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주 5일 근무제는 옳은것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토론실 작성일 04-05-31 02:18 조회 2,449 댓글 0본문
안녕하십니까? 저는 고등학교를 다니고있는 한 학생입니다. 저는 “주 5일 근무제” 라는 사회적 쟁점에 대한
저의 의견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주 5일 근무로 참 말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우선 이 제도와 관련하여 나오는 우려의 목소리는 형평성이 없다고 생각을 하며 보는이의 입장에 따라 다르게 판단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일을 더 시키고자 하는 사람의 입장이나 더쉬자고 하는 사람의 입장이 다들 틀린것이라 말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문제를 생각해보면 오히려 쉬운 결론을 얻어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루를 쉬는 만큼 평소에 더욱더 열심히 일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다른 선진국 나라들은 모두들 이렇게 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소비의 확대, 과소비의 문제는 우리가 아직 여가생활에 경험이 없어서 라는 생각이 듭니다. 주 5일제를 해도 마땅히 할 일이 없기 때문에 쇼핑을 하는 경우이 부쩍 늘면서 이런 과소비가 생긴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문제는 차차 건전한 여가생활로 유도하여 고쳐나갈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주 5일 근무로 인한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도 가족과 자신의 발전에 투자할 충분한 시간의 확보를 들고싶습니다. 그리고 단점 중 하나는 업무의 공백이라고 생각합니다. 주 5일제를 하면서 하루에 해야할 일을 종종 미루게 되면서 일의 진행이 흐름이 끊겨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주 5일 근무” 에 대한 저의 의견은 반대의 비중이 좀더 있기는 하지만 중립이라고도 생각을
합니다. 저의 의견을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종우: 주5일근무제 또한 현 사회의 뜨거운 감자가 아닐 수 없습니다. 어려운 경제난이 가중되고 지속되면서 노사간에 합의된 주5일근무제 마저 실행에 망설이고 있을 정도입니다. 주5일근무제의 도입취지는 님께서 지적하신 바 그대로이며, 아주 잘 설명해 주셨습니다. 저는 거기에 두 가지 이유를 더 추가하고 싶습니다. 주5일근무제가 필요한 설명입니다. 첫째 가정이 파탄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가장은 직장에서 일을 하느라 가족과 여가라는 것에 무신경했었습니다. 지금도 많은 가장들이 주5일근무제 시행 후에도 시간 소비를 잠에 의존하고 있다는 추측도 있을 정도입니다. 두번째 세계적인 추세입니다. 평균 노동시간 계산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서 따로 말씀드리지는 않겠으나, 한국의 노동 시간은 세계적으로 적은 시간이 아니었습니다. 많은 일을 하고도 주5일근무제 문턱에서 할지 말지 의견이 분분한 이유는 아직 우리 경제형편이 고효율 구조로 정착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시간과 비례해서 임금 책정과 업무가 돌아가기 때문에 주5일근무제 시행하면 기업이 망할것 같이 말들을 하는 것입니다. 주5일근무제가 정착된 후의 노동임금이나 업무 등이 제대로된 선진국 기준의 노동정책이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05/31]-
박성문(tedyboy2): 이러한 경우는 똑같은 제도를 쓰더라도 국민의 의식구조에 따라서 확연한 차이를 보여 줍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나라의 경우는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할 여건이 되지는 못합니다.
서민의 경제는 파탄이 나고 신용불량자는 급증하며 많은 문제들이 도래하고 있지만 정부는 이러한 사태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마저도 세우지 못하고 갈팡질팡 하는 실정입니다.
특허를 신청한 기업들 중에서 우리나라 기업은 10위권내에 드는 기업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지금 삶의 질을 올리기 위하여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하기 보다는 오히려
빨리 경제의 수준을 올리는 것이 시급한 문제일 것입니다. -[06/13]-
임일균(oneinmen):
5일 근무의 목표는 2일 휴무를 통해서 생산성은 유지하는 게 목표입니다.
우리가 무엇을 생산하고 있는지 부터 살펴봅시다.
정치가들 그런 거 잘 하시죠? -[07/20]-
저의 의견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주 5일 근무로 참 말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우선 이 제도와 관련하여 나오는 우려의 목소리는 형평성이 없다고 생각을 하며 보는이의 입장에 따라 다르게 판단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일을 더 시키고자 하는 사람의 입장이나 더쉬자고 하는 사람의 입장이 다들 틀린것이라 말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문제를 생각해보면 오히려 쉬운 결론을 얻어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루를 쉬는 만큼 평소에 더욱더 열심히 일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다른 선진국 나라들은 모두들 이렇게 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소비의 확대, 과소비의 문제는 우리가 아직 여가생활에 경험이 없어서 라는 생각이 듭니다. 주 5일제를 해도 마땅히 할 일이 없기 때문에 쇼핑을 하는 경우이 부쩍 늘면서 이런 과소비가 생긴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문제는 차차 건전한 여가생활로 유도하여 고쳐나갈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주 5일 근무로 인한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도 가족과 자신의 발전에 투자할 충분한 시간의 확보를 들고싶습니다. 그리고 단점 중 하나는 업무의 공백이라고 생각합니다. 주 5일제를 하면서 하루에 해야할 일을 종종 미루게 되면서 일의 진행이 흐름이 끊겨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주 5일 근무” 에 대한 저의 의견은 반대의 비중이 좀더 있기는 하지만 중립이라고도 생각을
합니다. 저의 의견을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나라의 경우는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할 여건이 되지는 못합니다.
서민의 경제는 파탄이 나고 신용불량자는 급증하며 많은 문제들이 도래하고 있지만 정부는 이러한 사태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마저도 세우지 못하고 갈팡질팡 하는 실정입니다.
특허를 신청한 기업들 중에서 우리나라 기업은 10위권내에 드는 기업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지금 삶의 질을 올리기 위하여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하기 보다는 오히려
빨리 경제의 수준을 올리는 것이 시급한 문제일 것입니다. -[06/13]-

5일 근무의 목표는 2일 휴무를 통해서 생산성은 유지하는 게 목표입니다.
우리가 무엇을 생산하고 있는지 부터 살펴봅시다.
정치가들 그런 거 잘 하시죠? -[07/20]-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