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4/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2206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TAKE A HARD-LINE APPROACH TOWARDS REGIME REFORM IN SYRIA
Defending: Palestine, Opposing: Latvia
Decision by Adjudicator: maledictus
My vote goes to the Opposition side of the debate, mainly because the Proposition side did not provide with a comprehensive constructive case and did not engage at all with the arguments of the Opposition through refutation. Although the Proposition attempted to provide with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Syria's current system of governance developed in, they did not sufficiently prove a necessity for intervention and they did not clarify which model of intervention they were seeking through their argumentation. Opposition sufficiently pointed out the flaws in the Proposition argument, exposing the lack of analysis that would prove their claims on political stabi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Also, it was a large concession on the Proposition side that the situation is already improving, something that the Opposition side further exploited in their argumentation to show that developing a stable democracy is a time-consuming process that has already started in Syria. As far as the Opposition constructive is concerned, their elaboration on the reality in Syria and how difficult it would be to reconcile the different factions within the country after an intervention sufficiently illustrated the harms from Proposition's case, while they sufficiently showed how Syria, as far as it's internal situation is concerned, is not the only or even the worse case of humanitarian disaster through oppressive governance around the world, therefore there is no sufficient mandat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intervene in this case.
Decision by Adjudicator: Beth
The Opposition team won this debate. Whilst the Proposition team made a reasonable start in convincingly identifying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impetus for a new approach, their characterisation of both the problem and the scope of their mechanism was not sufficiently explained, and important facets of context, necessity and practicability were glossed over. The team also suffered from the entire lack of engagement with any of the points made by the Opposition. The Opposition team's attack on the model was lucid and convincing. The team pointed out weaknesses such as the lack of logical linkage between elements of the problem laid out and the solution the Proposition team alluded to, such as the unsupported presumption that fair elections generate increased investment. In light of having limited constructive material from the Proposition team to address, the Opposition team offered a particularly strong case against the motion, marshalling 'even if' arguments very persuasively. Continuation of such lines of reasoning, taking the Proposition case at its strongest and offering an incisive and well-structured critique around the 'even if' formulation served the team well and is to be encouraged in further rounds. The Opposition team also offered excellent principled analysis of rights claims, which they linked very well to country-specific issues, such as the Emergency Law. The points of the Opposition team were logically structured and eloquently expressed, indeed the case overall and their performance is to be strongly commended. In terms of improvement for future rounds, using a greater quantity of (well-analysed) evidence could be a valuable support to an excellent principled stance.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2206
토론 주제 : 국제 사회는 시리아의 체제 개혁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
찬성 팀 : 팔레스타인, 반대 팀 : 라트비아
심판 판정 : maledictus
찬성 팀이 그들 자신의 포괄적이고도 건설적인 주장을 제시하지 않았고 반박에서 반대 팀의 주장에 대해 전혀 대응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 토론에서 반대 팀에게 투표했다. 비록 찬성 팀이 시리아의 현 정부 체제가 발전해온 과정에 대한 역사적 맥락을 제시하고자 했으나, 그들은 개입의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증명하지 않았고 그들의 주장을 전개하면서 그들이 추구하는 개입 방안을 명확히 밝히지도 않았다. 반대 팀은 정치적 안정성과 경제적 발전에 대한 찬성 팀의 주장을 증명해 줄 만한 분석이 결여되었다는 점을 폭로하며 찬성 팀 주장의 결점을 성공적으로 논파했다. 또한 찬성 팀은 상황이 이미 나아지고 있다고 하면서 크게 양보했었고, 반대 팀이 그들의 주장에서 민주주의가 안정적으로 발전하는 일은 시간이 소모되는 과정이고 이미 시리아에서 시행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서 더욱 강조되었다. 반대 팀의 건설적인 주장들이 보여줬던 것만큼이나, 시리아의 현실과 개입 이후에 시리아 국내에서 서로 다른 당파들이 서로 화해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한 그들의 부연 설명은 찬성 팀 주장에 따르는 손해를 충분히 묘사해냈고, 그들은 시리아의 내부 사정이 문제가 되는 한, 왜 시리아만이 유일한 경우가 아닌지도 또는 전 세계에서 행해지고 있는 또 다른 억압적인 통치로 인한 인도주의적 재난보다 더 심각하지도 않은 상황인지, 그래서 국제 사회가 이 사안에 의무적으로 개입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없다는 점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심판 판정 : Beth
반대 팀이 이번 토론을 가져갔다. 찬성 팀이 새로운 접근을 위한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동력에 대해 신빙성 있게 밝힘으로써 토론을 제대로 시작했지만, 문제의 성격이 무엇인지에 대해서와 그들의 메커니즘이 적용되는 범위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고, 상황의 중요한 국면들과, 필요성과 실행 가능성을 얼버무리고 넘어갔다. 찬성 팀은 또한 반대 팀이 만든 그 어떤 요점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않아서 또한 어려움을 겪었다. 반대 팀이 정책 방안에 가한 공격은 확실했고 납득이 갔다. 반대 팀은 문제를 불러온 요소와, 찬성 팀이 언급했던 공평한 선거가 투자를 증대시킨다는 뒷받침되지 않은 가망과 같은 해결책 사이에 논리적 연결 고리가 없다는 약점을 지적했다. 찬성 팀이 제시했던 건설적인 내용물들이 제한되었기 때문에 반대 팀은 토론 주제에 반하는 특별히 강력한 주장들을 제시했고, ‘만약에 그렇다 할지라도’ 류의 주장들을 정리했던 것이 굉장히 설득력 있었다. 이런 종류의 논증을 계속하고, 찬성 팀의 가장 강력한 주장을 잡아내고, 날카롭고도 잘 조직된 비판을 ‘만약 그렇다 할지라도’ 류의 정당화를 상대로 하는 것은 팀에 도움이 되고 앞으로의 경기에도 필요한 것이다. 반대 팀은 또한 권리에 대한 주장에 대해 훌륭한 이론적 분석을 하고 있고, 그들은 특정한 국가에 관련된 사안들, 이를테면 비상 상황에 대한 법과 굉장히 잘 연결시켰다. 반대 팀의 논점들은 논리적으로 잘 조직되고 우아하게 표현되었으며, 사실 전반적인 주장과 그들의 퍼포먼스는 정말로 마음에 들었다. 앞으로의 경기에서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기 바라며, 보다 많은 양의(잘 분석된) 증거들을 귀중하게 다루어서 훌륭한 이론적 입장을 뒷받침하라.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본 주제에 관련해서 시리아 아사드 정권만 찾으면 자료가 좀 나오는 것 같은데 국제 사회의 개입과 관련지을 경우 국내 자료는 아래처럼 약간 관련성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아쉬운 대로 여러분들이 위 주제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 데 도움될 자료들을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
(1)시리아 밧샤르 아사드 정권의 정치개혁 과정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1147117
(2)(A) Study on the Prerequisites for the Succes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International Conflicts : Legality, Legitimacy and Strategies http://www.riss.kr/link?id=T13840103
(3)유엔의 무기·경제제재에 있어 미국의 주도적 역할 http://www.riss.kr/link?id=T11104575
2. 책
(1)시리아 : 아사드 정권의 40년사 http://www.riss.kr/link?id=M12890184
(2)변환기 국제정세와 한국외교 http://www.riss.kr/link?id=M10893503
(3)기회의 땅 변하는 중동 http://www.riss.kr/link?id=M9880392
(4)이슬람 세계 석유와 좌절뿐인가 http://www.riss.kr/link?id=M13322317
(5)이슬람의 두 얼굴 : 검은 차도르 뒤에 감춰진 이슬람 세계의 베일을 벗긴다 http://www.riss.kr/link?id=M8117381
3. 학술논문
(1)오바마 행정부의 대 중동,헤즈볼라정책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A82503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