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환경 심각한 중국의 환경오염 문제!
페이지 정보

본문

문제는 한국입니다.
미국은 거리상으로 한국보다 중국의 환경오염에 덜 피해를 입습니다. 거리상으로나 오염의 농도로 보나 한국에 비할수 있겠습니까...
그런데, 벌써 중국에 따지고 이의를 제기했어야 할 우리 정부...
여러분은 이런 환경문제를 한국정부가 중국에 제기했다는 소식을 들은적이 있었습니까?
우리나라 보다 더 멀리 떨어진 미국이 발끈하고 나설 때까지 기다렸던 것은 아니었을까요. ㅠㅠ
환경오염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과 숨막힐 정도의 황사가 앞으로 더 심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냥 덮고 넘어가기엔 한국의 존재가 너무나 비참해 보입니다...

뉴스출처: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1303&Total_ID=2320071
중국에서 발달한 검은 구름 속에는 이산화탄소 등 유해물질이 가득 담겨있다는 점. 잘 알다시피 이산화탄소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대부분은 석탄을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그런데 중국은 이미 미국과 유럽연합(EU).일본의 석탄 소비량을 모두 합한 것보다 더 많은 석탄을 사용하고 있다. 중국의 석탄 소비량은 최근 2년간 매년 14%씩 증가했다. 또 지금도 미국 댈러스나 샌디에이고의 모든 가정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의 대형 화력발전소가 7 ̄10일 간격으로 중국 곳곳에 들어서고 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2025년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미국보다 2배 이상 많고, 전 세계 배출량의 40% 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뉴욕 타임스는 "중국이 특단의 대책을 세우지 않는다면 중국발 검은 구름은 중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지도자들도 전 세계 여론의 우려를 의식한 듯 최근 잇따라 "에너지 효율화 정책을 범 국가적으로 실시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하지만 어느 누구도 이런 발언이 현실화될 것으로 보지 않고 있다. 중국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조언자 역할을 맡고 있는 데이비드 모스코비츠는 "중국이 급속한 성장세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 파괴를 상당 부분 감수해야만 하는 실정"이라며 "중국은 현재 거대한 시험대에 올라 있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국제문제에 약해서야 어떻게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될수 있을까요... 한심합니다.
댓글목록

강승진님의 댓글
강승진 작성일이해해줘야죠...한국 일본 중국중에 제일 무식하게 돈빨로 밀어부치는 나라가 중국 이잖습니까 ㅋㅋ (자기들이 우리나라 첨단기술 못따라가니까 아예 돈빨로 기술 사들인다는..)

의마지재님의 댓글
의마지재 작성일환경오염. 오래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지나친 성장위주의 정책, 그로인한 환경오염등의 부작용의 폐해는 중국도 잘 알겠죠. 이제 중국 기술도 세계 정상급에 오르것 같습니다. 기본기가 워낙 튼튼한데다 위 분 말씀처럼 워낙 돈도 많이 쳐바르고 머릿수=>인재도 많다보니 우리나라 따라잡는건 시간문제라죠.(제길 ;) 어쨌든 그때되면 미국이나 유럽쪽의 먼저 선진화된 나라들처럼 환경같은 질적인 문제에 많은 신경을 쓰게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