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독서량감소 원인은 통신 때문인가? 입시 때문인가?
페이지 정보

본문
최근 뉴스보도에 의하면 학생들의 독서를 저해하는 주범이 '정보통신매체' 때문이란 주장이 재기되었습니다. 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독서태도와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니 20.7%가 한달에 책 1권도 읽지 않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 독서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TV시청, 컴퓨터게임 등 통신 때문이란 응답이 3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과 공부에 시간을 빼앗겨서가 21.1%로 조사됐다고 보도 됐습니다.
최근 다국적 미디어조사기관인 'NOP월드'가 세계 30개국을 대상으로 주당 독서시간을 조사한 결과 세계 평균 독서시간은 6.5시간이며 인도인이 주 평균 10.7시간으로 1위를, 그중 한국인의 독서시간은 3.1시간으로 평균시간의 절반에도 못미치며 30개국 중에서 최하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국내에서 조사한 또 다른 자료를 보면,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책 읽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다고 발표 됐습니다. 누구나 고등학교에 진학하면 입시준비와 스트레스로 책 읽을 엄두를 내지 않았습니다. 더욱이 논술시험으로 대학 합격 여부에 영향을 주겠다는 대학이 늘고 있음에도 고교수업은 독서기법과 전략 위주의 수업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계획에만 몰두하고 있어 그동안의 시험위주 입시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 재기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청소년과 학생신분이 가장 사고의 폭을 넓혀야 하는 시기로 책을 가까이 해야 하지만
가장 책을 멀리하고 읽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전병도: 중.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입시의 영향으로,,,,대학생때는 갑자기 넘치는 자유시간으로 책을 읽기보다는 통신매체에 시간을 더 할애하고 있다고 봅니다. -[12/09]-
유예림: 학교에서는 아무런 독서교육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언론에서는 학생들 독서량이 떨어졌다고 떠들지만 실제로 개선 되는 건 하나도 없습니다. 학교에서 독서교육이 이루어 지면 좋겠습니다 -[01/14]-
최자영: 전 개인적으로 입시와 학교 교육때문이라고 봅니다. 학교에서 독서 교육을 체계적으로 이끌어 준다면 학생들이 통신매체에 그만큼 덜 빠지게 되는게아닐까요. -[01/25]-
최근 다국적 미디어조사기관인 'NOP월드'가 세계 30개국을 대상으로 주당 독서시간을 조사한 결과 세계 평균 독서시간은 6.5시간이며 인도인이 주 평균 10.7시간으로 1위를, 그중 한국인의 독서시간은 3.1시간으로 평균시간의 절반에도 못미치며 30개국 중에서 최하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국내에서 조사한 또 다른 자료를 보면,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책 읽는 시간이 짧아지고 있다고 발표 됐습니다. 누구나 고등학교에 진학하면 입시준비와 스트레스로 책 읽을 엄두를 내지 않았습니다. 더욱이 논술시험으로 대학 합격 여부에 영향을 주겠다는 대학이 늘고 있음에도 고교수업은 독서기법과 전략 위주의 수업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계획에만 몰두하고 있어 그동안의 시험위주 입시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 재기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청소년과 학생신분이 가장 사고의 폭을 넓혀야 하는 시기로 책을 가까이 해야 하지만
가장 책을 멀리하고 읽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토론논제 참고: 논술신문 20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