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한글과 한자의 동침은 합법적인가?
페이지 정보

본문
요즘은 한글 표기를 많이 써서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 많아졌다. 그래서 인지 우리의 고대문화를 모르는 경우도 많아졌다. 문제의 심각성 때문인지 교과서의 한자병용을 주장하는 국어학자들이 있다.
그런데 한쪽에서는 한글전용을 주장하고 있다. 과연 한자병용은 이루어지는 것이 좋겠는가?
한글의 우수성, 영어의 공용성, 한자의 고유성 우리는 도대체 무엇을 써야 한단 말인가?
전 지금 엄청나게 해깔립니다...
oneinmen:
한반도에서 사용하는 글은 한글입니다.
헷갈리지 마시고요.
이웃나라의 말을 쓰더라도 정확한 뜻을 알고 쓴다면 우리말에 없는 표현을 쓸 수 있겠죠.
영어의 경우에는 어원과 생성원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소개되어 있습니다만,
그 보다 더 친근한 한자의 경우 오히려 학습을 방해한 역사가 있어서 나쁜 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자에 대해서도 그런 연구가 많이 소개되어 더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05/05]-
최자영: 물론 한자가 병용되어야죠. 한글의 우수성, 영어의 공용성, 한자의 고유성, 모두 제각각 인정받아야 하는 고유의 성질들입니다. 즉 그 무엇도 무시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죠. 한글이 한자 없이 어떻게 버텨나겠습니까? 우리가 쓰는 단어 중에 80%가 한자어인데 말이죠.
윗분이 말씀하신것처럼 영어 단어를 외우다 보면 어원과 생성원리에 대해서 많은 걸 알게 됩니다. 그걸 파악하면 어느 순간부터는 단어 외우는 것이 좀 쉬워집니다. 한국말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국말의 80%는 그 어원을 한자에 두고 있다는 겁니다. 그 어원에 대해서 어느정도 파악을 하면, 생소한 단어를 접했을 때에도 그 단어의 뜻을 유추하는것까지 가능해집니다.
이미 세계화되고 있는 한국입니다. 한글만을 고집할수는 없습니다. 세계어인 영어를 분명 알아야 합니다. 그렇다고,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말을 그렇게 수도없이 들어놓고서 한글을 버릴순 없습니다. 분명 정말로 자랑스러운 우리의 한글이잖아요? 그런데 그 자랑스러운 한글의 80%를 모른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일입니다. 헷갈려 하실것 없어요. -[01/25]-
그런데 한쪽에서는 한글전용을 주장하고 있다. 과연 한자병용은 이루어지는 것이 좋겠는가?
한글의 우수성, 영어의 공용성, 한자의 고유성 우리는 도대체 무엇을 써야 한단 말인가?
전 지금 엄청나게 해깔립니다...

한반도에서 사용하는 글은 한글입니다.
헷갈리지 마시고요.
이웃나라의 말을 쓰더라도 정확한 뜻을 알고 쓴다면 우리말에 없는 표현을 쓸 수 있겠죠.
영어의 경우에는 어원과 생성원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소개되어 있습니다만,
그 보다 더 친근한 한자의 경우 오히려 학습을 방해한 역사가 있어서 나쁜 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자에 대해서도 그런 연구가 많이 소개되어 더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05/05]-

윗분이 말씀하신것처럼 영어 단어를 외우다 보면 어원과 생성원리에 대해서 많은 걸 알게 됩니다. 그걸 파악하면 어느 순간부터는 단어 외우는 것이 좀 쉬워집니다. 한국말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국말의 80%는 그 어원을 한자에 두고 있다는 겁니다. 그 어원에 대해서 어느정도 파악을 하면, 생소한 단어를 접했을 때에도 그 단어의 뜻을 유추하는것까지 가능해집니다.
이미 세계화되고 있는 한국입니다. 한글만을 고집할수는 없습니다. 세계어인 영어를 분명 알아야 합니다. 그렇다고,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말을 그렇게 수도없이 들어놓고서 한글을 버릴순 없습니다. 분명 정말로 자랑스러운 우리의 한글이잖아요? 그런데 그 자랑스러운 한글의 80%를 모른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일입니다. 헷갈려 하실것 없어요. -[01/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