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문화 유행어와 인터넷 용어, 사전에 넣어야 하는가?
페이지 정보

본문
유행어와 인터넷 용어를 사전에 넣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의 문제가 새로운 논쟁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시대가 급변하면서 우리가 쓰는 언어도 새로 생겨나고 없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인터넷 채팅용어나 유행어 등은 우리 실생활에 사용되는 언어이면서도 언어의 속성 때문에 학자들로부터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더구나 한 시대의 언어로 사전에 넣는 문제에 대해선 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한 실정입니다... 언어이면서도 언어가 아닌 문제에 봉착되면서 학문적 차별문제가 생겨난 것입니다.
인터넷 용어와 유행어는 새로운 문화, 새로운 인기스타, 새로운 스타일 등 정말 많은데요...
여러분은 이런 용어들을 사전에 올리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댓글목록

소외된사람님의 댓글
소외된사람 작성일세종대왕이 지하에서 웃겠습니다. 당췌! 뭔 말씀을 그렇게...절대 안되오 대감들...

토돌이님의 댓글의 댓글
토돌이 작성일그런데요... 저도 안된다는데는 동감이 가지만요. 이런 유행어와 유머, 채팅용어, 인터넷용어, 엽기용어 만을 모아놓은 책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구요. 올바른 어법을 유지하기 위해서죠. 잘 사용된 사례와 잘못 사용된 사례의 비교분석이 용이하지 않겠어요?

소외된사람님의 댓글의 댓글
소외된사람 작성일
토돌이님 지금 누가 국어백과사전을 들춰봅니까?
아느 것은 힘이지만 인터넷용어+엽기용어의 문법책과 국어백과사전(인터넷有)을
비교하면서 뭘 하겠습니까? 아마 귀찮아서라도 안 할 겁니다.
학교에서 배웠듯이 사전 찾기는 할 지 몰라도 인터넷용어 엽기용어를 찾아 그 에
대한 리필을 하겠습니까. 전 안합니다 아니 못합니다.(때려죽여도 못합니다)
수고하세요

박경환님의 댓글
박경환 작성일
한 시대를 풍미했던 문화 아이콘으로 본다면 매우 긍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무 의미없는 단어들 같지만 자세히 보면 사회의 전반적인 현상과 관련된
것도 상당수 입니다.
이런점에서는 따로 책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유행어에 사회적인 측면과 관련된 설명을 덧붙인다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김혜원님의 댓글
김혜원 작성일물론 유행어 중엔 시대를 반영하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 정말 단순한 '유행'에 지나치지 않는 단어들도 많습니다. 어차피 시대가 지나가면 많은 사람들이 잊을 단어들은 아에 넣지 않는 것이 더 낫다는 생각이 듭니다.

강승진님의 댓글
강승진 작성일
신라시대 향가 고려시대 유행한 노래 이런거 전부다 유행어는 아니지만
유행노래입니다...서동요 , 수로가 , 처용가 이런것들 전부다 지금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 유산입니다 지금은 그냥 유행어일뿐이지만
혹시 압니까?? 박경환님 말처럼 우리 먼훗날 후손들이 유행어를 보고
우리시대 사회현상과 관련된 여러가지를 연구할지도...
(참고로 서동가 노래를 연구해서 그시대 살았던 백제 무왕과 진평왕 ,
진평왕의 딸들 나이를 알았다고합니다 당연히 그걸또 되집어보면,
다른왕들도 몇살에 왕이되고 몇살에 죽었는지 알수있습니다..
조사하면 다나와~)

동혁군님의 댓글
동혁군 작성일그렇지만 지금 당장은 상황을 알고 넘어야할 것 같습니다. 유행어가 물론 미래엔 중요한 학술적 언어로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미래의 일이고 현재는 우리 청소년이나 젊은이들의 우리말 바로알기가 급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욕이나 알수 없는 말들이 입에서 자연스럽게 구사되는 학생들에게 모국어가 어떤 존재로 되가고 있습니까? 한국말도 외국말도 아닌 외계어를 구사하는 학생들의 말부터 다시 고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스팅님의 댓글
스팅 작성일유행어나 인터넷 신조어들은 순간적으로 생겨나며 사라집니다. 그걸 단지 잠깐 동안 사람들이 많이 사용한다고 사전에 까지 올려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