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인간의 원리와 우주의 원리 논란
페이지 정보

본문
21세기에 과학적 사고로 사물을 보고 이해하는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파악되고 있다. 다수 중에 유일한 것과 다수 중에 일부분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하나는 최근에 대두된 '인간의 원리(Anthropic Principle)'
세계의 어떤 물리적 성질들은 인류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적 우연 이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관점이다.
쉬운 예로, 지구 온도가 명왕성의 그것처럼 너무 낮았다면 생태계가 생성되지 않았을 것이므로 인류의 존재 자체가 지구의 평균 온도가 물의 빙점 부근에 있는지를 '설명한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말한다.
하나는 지동설 이후 계속된 우주의 원리(Cosmos Principle)다.
이는 우리 태양계 역시 우주 전체에서 볼 때 수억개의 태양계 중 하나라는 현재의 우주관에 이르는 시작점이다. 이 이론은 세계에 무한에 가까운 행성들이 있다는 사실이 전제된다. 태양계가 수십억 은하 중의 하나에 속한 수십억의 태양계 중 하나에 불과했듯이, 우리의 우주도 대우 주에 포함되어 있는 무한한 소우주 중 하나일 뿐이어야 한다는 이 관점이다. 이는 우주론적인 사고방식을 말한다.
이 두가지 이론으로 지구의 사과를 증명한다면 이렇게 된다.
인간의 원리로 보는 사과는 명왕성에 존재하지 않는 지구에 만 존재하는 사과다.
이 사과는 다른 수많은 행성에 존재하지 않는 지구에만 있는 유일한 사과란 주장이 된다.
우주의 원리로 보는 사과는 우주 전체의 수억개 행성들 중에 한 곳에서 존재하는 사과다.
이 사과는 다른 수많은 행성에 존재할 수도 있는 다수 중의 하나인 사과가 된다...
같은 사과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는데도 인간 중심적이냐? 우주 중심적이냐?로 그 증명 방법이 달라진다...
그렇다면 사과가 아닌 나 자신의 존재는 어떻게 증명 될 수 있을까?
나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는데 인간의 원리가 좋겠는가? 우주의 원리가 좋겠는가?
하나는 최근에 대두된 '인간의 원리(Anthropic Principle)'
세계의 어떤 물리적 성질들은 인류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적 우연 이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관점이다.
쉬운 예로, 지구 온도가 명왕성의 그것처럼 너무 낮았다면 생태계가 생성되지 않았을 것이므로 인류의 존재 자체가 지구의 평균 온도가 물의 빙점 부근에 있는지를 '설명한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말한다.
하나는 지동설 이후 계속된 우주의 원리(Cosmos Principle)다.
이는 우리 태양계 역시 우주 전체에서 볼 때 수억개의 태양계 중 하나라는 현재의 우주관에 이르는 시작점이다. 이 이론은 세계에 무한에 가까운 행성들이 있다는 사실이 전제된다. 태양계가 수십억 은하 중의 하나에 속한 수십억의 태양계 중 하나에 불과했듯이, 우리의 우주도 대우 주에 포함되어 있는 무한한 소우주 중 하나일 뿐이어야 한다는 이 관점이다. 이는 우주론적인 사고방식을 말한다.
이 두가지 이론으로 지구의 사과를 증명한다면 이렇게 된다.
인간의 원리로 보는 사과는 명왕성에 존재하지 않는 지구에 만 존재하는 사과다.
이 사과는 다른 수많은 행성에 존재하지 않는 지구에만 있는 유일한 사과란 주장이 된다.
우주의 원리로 보는 사과는 우주 전체의 수억개 행성들 중에 한 곳에서 존재하는 사과다.
이 사과는 다른 수많은 행성에 존재할 수도 있는 다수 중의 하나인 사과가 된다...
같은 사과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는데도 인간 중심적이냐? 우주 중심적이냐?로 그 증명 방법이 달라진다...
그렇다면 사과가 아닌 나 자신의 존재는 어떻게 증명 될 수 있을까?
나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는데 인간의 원리가 좋겠는가? 우주의 원리가 좋겠는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