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정치 기여입학 제도를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페이지 정보

본문
|

먼저 대상자에 대해 최소 학력을 요구해야하고 그 학생은 대학의 정원외 입학이 이루어 져야 한다. 그래야만 공부잘하는 다른 학생의 진학을 제한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상자가 혜택을 받게 되는 것도 바로 다음세대가 아닌 몇세대가 지난 후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 기부받은 돈에 대한 공신력있는 기관에 의한 투명한 운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부받은 돈을 대학교육을 원하나 돈이 없는 불우한 소수를 위해서 사용되도록 해야한다.
우리가 말하는 기여 입학제의 가장 큰 문제는 돈만으로 대학을 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사회정의에 어긋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조금 입장을 달리합니다. 특히 마지막의 원칙만 지켜진다면 이는 오히려 소수자에 대한 우대가 이루어질수 있고, 그것이 곧 더 긍정적이고 고무적인 사회 정의의 실현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저는 기여입학제에 대해 찬성합니다 -[12/20-01:33]-

공립대는 어림 없슴다. -[12/20-09:16]-

저는 반대를 합니다.
조상의 노력으로 자신의 부모의 힘으로 이루어진 학위로 대학을 하고 돈을 내고 들어간다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습니다.
다뭇 그 돈으로 장학제도에 쓰여 진다는 소리는 있지만 열심히 공부하고 12년동안 공부를 좋은 대학을 목표로 죽기 살기로 한 사람들이 기여입학제도로 입학한 사람때문에 기회를 찾지 못 하게 된다면 사회는 20%의 고소득층과 80%의 저소득층의 빈부격차는 심해 질 것입니다.
고생을 해 본사람이 무언가의 소중함을 알듯이 기여 입학제로 돈을 내고 학교에 입학한 학생이 학교 생활을 애착을 가지고 공부 분위기를 조성을 할 수 있을까요?
그건 다뭇 자신을 망치는 길일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 마져 학습에 당연 해를 끼치게 됩니다.
그러므로 그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 기여입학제도를 반대 합니다. -[12/26]-

근시안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분명 기여입학 제도의 장점도 다수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좀더 폭 넓고 먼 관점에서 내다 본다면 기여입학 제도로 인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은 너무 많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물질 만능주의가 팽배한 이 현실에서 열심히 노력해서 공부하면 좋은 대학을
갈 수 있다는 몇 안되는 희망도 기여입학 제도는 짓이길 수 있습니다. 돈만 있으면 뭐든지 할 수
있다는 생각이 국민들 정서에 박힌다면 어느 누가 열심히 살겠습니까?
기여입학 으로 입학한 학생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대학공부 보다 쉬운 입시를 이기지 못하고
돈으로 입학한 그들이 대학의 공부와 생활을 견뎌낼 수 있겠습니까? 결국 겉돌 수 밖에 없고
주위 학생들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자기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마저 좀 먹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노력하는 자가 결실을 볼 수 있도록 기여입학 제도를 반대 합니다. -[10/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