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커뮤니티>지식정보 |
철학심리 효율과 멀티태스킹, 그리고 '3의 법칙'
페이지 정보

본문
멀티태스킹은
'무엇이 나를 더 비효율적으로 만드는가'라는 생각을 하지 못하게 하는 적(敵)이다.
멀티태스킹을 금지시키면 업무 효율이 높아진다.
얼마 전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경영컨설턴트 1400명을 대상으로
매주 하루 저녁 6시 이후 스마트폰으로 일을 못하게 했는데,
3년 뒤 이들의 78%가 업무에 만족하게 됐다는 결론이 나왔다.
멀티태스킹을 하지 않으면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이 40~50% 올라갈 것이다.
'지능과 기억력은스마트 싱킹에단 10%만 영향' 중에서 (조선일보, 2012.5.20)
생각과 사고의 효율을 높이는 것은 우리의 영원한 숙제이지요.
인터넷 시대, 항상 접속해 있는 '올웨이즈 온' 시대...
우리가 살고 있는 요즘은 우리에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단도 제공하고 있지만
동시에 우리의 집중력을 방해하는 환경도 주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 대가인
미국 텍사스주립대의 아서 마크만(Markman) 교수가
멀티태스킹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더군요.
그는 우리가 종종 하게 되는 멀티태스킹이 효율을 떨어뜨리는 '적'이라고 말합니다.
멀티태스킹이 소소한 일들에 매몰되어 무엇이 중요한지,
또 무엇이 중요하지 않은 것들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지 못하게 만든다는 겁니다.
그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멀티태스킹을 금지하고,
중요도에 따라서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그가 주장하는 '3의 법칙'도 이와 연관이 있지요.
어떤 사안에 대해 기억을 할 때는 핵심적인 3가지만 기억하라는 겁니다.
인간이 정보를 머리에서 검색해낼 수 있는 적정 수준이 3개이니,
더 많은 것을 기억하려 바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얘깁니다.
"잠에서 깨면 로즈메리향을 맡으시고 껌을 씹어보세요.
또 블루베리, 사과, 마늘을 많이 먹으면 기억력과 지능이 좋아집니다."
(미국 과학뉴스 사이트 '라이브사이언스')
생각과 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마크만 교수의 조언을 한번 실천해보시기 바랍니다.
'무엇이 나를 더 비효율적으로 만드는가'라는 생각을 하지 못하게 하는 적(敵)이다.
멀티태스킹을 금지시키면 업무 효율이 높아진다.
얼마 전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경영컨설턴트 1400명을 대상으로
매주 하루 저녁 6시 이후 스마트폰으로 일을 못하게 했는데,
3년 뒤 이들의 78%가 업무에 만족하게 됐다는 결론이 나왔다.
멀티태스킹을 하지 않으면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이 40~50% 올라갈 것이다.
'지능과 기억력은스마트 싱킹에단 10%만 영향' 중에서 (조선일보, 2012.5.20)
생각과 사고의 효율을 높이는 것은 우리의 영원한 숙제이지요.
인터넷 시대, 항상 접속해 있는 '올웨이즈 온' 시대...
우리가 살고 있는 요즘은 우리에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단도 제공하고 있지만
동시에 우리의 집중력을 방해하는 환경도 주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 대가인
미국 텍사스주립대의 아서 마크만(Markman) 교수가
멀티태스킹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더군요.
그는 우리가 종종 하게 되는 멀티태스킹이 효율을 떨어뜨리는 '적'이라고 말합니다.
멀티태스킹이 소소한 일들에 매몰되어 무엇이 중요한지,
또 무엇이 중요하지 않은 것들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지 못하게 만든다는 겁니다.
그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멀티태스킹을 금지하고,
중요도에 따라서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그가 주장하는 '3의 법칙'도 이와 연관이 있지요.
어떤 사안에 대해 기억을 할 때는 핵심적인 3가지만 기억하라는 겁니다.
인간이 정보를 머리에서 검색해낼 수 있는 적정 수준이 3개이니,
더 많은 것을 기억하려 바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얘깁니다.
"잠에서 깨면 로즈메리향을 맡으시고 껌을 씹어보세요.
또 블루베리, 사과, 마늘을 많이 먹으면 기억력과 지능이 좋아집니다."
(미국 과학뉴스 사이트 '라이브사이언스')
생각과 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마크만 교수의 조언을 한번 실천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