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Societ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37/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3521
Motion : CARS SHOULD BE BANNED FROM CITY CENTRES
Defending: China, Opposing: Mexico
All the Yes points
1.On avoiding the inefficiency of commerce as the basic function of City Centre
2.Car uses at CBD is a quintessential example of rational irrationality that takes a toll on the entire society
3.The policy will help the transformation of CBD
All the No points
1.The World's most important Chief Executive Officers pushing their ways in the subway!
2.Increased traffic as a result of the prohibition of cars
3.Workers, living & transportation
4.What commerce in CBDs is really like
5.Status Quo is way better for the problem they try to solve
6.Why banning cars isn’t a smart decision
7.Mxico Summary
Decision by Adjudicator: booji
Very sorry for this being so late. Colm was unable to adjudicate so Neill stepped in:
This was a clear win for the opposition (Mexico), to whom congratulations. The government (China) made a number of fluent arguments and took time to engage with some opposition points. But there were two factors which led them to defeat. Firstly, the problem was not made specific and measurable enough to justify their proposal. Though examples from Beijing and Mexico came in, they were in passing and later in the debate, so it was difficult to know how we should asses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ir idea, from the position we are in now to the position in the future. Secondly, the government failed to engage with later arguments or submit a summary. It seemed they ran out of steam. Opposition did well to point out flaws and inconsistencies. To improve in future rounds, they should avoid debate-talk and just write in clear language that members of the public could enjoy. Expressing ideas simply is a positive attribute. But it was a good performance from opposition. Best of luck in the next round.
Neill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3521
토론주제 : 도심에서 차를 이용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
찬성 팀 : 중국, 반대 팀 : 멕시코
찬성 팀의 요점
1. 상업의 비효율성을 피하는 것이야 말로 도심의 기본적인 기능이다.
2. 중심 업무 지구에서 차를 이용하는 행위는 합리적 비합리성의 핵심 표본이고 전체 사회에 낭비만 될 뿐이다.
3. 이 정책은 중심 업무 지구의 변화를 도울 것이다.
반대 팀의 요점
1. 세계 최고로 중요한 경영자들더러 지하철 타라고 강요하는 셈이다!
2. 자동차를 금지하면 교통량 증가를 부를 뿐이다.
3. 노동자들, 삶 & 교통
4. 중심 업무 지구에서 무슨 상업이 이뤄지고 있는가.
5. 정부 측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보다 좋은 방법은 현 상황을 유지하는 것이다.
6. 왜 차를 금지하는 것이 현명한 결정이 아닌가.
7. 멕시코의 요약 정리
심판 판정 : booji
너무 늦어 정말 미안하다. Colm이 판정할 수 없어서 Neill이 대신했다 :
이번 토론은 반대 팀(멕시코)의 명백한 승리이고, 승자 팀에게 축하 인사를 드린다. 찬성 팀(중국)은 여러 주장들을 능수능란하게 제시하고 반대 팀의 몇몇 요점에 대해 대응하는 시간을 가졌다. 하지만 중국 팀이 패할 수밖에 없었던 요인이 두 가지 있다. 첫째, 그들의 제안을 정당화 할 수 있을 만큼 문제가 충분히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베이징과 멕시코의 사례들이 제시되긴 했지만, 그 사례들은 토론이 한창 진행 될 때나 나중에 가서야 제시되었고, 그래서 우리가 현재 시점에서 미래에 있을 일을 바라볼 때, 그들의 아이디어를 적용했을 경우 성공할지 또는 실패할지의 여부를 알기가 너무 힘들었다. 두 번째로, 찬성 팀은 상대방의 주장에 대응하거나 요약정리를 하는 데 실패했다. 찬성 팀의 동력이 바닥 난 것만 같았다. 반대 팀은 찬성 팀의 문제점과 비일관성을 성공적으로 지적했다. 보다 수준 높은 다음 경기들을 위해서, 반대 팀은 토론 영어로 말하기보다 그냥 대중이 읽고 즐길 수 있도록 분명한 언어로 써줬으면 한다. 아이디어를 간단하게 표현하는 것도 좋은 자질 중 하나이다. 하지만 반대 팀이 토론을 멋지게 수행해 주었다. 다음 라운드에 행운이 가득하길 바란다.
Neill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한국에서는 버스 전용 차로라든가 몇 부제와 같이 자동차 이용을 부분적으로 규제하긴 하지만 위 주제처럼 도심에서 자동차 이용을 전면 금지시켰다는 뉴스는 못 봤습니다. 혹 관련 사례를 보신 분 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래서 '금지', '이용'을 검색어로 포함해서는 영양가 있는 자료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에 검색어로 '도심', '자동차', '교통', '혼잡'을 사용했습니다. 자동차를 못 쓰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자전거/도보 등을 이용해야 할
텐데 과연 이 경우 개개인이 어떤 편리함과 불편함을 느끼느냐가 관건입니다. 그리고 환경 문제와 교통 혼잡 등 사회적인 문제도 위 방안을 실행할지 말지를 놓고 다뤄야 할 사안입니다. 아래에 관련 자료를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
(1)교통정온화 기법을 활용한 중국 구도심 재생에 관한 연구 : -중국 칭다오시의 구도심을 중심- http://www.riss.kr/link?id=T14173858
(2)혼잡통행료 징수제도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7914413
(3)光州直轄市 交通需要 管理對策의 導入方案에 關한 硏究 : 制度的 規則 對策을 中心으로 http://www.riss.kr/link?id=T2283792
(4)주차상한제의 적용에 따른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1183032
2. 책
(1)육상교통수단의 환경성 비교분석 http://www.riss.kr/link?id=M8625651
(2)교통으로 여는 녹색 미래 http://www.riss.kr/link?id=M11756435
(3)울산광역시 대중교통계획 http://www.riss.kr/link?id=M12474736
(4)서울특별시 교통정비중기계획 : 최종보고서 http://www.riss.kr/link?id=M7963626
(5)도시교통론 http://www.riss.kr/link?id=M7410864
(6)광주광역시 대중교통계획 http://www.riss.kr/link?id=M11426481
(7)자전거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의 성과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M12136650
(8)인천광역시 교통혼잡완화를 위한 교통수요관리 방안 연구 http://www.riss.kr/link?id=M9861569
3. 학술논문
(1)미시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교통정책 대안별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 효과 분석 http://www.riss.kr/link?id=A99578973
(2)대도시 지구별 주차문제의 현상과 주차관리 방향의 고찰 http://www.riss.kr/link?id=A99693456
(3)대중교통전용지구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 청계천로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99750932
(4)도시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전시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99693780
(5)서울시 남산 1, 3호 터널의 혼잡통행료 탄력성 추정 http://www.riss.kr/link?id=A99693558
(6)혼잡통행료 부과방안의 효율성과 형평성 분석 : 수도권을 대상으로 http://www.riss.kr/link?id=A99750581
(7)도심진입료 부과방안의 효율성과 형평성 분석 : 수도권을 대상으로 http://www.riss.kr/link?id=A99612668
(8)연구논문 : 도시교통수단의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경제적 유인대책 -광주광역시를 사례로- http://www.riss.kr/link?id=A82676949
(9)서울시 주차상한제의 적용성 개선방안 http://www.riss.kr/link?id=A100123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