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39/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3516
Motion : THE DEATH PENALTY SHOULD BE IMPOSED FOR ACTS OF TERROR THAT CAUSE DEATH
Defending: Bangladesh, Opposing: Colombia
All the Yes points
1. Acting as an example and ensuring Justice
All the No points
1. There are more efficient policies than death penalty
2. we are increasing the hate inside terrorist organizations and the dead person will be seen as a hero that animates their fight.
3. Summary
Decision by Adjudicator: booji
Sharmila's adjudication:
The Opposition team takes the first in this debate. The Defending team outlined their arguments clearly at the beginning of the debate but were less able to defend their initial arguments as the debate progressed and usually simply reiterated their arguments instead of responding to attacks from the Opposition team.
The Defending team partially pegged their case on the assumption that because the death penalty is imposed on murderers, it should also be applied to terrorists. The Opposing team effectively countered this by taking a strong stance against the death penalty in general.
On the issue of deterrence, the Defending team explained that if the state were able to send a strong message against terrorism by instituting the death penalty, terrorists are less likely to commit crimes. The Opposing team’s analysis of the specific motivations unique to terrorists was more sophisticated and persuasive. They argued that terrorists are not deterred by death. In fact, they are willing to use death to increase the impact of their message.
The question of justice and the value of life was a trickier issue to resolve because both teams were not engaging each other’s material as much as they should have. The Defending team argued that victims must terrorists are not entitled to humane treatment because they did not respect the humanity of their victims and are a threat to society. The Opposing team responded by saying the state should not act in the same manner as terrorists because this would undermine its own values such as respect for life. They however needed to explain more thoroughly how rehabilitation can be effective for hardened terrorists.
Lastly, the Opposing team raised a compelling argument about turning terrorists into heroes and inspiring more terrorism if we impose the death penalty on them. This argument was reasonably explained, but it was dismissed by the Defending team.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3516
토론 주제 : 사망자를 낸 테러 행위를 저지른 범죄자들을 사형에 처할 것이다.
찬성 팀 : 방글라데시, 반대 팀 : 콜롬비아
찬성 팀의 요점
1. 사형을 집행하여 본보기를 보이고 정의를 보장해야 한다.
반대 팀의 요점
1. 사형보다 보다 효과적인 정책들이 있다.
2. 테러 조직에 대한 증오만 키울 뿐이고 테러 조직이 사형된 죄수를 영웅시할 위험성도 있다.
3. 요약정리
심판 판정 : booji
Sharmila의 판정 :
반대 팀이 이번 토론의 승자가 되었다. 찬성 팀은 그들의 입장을 초기에 확고하게 제시했으나 토론이 진행되면서 그들의 원래 주장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졌고 반대 팀의 공격에 대응하기보다 그들의 주장만 단순히 반복해서 언급했다.
찬성 팀은 사형 제도가 살인범들에게 적용되는 제도니, 테러리스트들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가정에 부분적으로 기대어서 그들의 주장을 펼쳤다. 반대 팀은 사형 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반대 입장을 강하게 취하면서 이 부분을 효과적으로 반박했다.
억제력에 대해서, 찬성 팀은 만약 국가가 사형제를 통해 테러리즘에 강력히 반하는 메시지를 표명하면, 테러리스트들은 범죄를 보다 덜 저지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대 팀이 테러리스트들만의 독특한 동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한 것이 보다 복잡한 현실을 잘 반영했고 설득력도 있었다. 반대 팀은 죽음이 테러리스트들을 막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사실, 그들은 죽음을 이용해 그들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파장을 증대시킬 의사가 있다.
정의와 관련된 의문들과 생명의 가치는 판정을 내리기 까다로운 이유였는데 왜냐면 양 팀 모두 상대 팀이 제시한 내용물들에 대해서 그들이 해야 했던 것만큼 충분한 수준으로 대응하지를 않았기 때문이다. 찬성 팀은 테러리스트들이 희생자들의 인권을 존중하지 않고 사회를 위협했기 때문에 희생자들이 테러리스트들을 인간적으로 대우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반대 팀은 국가가 테러리스트들이 하는 것과 똑같이 하면 생명을 존중해야 한다는 국가의 고유한 가치를 훼손하기 때문에 국가가 테러리스트들과는 다르게 행동해야 한다고 대응했다. 하지만 반대 팀은 어떻게 재활이 완고한 테러범들에게 효과가 있는지 보다 철두철미하게 설명했어야 했다.
마지막으로, 반대 팀은 만약 우리가 테러리스트들을 사형에 처하면 테러리스트들을 영웅화해버리고 테러리즘을 더욱 고무할 뿐이라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했다. 이 주장은 합리적으로 설명이 이루어졌는데, 찬성 팀이 이 주장을 놓치고 말았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검색어는 '테러', '사형' 입니다. '사망'까지만 넣어도 찾을 수 있는 자료가 그다지 없었습니다. 위 주제는 결국 사형이 범죄 억제 효과가 있는가, 그리고 '살인'에 대해 '사형'으로 대응하는 것이 정당한가 등이 쟁점이 될 수 있습니다. 사형 대신 종신형이라는 것은 사형 반대 측의 단골 논리인데, 테러 단체가 인질을 붙잡고 협상을 한다든가 하는 일이 있다면 사형이란 선택지가 없는 것이 정부 쪽에 오히려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테러 행위를 저지른 범죄자들을 사형에 처하면 테러 조직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얻을 기회를 잃어버릴 수도 있다는 주장을 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테러 조직을 일망타진한 다음 한꺼번에 사형에 처하면 위 문제는 없다는 주장을 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에 관련 자료를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
(1)3ㆍ1운동 이후 일제의 서북지방 기독교 통제와 '선천사건' http://www.riss.kr/link?id=T11770503
(2)中國의 死刑制度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death penalty system of China http://www.riss.kr/link?id=T12292126
(3)2009년 이후 에티오피아에서의 테러리즘, 대테러 그리고 정치적 자유 http://www.riss.kr/link?id=T14570679
(4)테러범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2677751
2. 책
(1)테러.테러리즘.테러리스트 http://www.riss.kr/link?id=M10450001
(2)아웅산 피의 일요일 : 김일성 랭군 테러의 전모 http://www.riss.kr/link?id=M848005
(3)이유 있는 반대 : 사형제, 왜 문제일까? http://www.riss.kr/link?id=M12139765
(4)범죄, 그 진실과 오해 http://www.riss.kr/link?id=M14547342
(5)현대 살인백과 http://www.riss.kr/link?id=M12357181
(6)범죄 그 진실과 오해 http://www.riss.kr/link?id=M13577959
(7)바티칸 대학살 http://www.riss.kr/link?id=M12850850
3. 학술논문
(1)만주경험과 백색테러 : ‘만주 건대사건’의 허와 실 http://www.riss.kr/link?id=A75088447
(2)安重根 裁判'의 問題點과 不當性에 대한 法的 考察= A Legal Approach on Problems and Injustice of the "Ahn Jung-Guen's Trial" http://www.riss.kr/link?id=A60181880
(3)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에 대한 국제법 및 교회법적 접근 http://www.riss.kr/link?id=A101742750
(4)CRIMINAL JUSTICE SYSTEM IN MONGOLIA http://www.riss.kr/link?id=A101891189
(5)해외 테러리스트 조직에 관한 정보 http://www.riss.kr/link?id=A39000017
(6)테러 발생 시 국가 수사권 운용과 관련된 미국의 법률과 사례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204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