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judicator Feedback Series 10/75 > 영어토론방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영어토론방Home>영어토론방


Politics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0/75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ce나그네
댓글 1건 조회 528회 작성일 16-10-29 22:45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1001

Motion : DICTATORSHIP IS THE BEST PATH TO DEVELOPMENT

Defending: Venezuela, Opposing: Indonesia

Decision by Adjudicator: Jonathan Leader Maynard

Winning Team: Venezuela

General Comments:

One thing I would like to stress to both teams in the debate is the need to appreciate the value of succinctness. In speech debating, speakers are given strict time limits on their speeches - the lack of similar limits on online debating should not obscure the continued need to maintain your audience’s interest, express arguments elegantly, and use the most effective strategic responses to defeat arguments, rather than necessarily the most exhaustive ones. On both sides there was extensive repetition of arguments and points - it would have been much more efficient to refer back to earlier responses. I would encourage the winning teams, in subsequent rounds, to be much more disciplined and produce a series of tight points, rather than extremely length ones.

Specific Feedback - Venezuela:

Venezuela were impressive in the general sophistication and quality of their arguments, their use of supporting evidence and their strategic identification of the best responses to Indonesia's claims.

I would encourage Venezuela, in future, to utilise more of the persuasive tools available asides from logic and data. Some pithy responses, elegant writing and rhetorical attacks to accompany the analysis and evidence would have provided a more complete persuasive effect, and will keep the attention of the audience better. I think a little too much faith was put in the argument that dictatorships are limited by the constant fear of insurrection ? presumably some very effective dictatorships are able to maintain control effectively enough that they can reduce this fear to the point where they do have a large degree of freedom to genuinely abuse the development of their population. Generally, however the responses were good.

Specific Feedback ? Indonesia:

Indonesia’s constructive contributions (i.e. their own substantive arguments) were well chosen and did do some damage to the claims of Venezuela. Some good evidence was provided to support them, although analysis to back up the evidence, explain their relevance, and demonstrate their importance, would have made these more powerful.

The main weakness for Indonesia was much weaker rebuttal (responses to Venezuela’s arguments) compared to their substantive arguments. I was confused by some of Indonesia’s responses, and some of them seemed to definitely misunderstand the claims Venezuela had been making. For example, when Venezuela provided a well analysed argument as to why dictatorial governments are, due to the nature of their political structure, able to resist the pressures of lobby groups, Indonesia portrayed this as a claim that dictatorships were ‘more clever in economics’ ? not the point that was being made. Some of the responses were also too assertive, for example, when Venezuela claimed that ‘dictatorship is a good breeding ground for personal discipline and order’, Indonesia identified the possibility that dictatorship would not itself create it, but then merely asserted that this was the case.

This weakness of responses,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Venezuela’s responses, meant that much more of the Yes case was left seeming persuasive than the No case, even if some good arguments by Indonesia were still convincing.

Decision by Adjudicator: Bmarusic

The start with this was a very nicely set up debate. I’m satisfied with the use of examples and logic from both sides. Great job guys! As for the debate we were given the definitions and the parameters in which the debate is set. The debate was set from the side of Venezuela to examine the variables of development and whether or not dictatorships achieve them more efficiently do to the control they have. Having said that the tackling of control as the key element in the debate from the side of Indonesia was not done sufficiently. Although they have tried to oppose the control with consequences of such a regime they have not engaged in the analysis of the latter in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especially with the material put forward by Venezuela.

The side that wins this debate is side Venezuela, and I will go on and further explain.

Choosing to analyse variables which amount to development which is measured by human well being is strategically a bold choice. For future notice try to put your strongest arguments (and claims in them), first in order to make a better impact and are easy to follow. What I found was problematic was the lack of the engagement from the ?No“ side. When I say engagement I stress out the lack of analysis on the examples put forward by the “No” side. Flaunting examples and witty remarks is entertaining but it does not prove a point which you are making. On general your ideas and logic were fine, but with lack of an analysis of how your idea and what you are saying works in real life, or in this case fails in real life, it takes the wait from your arguments. On the other side, the “Yes” team analyzed every idea and example they have put forward , and every idea and example they have countered . At the end this debate boiled down in three points. Point no.1. What is dictatorship? In my perspective this was a point which both sides took a lot of time to prove that is irrelevant, because the only disputed word from the side of “No” was “clique”, and through they argumentation line it was never evident do they except it (for example arg 7 “No” side) or do they dispute it. Point no.2 Was the control of variables dire or beneficial for the development? This point although discussed throughout both sides (“Yes” arg 5,6,8 and “No” arg 3,4,5) was never analyzed in its full potential. What I felt was that the both sides are taking this point for granted at certain times. Having said that I do validate the fact that although principles were not that stressed on (and when I say that I mean elaborated more) the examples which demonstrate the existence in real life of this principles were analyzed heavily by the side of “Yes”. Especially what I have to stress out were the misinterpretations of certain examples which were corrected and explained by the side “Yes” (namely Cuba, Yugoslavia, Burma etc.). Point no.3 Do we achieve human well being? Through extended analysis, the side “Yes” had demonstrated their burden of proof through variables they have set themselves to analyse, while the side “No” unfortunately did not engage with the side “Yes” and when it did , again the ideas and logic which was put forward was a bit shallow.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1001

토론 주제 : 독재는 개발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다.

찬성 팀 : 베네수엘라, 반대 팀 : 인도네시아

심판 판정 : Jonathan Leader Maynard

베네수엘라 팀이 이겼다.

전반적인 의견은 다음과 같다.

토론에서 양 팀 모두가 간결성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말로 하는 토론에서, 발언자들은 발언 시 엄격한 시간제한 규정을 적용받는다. 온라인 토론에서 비슷한 제한이 없다고 해서 청중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끌고, 우아하게 주장을 표현하고, 주장을 부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전략적 응답을 할 필요성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즉 가장 진 빠지는 것들이 필연적으로 나올 일이 아니란 것이다. 양 측 모두 주장들을 광범위하게 반복했다. 앞에 했던 응답들로 다시 되돌아가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었을 것이다. 승자 팀에게 조언하겠는데, 다음 경기부터는 극단적으로 길게 풀어나가는 대신에 훨씬 절제되고 꽉 짜인 일련의 주장을 만들 필요가 있다.

개별 조언 - 베네수엘라 팀 :

베네수엘라 팀의 주장이 보여준 전반적인 복잡성과 그 수준에 정말 감탄했다. 뒷받침 증거의 사용과 전략적인 식별을 통해 인도네시아 팀의 주장들에 대한 최고의 답변들을 해 냈다. 인도네시아 팀에게 조언하자면, 앞으로는 논리와 데이터 외에도 설득의 도구들을 보다 많이 활용했으면 한다. 몇몇 간결하고도 함축적인 대응, 품격 있는 글쓰기와 수사학적 공격이 분석과 증거에 동반될 때 설득력이 훨씬 강해질 수 있고, 청중의 관심을 유지시키는 데도 도움이 된다. 반란을 항상 두려워하기 때문에 독재가 제한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약간은 너무 많은 믿음을 갖고 있지는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짐작컨대 굉장히 효과적인 몇몇 독재 체제는 상황을 굉장히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유지하여 충분히 이런 두려움을 줄일 수 있다. 즉 상당한 수준의 자유를 누리는 것이 그들 인구의 개발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식으로 얘기하면서 말이다. 하지만 그 대응은 좋았다.

개별 조언 - 인도네시아 팀 :

인도네시아 팀의 건설적인 기여는(그들 자신의 주장들은) 잘 선택되었고 베네수엘라 팀의 주장들에 어느 정도 타격을 줬다. 몇몇 좋은 증거들이 이를 뒷받침해줬지만, 만약 그 증거를 뒷받침할 분석이 이뤄졌고, 그것들의 관련성을 설명하고, 그것들의 중요성을 강조했더라면 그 증거들이 보다 힘을 발휘했을 것이다.

인도네시아 측의 주된 약점은 그들 자신의 주장들에 비해 훨씬 약한 반박(베네수엘라 팀에 대한 대응)이었다. 인도네시아 팀의 몇몇 대응에 대해 혼란스러웠고, 몇몇 대응은 베네수엘라 팀이 만든 주장들에 대해 완전히 오해한데서 나온 것처럼 보였다. 예를 들어, 베네수엘라 팀이 왜 독재 정부가 그들의 정치 구조적 속성에도 불구하고 로비 그룹에 대한 저항성을 보여주는지에 대해 잘 분석된 주장을 펼쳤는데, 인도네시아 팀은 이 주장을 독재 체제는 ‘경제 분야에서 훨씬 영리하다’로 묘사했는데, 확실히 그 주장은 그렇게 만들어 진 것이 아니다. 몇몇 주장은 뒷받침 내용이 너무 부족했다. 예를 들어 베네수엘라 팀이 ‘독재는 개인적 차원의 규율과 질서를 함양하는 데 좋다’란 주장을 했을 때, 인도네시아 팀은 독재가 그 자체로 그런 것들을 만들어내지 않는다는 가능성을 명시하기는 했지만, 뒷받침할 내용은 제시하지 않았다.

대응상의 문제점과, 베네수엘라 팀이 상대적으로 대응에서 강점을 보였다는 점은 찬성 팀의 주장이 반대 팀의 주장보다 훨씬 설득력 있어 보였다는 것을 뜻한다. 비록 인도네시아 팀의 몇몇 좋은 주장들이 여전히 설득력 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말이다.

심판 판정 : Bmarusic

출발점을 굉장히 잘 잡은 토론이었다. 양 팀의 사례 활용과 논리에 만족했다. 양 팀 모두 정말 잘했다! 토론이 어떻게 설계되었는가를 보기 위해 우리는 정의와 매개 변수를 본다. 베네수엘라 팀은 이번 토론을 경제 발전의 다양한 양상을 고찰하고 독재가 보다 상황을 효과적으로 통재하여 효율적으로 성취를 이룰 수 있는가 아닌가를 밝히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번 토론에서 인도네시아 팀은 통제력과 씨름해서 이기는 것이 승리를 위한 핵심 요건이었으나 충분히 잘 해내지는 못했다. 비록 그들은 통제가 독재 정권 때문에 이뤄진 결과라는 점을 반박하고자 노력했으나 베네수엘라 팀이 나중에 제시했던 사회 발전에 대한 분석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않았다.

베네수엘라 팀이 이번 토론의 승자이고, 이 점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하겠다.

인간의 복지 수준이 개발 정도를 측정하는 변수라고 분석하기 시작한 것은 전략적으로 대담한 선택이었다. 장래를 위해 알려주자면 여러분의 가장 강력한 주장들(그 주장들에 이어지는 주장들을)을 처음에 꺼내라. 그렇게 하면 그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이고 따라가기도 쉬울 것이다. 반대 측이 대응을 하지 못한 것은 정말 문제였다. 즉 대응을 하는 데 있어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사례들을 과시하고 재치 있는 발언을 한 것은 재미있기는 했지만 여러분이 만든 주장들을 증명해주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여러분의 주장과 논리는 괜찮았으나, 여러분이 말한 것이 실생활에서 실현될 수 있는지 또는 그럴 수 없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래서 여러분의 주장들은 힘을 잃었다. 반면에, 찬성 팀은 그들이 제기한 주장과 사례들뿐만 아니라 그들이 맞이한 상대 팀의 주장과 사례들도 모조리 분석했다. 결국 이번 토론은 다음 3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 독재란 무엇인가? 내가 봤을 때 이 지점에서는 양 팀 모두 상관없는 것을 증명하느라 많은 시간을 썼다. 반대 팀이 이의를 제기했던 용어는 ‘패거리’ 뿐이었는데, 반대 팀의 주장을 봤을 때 그 용어를 제외하고자 했는지(반대 팀의 7번째 주장을 예로 들자면) 아니면 이의를 제기하고자 했는지 분명하지가 않았기 때문이다. 둘째, 변수를 통제하는 것이 개발에 절실히 필요하거나 도움이 되는가? 이 점에 대해서는 양 팀 모두가 논의했으나(찬성 팀의 5,6,8번째 주장과 반대 팀의 3,4,5번째 주장) 완벽하게 분석되지는 않았다. 양 팀 모두가 어느 정도로는 이 주장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렇긴 해도 내가 다음 사실은 인정한다. 비록 원리들이 제대로 강조되지 않았고(그리고 부연 설명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어도) 그 원리들이 실생활에 존재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사례들이 찬성 팀에 의해 깊이 있게 분석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몇몇 특정 사례들에 대한 잘못된 해석들이 찬성 팀에 의해 정정되고 설명되었다는 점은 강조할 필요가 있다. (쿠바, 유고슬라비아, 미얀마 등등이다). 셋째, 우리는 인간 복지를 성취했는가? 방대해진 분석을 통해, 찬성 팀은 그들이 증명해야 했던 부분을 입증했다. 그들이 분석하기 위해 설정했던 변수들을 통해서 말이다. 반면 반대 팀은 찬성 팀에 대해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그걸 하고자 제시했던 몇몇 주장들과 논리가 조금 얄팍했다.

댓글목록

profile_image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이 주제는 한국 근현대사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식민지 근대화론과 수탈론 논쟁,
박정희, 전두환으로 이어지는 한국의 독재 정권이 경제 발전을 이끄는 데 기여했는가,
그리고 독재 정권의 붕괴와 민주주의의 발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넓혀 보아도 스탈린이나 히틀러의 경제 발전 정책과 그에 따르는 부작용, 현대 중국과
러시아의 정치/경제, 북한의 경제 상황 등 다양한 사례에 적용 가능한 논제이기도 합니다.
이 주제에 대한 여러분의 입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될 참고자료를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검색어는 '개발', '독재'입니다. 관련 자료가 너무 많아 다 첨부하지 못하므로 riss.kr에서 더 많은 자료를 찾으시기 바랍니다.

1. 학위논문
 (1)러시아의 시장경제화와 개발독재론 : 국가와 사회 관계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8615168
 (2)대한민국의 개발과 독재 http://www.riss.kr/link?id=T12114024
 (3)러시아 국가자본주의에 의한 극동지역 개발정책의 적절성 연구 http://www.riss.kr/link?id=T13069001
 (4)한국경제개발과 민주주의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평가 http://www.riss.kr/link?id=T12709988
 (5)국제사회의 북한개발지원과 대안적 지원방안 모색 : 국제적십자연맹(IFRC)의 CAS(Cooperation Agreement Strategy) Program 분석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2154380
 (6)역사교과서 박정희 정권기 경제개발서술과 여성노동문제 : 동일방직 노동조합사건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9976036
 (7)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窮民救濟土木事業'과 지역사회 http://www.riss.kr/link?id=T12578297
 (8)김정일 정권의 붕괴 가능성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0308758

2. 책
 (1)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 : 5·16에서 10·26까지 http://www.riss.kr/link?id=M10998637
 (2)박정희와 개발독재 http://www.riss.kr/link?id=M11391713
 (3)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 우리 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http://www.riss.kr/link?id=M9020955
 (4)개발독재와 재정환상 http://www.riss.kr/link?id=M632
 (5)미래를 여는 한국인史 . 경제[2] , 개발독재 신자유주의 그리고 새로운 세계 http://www.riss.kr/link?id=M12027254
 (6)국민을 위한 권력은 없다 : 박정희 시대, 개발독재 병영국가 http://www.riss.kr/link?id=M13226186
 (7)20세기 이야기 . [1970]년대 , 개발독재, 빛과 그림자 (국내)/ 신음하는 지구(국외) http://www.riss.kr/link?id=M13115889
 (8)박정희 평전 : 개발독재자 http://www.riss.kr/link?id=M14629398

3. 학술논문
 (1)아시아, 특히 한국의 인권 침해와 국가안보 이데올로기 = 개발독재와 인권 http://www.riss.kr/link?id=A2108962
 (2)학문과 정치 현실 :  갈등하며 공존하는 두 세계 http://www.riss.kr/link?id=A40139355
 (3)국가폭력에 대한 저항과 아시아 민주화운동에 대한 고찰 - 광주민주화운동의 아시아권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 http://www.riss.kr/link?id=A100315514
 (4)‘박정희 체제’의 경제적 성과에 관한 비판적 평가 http://www.riss.kr/link?id=A100705991
 (5)한국의 국가 통치전략으로서의 민족주의 http://www.riss.kr/link?id=A82414634
 (6)세계체제, 중국의 동북아전략, 그리고 신의주특구 개방정책의 한계 http://www.riss.kr/link?id=A40099368
 (7)1960~70년대 민주화운동 세력의 민주주의 담론 http://www.riss.kr/link?id=A82413724
 (8)개발독재론 비판 http://www.riss.kr/link?id=A102955490
 (9)發展樣式으로서의 韓國의 開發獨裁 :  作動方式과 論理의 糾明을 中心으로 To Clarify the Way and the Logic of Its Functioning = Korean Developmentalist Dictatorship as Mode of Development http://www.riss.kr/link?id=A19647314
 (10)러시아에서의 개발독재론 재고 http://www.riss.kr/link?id=A76124784
 (11)개발 독재 시기 한국 현대사 서술을 통해 본 현대 러시아의 한국 인식과 자기 인식 http://www.riss.kr/link?id=A101166926
 (12)일반논문 : 남성성 획득의 로망스와 용병의 멜랑콜리아 -개발독재기 베트남전 소설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100590401
 (13)개발 독재 체계의 알레고리 :  1960~70년대 서정인의 소설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75095779
 (14)중앙아시아 개발독재의 패러독스?: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사례의 다면적 분석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82392794
 (15)박정희 정권기 개발독재 비판 :  비교역사사회학적 접근 http://www.riss.kr/link?id=A82597437
 (16)개발독재기 농민의 경제적 생존전략 다시보기: 자본주의-소농사회 접합의 일단 http://www.riss.kr/link?id=A101910413
 (17)나치 독재의 환경정책과 1935년 제국자연보호법의 탄생 http://www.riss.kr/link?id=A99538304
 (18)〈주제 2〉 개발독재와 한국의 불균등 발전의 구조 http://www.riss.kr/link?id=A76187592
 (19)개발독재 시대의 윤리와 부(富) : 광주대단지사건의 텍스트들과 ‘이웃사랑’의 문제 http://www.riss.kr/link?id=A102068927
 (20)개발독재시대로 돌아간 강현욱 도지사의 도정 http://www.riss.kr/link?id=A82378062
 (21)개발공사와 토건국가: 개발독재와 고도성장의 구조적 유산 http://www.riss.kr/link?id=A99533449
 (22)개발독재론 비판 http://www.riss.kr/link?id=A103302863
 (23)개발독재와 인권 :  아시아 , 특히 한국의 국가안보이데올로기와 인권침해 http://www.riss.kr/link?id=A3105515
 (24)개발독재와 일본식 근대화 모델 http://www.riss.kr/link?id=A103224643

영어토론방Home>영어토론방
Total 1,076건 27 페이지
영어토론방 목록
제목내용
686 Education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3/75 
ace나그네 hit:538 11-13
댓글1
685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2/75 
ace나그네 hit:529 11-06
댓글1
684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1/75
ace나그네 hit:468 11-06
댓글1
열람중 Politics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0/75 
ace나그네 hit:529 10-29
댓글1
682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9/75
ace나그네 hit:449 10-23
댓글1
681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8/75 
ace나그네 hit:536 10-16
댓글1
680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7/75 
ace나그네 hit:536 10-16
댓글1
679 Politics
Adjudicator Feedback Series 6/75 
ace나그네 hit:623 10-04
댓글1
678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5/75 
ace나그네 hit:604 10-03
댓글1
677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4/75 
ace나그네 hit:568 10-01
댓글1
676 Histor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3/75 
ace나그네 hit:685 09-17
댓글2
675 Religion
Adjudicator Feedback Series 2/75 
ace나그네 hit:781 09-13
댓글2
674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1/75 
ace나그네 hit:762 11-02
댓글2
673 Notice
(펌글)[YUU Monthly Tournament] 
ace나그네 hit:717 09-04
672 Education
World's Best Judges' Feedback 
ace나그네 hit:894 09-04
댓글1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운영자 SNS커뮤니티


https://www.facebook.com/groups/1987117991524411 https://www.facebook.com/acetraveler12 https://www.facebook.com/FlindersUniversityDebatingSociety https://twitter.com/acetraveler1

https://story.kakao.com/_d36z15 https://band.us/band/72550711 http://cafe.daum.net/acetraveler http://blog.daum.net/acetraveler

https://pf.kakao.com/_xocRxjK https://story.kakao.com/ch/toronsil2001 https://toronsil.tistory.com https://m.post.naver.com/acetraveler

https://blog.naver.com/acetraveler https://cafe.naver.com/toronsilsince2001 https://timeline.line.me/user/_dZVn8dOub0-9zubHJ-7LNDBubziVSzUT0jK3hn0 https://open.kakao.com/o/ghmiAdpc

https://www.instagram.com/acetraveler12 https://www.instagram.com/acetraveler12/channel/ https://www.tumblr.com/blog/toronsil https://www.youtube.com/channel/UChSQEwnxoTgesALkVkL_PKA

https://ameblo.jp/firest12/ http://acetraveler.blogspot.com/ https://www.reddit.com/user/acetraveler12 https://ok.ru/profile/585384389039

https://www.pinterest.co.kr/firest12/%ED%86%A0%EB%A1%A0%EC%8B%A4-%EC%82%AC%EC%9D%B4%ED%8A%B8/ https://vk.com/id614494296 https://vk.com/public198641212

https://tv.kakao.com/channel/3743718 https://www.linkedin.com/in/min-seob-lee-9a1b1729


사이트 정보

대한민국 토론커뮤니티-토론실 대표: 이민섭
☎ TEL 010-7670-7720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12길 37-5, 401호
Copyright © 2001 ~2025 토론실(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
Mail : acetraveler@naver.com

여럿 빠뜨리고 벼락치기로 몰아서 몇 개 올리는 챗 GP…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12일 아침 …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10일 정리 …
미국 연방 대법원 주요 결정 2024년 6월 9일 정리…
프랑스 헌법재판소 (Le Conseil constitu…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2024년 6월 9일 정…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9일 정리 결…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2024년 6월 6일 정리 결…
2024년 6월 1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정…
2024년 5월 30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2024년 5월 27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2024년 5월 26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주요 결정 …
2024년 5월 23일 대한민국 법원 주요 판결 정리 …
(펌글)법무부, ′24년 1차 불법체류 외국인 정부합동…
(펌글)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89.2%로 ‘18년보다…
조규홍 본부장 주재 중앙사고수습본부 제31차 회의 개최…
(펌글)장애인고용공단-아이티센그룹 ‘자회사형 장애인표준…
(펌글)신직업 및 유망산업 분야 현직자의 생생한 취업 …
(펌글)인공지능(AI) 시대의 청년취업, 「고용24」와…
(펌글)(참고) 고용률ㆍ경제활동참가율 3월 기준 역대 …
(펌글)(설명) 환경부는 기후적응법 제정을 추진한 바 …
(펌글)국립공원 암벽장 55곳 합동 안전점검
(펌글)(동정) 제2의 볼티모어 교량 충돌사고 대비한다
(펌글)통일부 북한정보포털 대문 화면
(펌글)2024.4.12. 대한민국 법원 대국민서비스 …
(펌글)발코니 벽 해체에 아랫집 소송···대법원 "위험…
(펌글)전세금 돌려준다 속이고 점유권 이전한 집주인, …
[펌글]국적 잃을뻔한 다문화 남매...대법 "주민등록증…
[펌글]2024. 4. 10. 각급법원(제1,2심) 판…
2022년 12월 9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2월 2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1월 28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22일(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17일(목)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12일(토)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1월 7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1월 4일(금)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10월 17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2022년 10월 10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24일(토), 25일(일) 일기(다이어…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21일(수), 22일(목), 23일(금…
2022년 9월 20일(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2022년 9월 19일(월) 일기(다이어트, 청취력 회…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17일(토), 18일(일) 일기
2022년 9월 18일(일) 일기(체중변화 기록, 20…
(토론실 사이트 펌글)IDS X KIDA Korea 2…
2022년 9월 15일(목), 16일(금) 일기
Copyright © toronsil.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