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집 없는 사람! 집을 1083채 갖고 있는 사람
페이지 정보

본문
누군 집 한채도 없는데 어떤 사람은 집을 1083채나 가지고 있다고 뉴스 보도 되었다. 11채 이상의 다주택과 다아파트를 갖고 있는 사람이 1만4823세대와 1743세대로 나타났다.
결국 전체 세대중 45.4%가 무주택인 반면 5%에 해당하는 89만여세대가 2채 이상의 집을 가진 셈이다. 지역별로 11채 이상 주택 보유세대를 보면 서울과 경기가 2450세대와 경기 1692세대로 특정지역에 몰려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위 1%가 사유지 34% 소유하고 있어 토지편중도 '심각'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재산 좀 있고 학식있는 사람들은 한국인들이 부자들을 바라보는 시각이 부정적이고 편중되었다고 지적하는 모습을 종종 보는데 나 또한 열심히 노력해서 부를 쌓은 이들에겐 경의를 표하고 존경을 표한다... 그렇지만....
우리 국민 대다수가 부동산을 가지고 돈을 번 이들에겐 이 경의와 존경을 표하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부동산은 곧 투기다란 마인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매일매일 부동산이 단골 뉴스 소재로 나오고 있다...
이젠 지겹다... 정치인들과 부동산 뉴스가 매일매일 반복되는 것을 20년 이상 보고 있는 것이다...
결국 그런 뉴스가 부동산 부자들만 배 채워주진 않았을까 의문이 든다...
이런 비정상적인 시스템을 고칠 사람도 없고 위기의식을 느끼는 사람도 없다... 비극적인 행복이라 말하고 싶다.
이런 기형적인 경제사회 구조는 부의 균등(월급분배)가 틀렸다는 반증이다. 동의 하는가?
박건우: 이런 경제사회 구조는 결국엔 빈부격차만 늘리는 꼴이된다.한시라도 빨리 경제구도에 새바람을 일으킬만한 대책을 마련해 이런 부조리한 현실에 대해 더이상 언급하지 않도록 해야되겠다.
지금 집을 많이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쏫아지는 화살을 당사자들은 오히려 민주주의 사회에서 자신들의 행동은 법에 반하지 않다고 주장한다.그렇다.민주주의 사회에선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는것이 원칙이기에 잘못된것은 아니다.하지만 자신들의 부를 더 늘리기위해,아니 자신들의 권리를 더 확실히 보장받기 위해 이나라의 절반이 넘는 사람들에게 고통을 주어선 안된다.많은 부와 권력을 가지고 있는 일명 상류층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하기전에 노블리스오블리제,즉 그만큼의 역할과 행동을 행해야만한다.그만큼의 역할과 행동이라하면 그만큼의 많은 세금을 내라는것보단 다른국민들의 입장을 생각해 더이상이런 불균형이 일어나지않도록 그들 자신들이 처신해야된다라는 것이다.
그래서 내 의견은 정부의 경제구도에 대한 정책도 시급하지만 상류층들의 행동또한 중요하다는 것이다. -[09/01]-
결국 전체 세대중 45.4%가 무주택인 반면 5%에 해당하는 89만여세대가 2채 이상의 집을 가진 셈이다. 지역별로 11채 이상 주택 보유세대를 보면 서울과 경기가 2450세대와 경기 1692세대로 특정지역에 몰려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위 1%가 사유지 34% 소유하고 있어 토지편중도 '심각'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재산 좀 있고 학식있는 사람들은 한국인들이 부자들을 바라보는 시각이 부정적이고 편중되었다고 지적하는 모습을 종종 보는데 나 또한 열심히 노력해서 부를 쌓은 이들에겐 경의를 표하고 존경을 표한다... 그렇지만....
우리 국민 대다수가 부동산을 가지고 돈을 번 이들에겐 이 경의와 존경을 표하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부동산은 곧 투기다란 마인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매일매일 부동산이 단골 뉴스 소재로 나오고 있다...
이젠 지겹다... 정치인들과 부동산 뉴스가 매일매일 반복되는 것을 20년 이상 보고 있는 것이다...
결국 그런 뉴스가 부동산 부자들만 배 채워주진 않았을까 의문이 든다...
이런 비정상적인 시스템을 고칠 사람도 없고 위기의식을 느끼는 사람도 없다... 비극적인 행복이라 말하고 싶다.
이런 기형적인 경제사회 구조는 부의 균등(월급분배)가 틀렸다는 반증이다. 동의 하는가?

지금 집을 많이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쏫아지는 화살을 당사자들은 오히려 민주주의 사회에서 자신들의 행동은 법에 반하지 않다고 주장한다.그렇다.민주주의 사회에선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는것이 원칙이기에 잘못된것은 아니다.하지만 자신들의 부를 더 늘리기위해,아니 자신들의 권리를 더 확실히 보장받기 위해 이나라의 절반이 넘는 사람들에게 고통을 주어선 안된다.많은 부와 권력을 가지고 있는 일명 상류층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하기전에 노블리스오블리제,즉 그만큼의 역할과 행동을 행해야만한다.그만큼의 역할과 행동이라하면 그만큼의 많은 세금을 내라는것보단 다른국민들의 입장을 생각해 더이상이런 불균형이 일어나지않도록 그들 자신들이 처신해야된다라는 것이다.
그래서 내 의견은 정부의 경제구도에 대한 정책도 시급하지만 상류층들의 행동또한 중요하다는 것이다. -[09/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