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시대착오적 교육은 바뀌어야만 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승백이 작성일 12-09-21 23:48 조회 2,821 댓글 0본문
워낙 졸필인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그냥 이 자리를 빌려 저같은 학생분들께 드리고 싶은 말씀입니다.
암기식,주입식 줄세우기 교육,기득권층에 유리한 불평등한 출발점.다양한 사고와 논리를 묻기보다는 답이 정해진 문제만 풀게 하는 시대착오적인 교육은 폐지 또는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합니다. 창의력과 다양한 사고를 요구하는 지구촌 흐름에 반하여
오히려 수동적인 암기만 요구하는 대한민국의 주입식 교육이 과연 옳다고 생각합니까? 이런 쓸모없는 교육 때문에 사색하고,가치관을 확립하며 한창 인생을 즐겨야할 대한민국의 청장년들이 앞날이 불확실한 미친경쟁 속에서 세계최고량를 자랑하는 살인적인 수업으로 하루를 보내며 어리석은 교육정책의 희생양이 되어 금쪽같은 시간을 낭비해야 합니까? 이 시대의 교육은 대대적인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개혁을 위해 전국민적인, 사회적인 각성이 필요하며 당사자인 우리 학생부터가 깨어나고 알고 분노하고 그리하여 뭉치고 일어나야합니다. 우리가 그 개혁의 신호탄이 되어야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이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철저한 연구를 토대로 주변 사람들을 일깨워주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바뀌어야만 합니다! 첫째로 대학 서열화를 타파하고 평준화하여 줄세우기를 없애고 절대평가제도를 도입하여야 합니다. 그리하면 우리는 이 미친 경쟁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둘째로 주입식,암기식 교육이 아닌 글쓰기,발표 등 개인의 다양한 사고를 존중하고 개발하는 교육을 도입해야합니다.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셋째로 무상교육을 실시해야합니다. 유럽국가들은 GDP 6천~7천 달러일 때부터 무상 또는 준무상 교육을 실시하였는데 GDP 2만 달러에 육박하는 우리나라가 무상교육을 실시하지 못한 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단 하나, 기득권층이 가진 것을 내놓으려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의견들은 저만의 것이 아닙니다. 많은 지식인,학자,양심적인 사람들이 이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국민들이 깨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권력을 가진자들도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것입니다. 국민들이 깨어야 하고 그 최전방에 우리가 나서야합니다. 대한민국의 교육은 바뀌어야 하며 우리가 그 주축이 되어야합니다.
알고 깨어나고 분노하고 뭉치고 일어납시다.
끝으로 책[생각의 좌표]-홍세화 추천드리면서 이만 마치겠습니다.
조금 감정적인 글이 됬네요. 죄송합니다.
그리고 아래 기사 꼭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편의점 라면 먹고 학원으로 후다닥...
http://blog.naver.com/profe21?Redirect=Log&logNo=30147299722
그냥 이 자리를 빌려 저같은 학생분들께 드리고 싶은 말씀입니다.
암기식,주입식 줄세우기 교육,기득권층에 유리한 불평등한 출발점.다양한 사고와 논리를 묻기보다는 답이 정해진 문제만 풀게 하는 시대착오적인 교육은 폐지 또는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합니다. 창의력과 다양한 사고를 요구하는 지구촌 흐름에 반하여
오히려 수동적인 암기만 요구하는 대한민국의 주입식 교육이 과연 옳다고 생각합니까? 이런 쓸모없는 교육 때문에 사색하고,가치관을 확립하며 한창 인생을 즐겨야할 대한민국의 청장년들이 앞날이 불확실한 미친경쟁 속에서 세계최고량를 자랑하는 살인적인 수업으로 하루를 보내며 어리석은 교육정책의 희생양이 되어 금쪽같은 시간을 낭비해야 합니까? 이 시대의 교육은 대대적인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개혁을 위해 전국민적인, 사회적인 각성이 필요하며 당사자인 우리 학생부터가 깨어나고 알고 분노하고 그리하여 뭉치고 일어나야합니다. 우리가 그 개혁의 신호탄이 되어야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이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철저한 연구를 토대로 주변 사람들을 일깨워주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바뀌어야만 합니다! 첫째로 대학 서열화를 타파하고 평준화하여 줄세우기를 없애고 절대평가제도를 도입하여야 합니다. 그리하면 우리는 이 미친 경쟁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둘째로 주입식,암기식 교육이 아닌 글쓰기,발표 등 개인의 다양한 사고를 존중하고 개발하는 교육을 도입해야합니다.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셋째로 무상교육을 실시해야합니다. 유럽국가들은 GDP 6천~7천 달러일 때부터 무상 또는 준무상 교육을 실시하였는데 GDP 2만 달러에 육박하는 우리나라가 무상교육을 실시하지 못한 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단 하나, 기득권층이 가진 것을 내놓으려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의견들은 저만의 것이 아닙니다. 많은 지식인,학자,양심적인 사람들이 이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국민들이 깨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권력을 가진자들도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것입니다. 국민들이 깨어야 하고 그 최전방에 우리가 나서야합니다. 대한민국의 교육은 바뀌어야 하며 우리가 그 주축이 되어야합니다.
알고 깨어나고 분노하고 뭉치고 일어납시다.
끝으로 책[생각의 좌표]-홍세화 추천드리면서 이만 마치겠습니다.
조금 감정적인 글이 됬네요. 죄송합니다.
그리고 아래 기사 꼭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편의점 라면 먹고 학원으로 후다닥...
http://blog.naver.com/profe21?Redirect=Log&logNo=30147299722
첨부파일
- 8504922a_12321.bmp (448byte) 0회 다운로드 | DATE : 2012-09-21 23:48:40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