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지식정보 |
교양처세 국민을 슬프게하는 공직자들의 '거만함' 시리즈와 톨스토이
페이지 정보

본문
"어리석음은 거만한 마음이 없는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지만,
거만함은 언제나 어리석음과 함께 한다."
(톨스토이)
최근 잇따라 드러나고 있는 '공직자'들의 올바르지 않은 처신들이
국민들을 슬프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거기서 '거만함'을 봅니다.
목불인견으로 전개된 중국 상하이 총영사관의 스캔들 사건을 보며
정작 국민들은 왜 그리 그곳에 영사들이 많은지,
부처마다 주재관들을 보내서 무얼 하고 있는지 의아해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의 세금으로 생활하며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 직업인 공무원들인데,
들려오는 소식은 비리와 추문이고 자국민 보호는 뒷전이라는 얘기들입니다.
그들은 일도 적고 감독도 덜 받는 해외 공관 파견을 '권리'이자 '특권'으로 생각하는 듯합니다.
"나는 다르다"는 '거만함'이 보입니다.
대통령의 한 측근은 '모두의 예상대로' 산은금융지주 회장에 내정됐습니다.
'실력'을 떠나 대통령을 생각하거나 본인은 생각한다면 꼭 이 시점에
그런 자리로 가야했는지 의문이거니와, 여기에 더해 금융당국의 수장은 즉시
'산은지주회장 연봉인상'을 이야기하고 나섰습니다.
"산은지주 회장 성격상 월급을 더 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라고 말했다는 보도입니다.
산은지주회장의 연봉은 판공비와 성과급을 포함해 4억원 가량이라고 합니다.
이걸 민간금융기관장급인 10억원 수준으로 올리겠다는 의미라고 언론들은 해석하고 있습니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책금융기관장의 연봉을 이렇게 사람에 따라
쉽게 마음대로 올릴 수 있는 것인지 국민들은 또 의아합니다.
여기에도 "우리는 다르다"는 '거만함'이 보입니다.
'거만함' 시리즈는 한 시의원에 관한 보도로 절정에 이른 느낌입니다.
지난 1월 주민센터 행패사건으로 물의를 일으켰던 경기도 성남시의 한 시의원.
그녀가 지난해 9월에도 300만원이 든 지갑을 도단당했다며
단골 미용실 직원들을 절도범으로 몰고 경찰을 동원해 소동을 벌였다는 보도가 전해진 겁니다.
그 미용실의 한 직원은 "그녀가 평소에도 '날 몰라? 나 시의원인데?'라며
VIP룸을 제공하라는 등 무리한 요구를 했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시민들에게 봉사하라고 뽑아준 공복이 자기가 무슨 조선시대 '벼슬'이라도 한듯 그리 거만한 모습을 보였다니,
믿어지지도 않고 믿고 싶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올초 동사무소 행패사건의 현장을 담은
CCTV 화면 내용을 방송을 통해 본 입장에서는 그랬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20년도 훨씬 전인 지난 1986년 대학교 3학년때
한국과 미국 국회의 학생교환프로그램으로 미 의회에서 인턴십을 했었습니다.
당시 만났던 미국 하원의원들의 '겸손함'은 지금도 생생합니다.
제가 보조했던 하원의원도 그랬고 그 프로그램의 책임자였던 하원 외교위원장도 그랬습니다.
유권자도 아닌 먼 아시아에서 온 대학생 인턴에게 그들은 너무도 겸손한 모습이었습니다.
너무 과도하다 싶을 정도였지요. 공직자는 그래야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기초자치단체의 의원제도는 없애야합니다.
정치권도 그 문제점을 잘 아는지라 지난해 한 때
시군구 의원 선거를 없애겠다고 나섰지만 결국 흐지부지 됐습니다.
막상 없애려니 선거때 자신의 '수족' 역할을 하는 그들이 아쉬웠던 겁니다.
당장 없애지 못한다면 최소한 연봉을 주지 않는 명예직으로 환원시켜야 합니다.
처음 지방자치제도가 시작됐을 때는 무보수였습니다.
선거가 아니라 '추첨'으로 선출을 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그러면 지금보다 훨씬 양질의 시민들을 '공복'으로 선발할 수 있을 겁니다.
"세상의 형제들을 사랑하지 않고 그들에게 화를 내는 것은 좋지 못하다.
그러나 그보다 훨씬 좋지 않은 것은, '나는 세상에 널린 인간이 아니다.
남들보다 월등 뛰어난 인간이다. 그러므로 나는 남들에게 대우를 받아야 하며,
나아가 남들을 대우하지 않아도 된다'고 스스로를 설득하는 경우다."
톨스토이가 '거만한 마음'을 경계하며 한 말입니다.
"어리석음은 거만한 마음이 없는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지만,
거만함은 언제나 어리석음과 함께 한다"는 톨스토이의 말의 의미를 물의를 일으킨
우리의 공복들이 이해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그들이, 그리고 제도가 바뀌지 않는다면 그들의 삶도 슬프고 우리 국민들도 슬픈 일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