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지식정보 |
사회문화 좌뇌를 활성화하는 클래식 감상법
페이지 정보

본문
클래식은 '귀'가 아니라 '뇌 전체'로 듣는 것...
좌뇌를 활성화하는 클래식 감상법
좌뇌에는 '언어'의 생성과 이해를 관장하는 '언어 중추'라는 부위가 있다.
때문에 좌뇌를 훈련하려면 '언어'를 활용하는 편이 효과적이다.
좌뇌 트레이닝을 위해 오페라나 합창곡 등
가사가 있는 곡을 추천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가사가 있는 곡을 들을 때는 그 내용과 배경을 이해하고
가사를 음미하면서 들으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중요하다.
분석적으로 감상할 수록 좌뇌를 충분히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사를 제대로 이해하고 들으면 자연히 감동의 깊이도 더해지고 기억에 확실히 남는다.
'기억에 남는다'는 것은 뇌에 새로운 네트워크가 생겨났다는 의미이고, 뇌가 활성화됐다는 증거다.
이같은 효과를 고려하여 '챕터2'에서는 부록 CD에 수록한 곡의 가사에 음을 달았다.
글자를 읽을 때는 언어의 이해를 관장하는 좌뇌가 활성화된다.
음악을 들으면서 좌뇌 트레이닝을 하려면 가사를 소리 내어 읽고
의미를 이해할 때 더욱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요네야마 기미히로 지음, 김은하 옮김 '클래식, 나의 뇌를 깨우다
- 뇌전문의가 처방한 클래식 두뇌 트레이닝' 중에서 (예인(플루토북))
"음악은 '귀'로 듣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음악은 '뇌' 전체로 듣는 것이다...
음악에는 상상 이상으로 뇌를 자극하는 힘이 있다."
뇌와 치매 전문의인 요네야마 기미히로 박사는
"클래식은 귀가 아니라 뇌로 듣는 것"이라며 '뇌가 젊어지는 음악 감상법'을 활용하라고 말합니다.
최근의 뇌과학 연구에 따르면 뇌신경세포 간 연결고리,
즉 뇌신경 네트워크는 나이에 관계없이 새롭게 생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합니다.
뇌에 새로운 자극을 주면 뇌신경 네트워크가 새롭게 생성되는데,
클래식 감상이 뇌를 활성화하는 새로운 자극이라고 요네야마 박사는 강조합니다.
사람의 대뇌 중 우뇌는 시각 정보의 처리,
전체상의 파악, 직감적인 판단을 관장하고, 좌뇌는 논리적 사고,
계산과 같은 숫자 정보 처리, 언어 구사, 관찰 및 분석 능력을 담당합니다.
클래식 감상으로 뇌를 자극한다면 대개 우뇌를 생각하기 쉽지만,
요네야마 박사는 리듬과 음정, 가사는 좌뇌가 듣고 판단하기 때문에
음악은 좌뇌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합니다.
저자는 우뇌에 이어 좌뇌를 활성화하는 클래식 감상법을 제시해줍니다.
우선 상대의 이야기를 경청하듯이 가사를 음미해보고,
소설을 읽듯이 오페라나 가곡의 내용을 이해해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클래식을 들으면서 작품에 묘사되지 않은 앞뒤의 줄거리를 상상해보고,
작곡가의 의도와 곡의 탄생 배경을 조사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소프라노나 테너 중 한 성부에만 의식을 집중해 들어보거나,
그 곡이 마음에 와닿는 이유를 나름대로 분석해보는 것도 좌뇌를 활성화하는데 좋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요네야마 박사가 책의 부록CD에서 소개한
'좌뇌를 깨워주는 클래식 명곡 10선'은 다음과 같은 곡들입니다.
1. 푸치니의 오페라 <토스카> 중 별은 빛나건만
2. 슈베르트의 마왕
3.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 중 할렐루야
4. 베르디의 오페라 <나부코> 중 가라 내 마음이여, 금빛 날개를 타고
5.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 중 밤의 여왕 아리아
6.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 중 하바네라
7. 모차르트의 아베 베룸 코르푸스
8. 비제의 오페라 <진주조개잡이> 중 신성한 사원에서
9. 그리그의 솔베이지의 노래
10. 베르디의 오페라 <라트라비아타> 중 축배의 노래
우리가 잘 아는 곡들이 많습니다.
저자는 특히 가사를 우선 소리 내어 읽어본뒤,
CD를 들으며 따라 불러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소리를 내어서 부르는 것과 눈으로만 보는 것은
좌뇌 반응과 청각 자극에서 큰 차이가 나며, 뇌의 사용 범위도 훨씬 넓어진다는 것이지요.
가사의 뜻을 음미하며 부르면 더욱 좋지만, 뜻을 이해하지 못해도 상관없다고하니,
오래간만에 집에서 오페라나 가곡을 소리 내어 불러보면서 좌뇌를 자극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