며 그 하나만을 위해 연습했다는 사실을 말이다."
타이거 우즈가 어제 막을 내린 셰브론 월드 챌린지에서 4R에 역전을 당하며 우승을 놓쳤습니다.
골프황제가 스캔들의 여파로 올해는 '무관'으로 시즌을 마감한 겁니다.
하지만 그 전날 3R에서 우즈는 맨땅에 떨어졌던 공을 절묘한 샷으로
홀컵 바로 옆에 붙이는 기술을 보여주더군요.
역시 녹슬지 않은 대단한 모습이었습니다. 내년 시즌의 부활을 예고하는 듯했습니다.
피드백을 통한 목적의식이 분명한 연습.
이것이 바로 아마추어와 프로를 나누는 기준입니다.
이것이 결여된 아마추어는 결국 다음번에 비슷한 문제와 마주쳐도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그저 닥치는 대로 경기를 하게 됩니다. 성장이 더딜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골프건 체스건 경영이건 마찬가지입니다.
샷 하나를 위해 수 많은 시간을 철저한 피드백을 받으며 연습하는 프로 골퍼들,
그랜드마스터들의 역사적인 시합을 복기하며 그 고수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자신의 선택을 연구하는 체스 선수들을 떠올려보면 좋습니다.
피드백을 통한 체계적인 연습은 성장의 필수 요소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