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과학 반과학적 태도는 나쁜것인가? 좋은 것인가?
페이지 정보

본문
황우석교수의 생명복제 연구에 대해 비판이 쏟아지면서 반과학적인 태도와 친과학적인 태도 간에 찬반논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반과학적인 태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가 TV나 영화를 보면 무서운 로봇이나 괴물이 과학으로 탄생해 인간들을 해치는 모습을 종종 봅니다. 핵무기, 화학무기가 그랬고 과학자의 불법적인 행동과 비도덕적 사고로 발생하는 테러가 그랬습니다.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라 과학은 인류에게 최대의 수혜를 주는 아군이 될 수도 있고, 냉혹한 적이 될 수도 있었습니다.
후기 빅토리아 시대의 소설가 조지 기싱은 과학에 대해서 이렇게 불평했습니다.
"과학이 인류에게 냉혹한 적이 될 것이라고 굳게 믿는 나는 과학을 혐오하며 또한 과학이 두렵다.
과학은 삶의 온갖 순수성과 고상함을, 그리고 세상의 아름다움을 파괴하고 있다.
과학은 인간의 정신을 어둡게 하고 마음을 메마르게 한다. 나는 과학이 거대한 분쟁과 충돌을 가져올 것이며,
어쩌면 인류의 모든 진보를 피로 물든 혼돈 속으로 몰아갈 수 있다고 본다."
반과학적 태도의 4가지 유형
1. 과학이 자연을 황폐화하고 인간을 기계화해서 우리의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2. 과학은 인간에게 고상한 존재론적 지위를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과학에는 휴머니즘이 결여되어 있다.
3. 과학적 탐구 방식이 자연과 인간을 분리 하므로 냉정하고 비인간적이다.
4. 과학의 성과가 인간이 욕구했던 바에 미치지 못한다.
여러분은 반과학적 태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토론의제 참조: 논술신문 2006 (경향신문 과학칼럼 2005.8.5)]
후기 빅토리아 시대의 소설가 조지 기싱은 과학에 대해서 이렇게 불평했습니다.
"과학이 인류에게 냉혹한 적이 될 것이라고 굳게 믿는 나는 과학을 혐오하며 또한 과학이 두렵다.
과학은 삶의 온갖 순수성과 고상함을, 그리고 세상의 아름다움을 파괴하고 있다.
과학은 인간의 정신을 어둡게 하고 마음을 메마르게 한다. 나는 과학이 거대한 분쟁과 충돌을 가져올 것이며,
어쩌면 인류의 모든 진보를 피로 물든 혼돈 속으로 몰아갈 수 있다고 본다."
반과학적 태도의 4가지 유형
1. 과학이 자연을 황폐화하고 인간을 기계화해서 우리의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2. 과학은 인간에게 고상한 존재론적 지위를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과학에는 휴머니즘이 결여되어 있다.
3. 과학적 탐구 방식이 자연과 인간을 분리 하므로 냉정하고 비인간적이다.
4. 과학의 성과가 인간이 욕구했던 바에 미치지 못한다.
여러분은 반과학적 태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토론의제 참조: 논술신문 2006 (경향신문 과학칼럼 2005.8.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