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Diplomac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32/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2217
Motion : THE US SHOULD DOUBLE MILITARY AID TO ISRAEL
Defending: Israel, Opposing: USA
All the Yes points
All the No points
1. Context & Opposition Line
2. Increases in aid a roadblock to peace
3. Economically Unsound
4. Pumping Iron to an Aggressor
Decision by Adjudicator: tommyt67
USA win by default. The USA team presented a reasonable enough case though at times their juxtaposition of practical and moral issues seemed awkward if not down right contradictory.
Decision by Adjudicator: nhs
It is disappointing that the Israeli team did not take part. Congratulations USA. Thank you for putting your case. My constructive feedback - to help you in future rounds - is that you should look carefully at how your arguments hang together. If you really believe Israel is an aggressor, surely that's important enough to put in your context/overview? If bringing about peace between Israel and Palestinians is the overriding aim, then why include the argument that America just can't afford it? And why isn't that overriding aim in your context/overview? What about Iran and other actors in the region? Your points should tell a story that makes sense to the reader - and it should seem like the whole story. I would steer away from debating phraseology like "side opposition" and "status quo" and focus on telling a compelling story about the issue. Well done for using evidence - now make the points cohere. NHS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2217
토론 주제 : 미국은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지원을 배가해야 한다.
찬성 팀 : 이스라엘, 반대 팀 : 미국
찬성 팀의 요점
반대 팀의 요점
1. 배경 & 반대 팀의 입장
2. 군사 지원의 증가는 평화를 가로막는다.
3. 경제적으로 불합리하다.
4. 침략자에 대한 지원
심판 판정 : tommyt67
미국이 상대 팀의 기권으로 인해 이겼다. 미국 팀은 비록 그들이 병렬적으로 제시했던 실용적인 사안들과 도덕적인 사안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모순되지는 않았다 해도 뭔가 어색했지만 그래도 충분히 납득할 만큼의 주장들을 제시했다.
심판 판정 : nhs
이스라엘 팀이 여기서 아무것도 안했다는 데 실망했다. 미국 팀에게 축하 인사를 건넨다. 주장을 제시해줘서 고맙다. 내 건설적인 조언은 - 미국 팀이 앞으로 있을 경기들을 잘 하도록 돕기 위한 - 미국 팀 자신들의 주장이 어떻게 서로 잘 들어맞는지 신경을 써야만 한다는 것이다. 만약 미국 팀이 이스라엘을 침략자라고 정말 믿는다면, 배경 설명이나 개괄에 이 부분이 당연히 들어가야 할 만큼 중요하지 않은가? 만약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 측 사이에 평화를 안겨 주는 게 정말 중요한 목표라면, 왜 미국은 단지 그 문제의 해결을 도와줄 여유가 없다는 주장이 나오는가? 그리고 왜 이런 중요한 목표가 반대 팀의 배경 설명이나 개괄에 등장하지 않는가? 이란이나 해당 지역의 다른 주요 행동 주체들에 대한 언급은 어디 있는가? 반대 팀의 요점들은 독자가 납득할 만한 이야기를 제시해야 한다. - 그리고 그 이야기가 전체를 포괄하는 얘기로 보여야 한다. 나 같으면 “반대 측”이나 “현 상황”과 같은 전문적인 토론 용어로부터 벗어나서 해당 사안에 대한 설득력 있는 이야기를 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 증거 사용은 잘 했다. - 이제 당신들의 요점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만들어라. NHS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미국과 이스라엘까지만 검색하면 관련 자료가 많을 것 같은데, '국방', '군사', '방위', '군대'라는 추가 검색어를 4개를 돌려가며 사용해서야 겨우 아래 자료들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학술논문 쪽이 찾기 어려웠습니다. 위 토론도 재밌는 것이, 토론 주제 당사국 출신들인 이스라엘 팀과 미국 팀이 토론을 하는 데 이스라엘 팀이 기권했던 상황입니다. 미국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이스라엘을 지원함으로써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지역 안정화에 큰 도움이 된다는 식의 서술을, 이스라엘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미국의 지원이 있어야 보다 강력한 억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식의 서술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 토론에서는 미국 팀 입장에서 이스라엘 지원을 늘리는 것에 왜 반대하는가에 대한 근거만 나왔는지라 별 의미없습니다. 아래에 관련 자료를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
(1)한국과 이스라엘 방위산업에 관한 비교 연구 : 국방과학기술.방산수출 분야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4427905
(2)중간세력국가의 안보환경과 전력구조 : 이스라엘 대만 한국의 사례 비교연구 http://www.riss.kr/link?id=T8136369
(3)한국과 이스라엘 방위산업에 관한 비교 연구 : 국방과학기술.방산수출 분야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4427905
2. 책
(1)이스라엘 : 피와 땀의 나라 http://www.riss.kr/link?id=M1133341
(2)중동의 미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http://www.riss.kr/link?id=M13836578
3. 학술논문
(1)이스라엘 · 미국 및 북한 · 중국 동맹의 안보딜레마 비교 : 정치주도형 안보파트너십 모형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825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