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토론게시판>핫이슈토론 |
기술 오심인가? 오프사이드인가?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대 스위스전에서 나온 스위스 프라이의 2번째 골 오프사이드 판정에 대해 방송사 해설가로 나선 '차두리'와 '신문선'의 상반된 해설 때문에 논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차두리 해설위원: "이건 사기입니다." Vs 신문선 해설위원: "오프사이드가 아니죠."
2006 독일월드컵에서 한국의 16강 진출의 발목을 잡은 석연찮은 심판 판정에 대한 원망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넷티즌들은 심지어 재경기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추격의 의지에 찬물을 끼얹는 2대 0. 주심 판정이 명백한 오심이라면 한국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 주심 판정 옳았다는 주요외신들의 주장 모음
1. 스위스 알렉산더 프라이의 두 번째 골을 인정한 주심의 판정이 옳았다.
2. 유럽 스포츠전문채널 ’유로스포츠’ 인터넷판은 "선심이 깃발을 들었으나 이는 잘못된 판정이었다. 프라이는 제대로 된 위치였고 주심 호라치오 엘리손도는 제대로 된 판정을 내렸다"
3. 영국 BBC 방송도 인터넷 실시간 문자중계에서 “선심은 깃발을 올렸지만 주심은 프라이에게 연결된 공이 한국 수비수를 맞고 이어졌다고 올바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4. USA투데이 역시 "한국 선수를 맞고 프라이에게 공이 이어졌으므로 프라이는 오프사이드가 될 수 없다. 한국 선수를 맞고 나간 것이 (오프사이드를 면하는) 티켓이 됐다" 여러분은 스위스전 게임에서 주심 판정이 옳았다는 주장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댓글목록

장인어른님의 댓글
장인어른 작성일ㅋㅋ 아무도 업어

흘러가는시간님의 댓글
흘러가는시간 작성일
오프사이드 기가 올라간순간 그 계란 (프라이)는 경기를 중단했어야 햇습니다
하지만 경기를 지속했고 이건 분명 문제가 있습니다

축구의힘님의 댓글
축구의힘 작성일
전 못보고야 말았습니다.ㅠㅠ

김현복님의 댓글
김현복 작성일
스위스 선수가 핸들링 했는데 못본 것은 오심이고요
2번째 골에서 오프사이드인데 못본척을 해서 이것도 오심으로 생각돼네요

임군님의 댓글
임군 작성일What a gambler's swiss bank...

이백규님의 댓글
이백규 작성일
오프사이드가 문제가 아니라..
스위스 편파판정이 이게 한두번있던 일이 아니더군요...
한 인터넷에 독자게시판에 실린글인데요..
스위스와 경기가있기 전에 22일날 올라온 글이던데, 이분 정확하게 스위스전 편파판정으로 한국의 패배를 예상하셨네요...
관심있으신 분 함 보시길...
http://www.pressian.com/scripts/bbs/search_view.asp?ref=59647&step=1&re_level=1&board_name=board&page=1&search_type=writer&keyword=청개구리&position=2&thema_idx=

이백규님의 댓글의 댓글
이백규 작성일
신빙성이 있는 이야긴지는 확인한바 없기에 모릅니다...
저도 요즘 워낙에 바쁘다 보니....--;;;
알아서들 판단해 주시길...ㅡ_ㅡa

지킴이님의 댓글
지킴이 작성일
판정의 치우침은 논란이 있는데서 여실히 드러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프사이드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는 상황에서 우리에게 불리한 판결은 그런 의혹을 더 증폭시키기에 충분한 것입니다. 핸드링으로 인한 패널티칵도 두 번이나 발생했지만, 한 번도 적용시키지 않은 심판을 두둔하긴 싫습니다. 앞으로 2010년 월드컵에선 이와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논란이 되는 심판결정에 앞서 비디오 분석 자료를 보는 제도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5인 이상이 참여하는 비디오 분석가 제도가 마련된다면 판정에 대한 불신과 의혹은 훨씬 줄어들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비디오 분석시의 경기시간은 빼야 되겠죠. 경기가 지연되더라도 이상한 판정 때문에 고통을 받는것 보단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PerFact님의 댓글
PerFact 작성일
판정이 이미 끝난 경기 이지만 너무나도 아쉬운 경기 였습니다. 그러나 이미 오심이든 정말 맞는 심판이던 경기는 끝이 났습니다 . 승복하는 승자의 모습이 아름답다고 하지 않습니까? 이제 월드컵은 끝이 났습니다 . 이탈리아의 승리로 태극전사들에게 다시한번 박수를 보나고 이제 결과를 승복하고 2008년 아시안 컵 에 기대를 걸어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