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Culture Adjudicator Feedback Series 48/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3547
Motion : GOVERNMENTS SHOULD FUND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THAT ACTIVELY PROMOTE INDIGENOUS LANGUAGES AND CULTURES
Defending: Mexico, Opposing: Mongolia
All the Yes points
1. Multiculturalism is important to build a strong nation
2. Only way to understand indigenous cultures is preserving them
3. Protecting national culture so the future generations can enjoy and learn from them
4. Government intervention is needed to preserve these valuable pieces of culture
5. Yes, cultural activities actively promote and make indigenous culture public, make people more aware of indigenous culture.
6. What so far has been probed
7. Mxico Summary
All the No points
1. Promotion of indigenous marriages is harmful to future generations
2. Sacrificial Depiction in art can not be actively promoted
3. Funding study and education of indigenous culture is obviously more important than funding activities:
4. Government fund should be spent on health care for indigenous people
Decision by Adjudicator: booji
1st Place (winner) Proposition Mexico
2nd Place Opposition Mongolia
This debate suffered a little from the start through confusion between the two sides over exactly what was being discussed. However, Proposition had made some effort to define and that should have been the end of the issue. It was disappointing that so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the preservation of language with both side only really devoting one argument to it when, in many ways, it is the heart of this issue.
Opposition's rebuttal was okay but their own arguments suffered from what's termed willful misunderstanding. Clearly nobody was suggesting revoking laws on murder or human trafficking and such an interpretation moved their argument away from the real areas of clash. Again this could have been avoided had more attention been paid to the issue of language.
Overall there was some good use of factual knowledge and some interesting argumentation. On a point of style, I should note that in a closer debate the use of what is termed ad hominem comments (attacking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idea). This is absolutely against the rules and should be avoided.
Op's strongest argument was that if governments are going too spend money on indigenous peoples it should be on healthcare and education (although prop responded to this well). This argument should have come out from the start and not have been squeezed into the conclusion. Both sides would benefit from a more considered weighting of their arguments start with the strongest.
NB
Nick also asks me to point to rule 1.1.1 Each debate will consist of two teams of as many persons as wish to be involved, up to a maximum of ten (persons will be known as "Debaters").
"It didn't have any effect on the adjudication but they should be aware of it in future"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3547
토론 주제 : 정부들은 토착민들의 언어와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예술과 문화 활동에 자금을 지원해야만 한다.
찬성 팀 : 멕시코, 반대 팀 : 몽골
찬성 팀의 요지
1. 다문화주의는 강국 건설에 중요하다.
2. 토착 문화를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들을 보존하는 것이다.
3. 민족 문화를 보호함으로써 후세들이 그것들을 즐기고 배울 수 있게 하자.
4. 정부 개입은 이런 가치 있는 문화들을 보존하는 데 필수적이다.
5. 예, 문화 활동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토착 문화를 대중화시킴으로써, 사람들이 토착 문화를 보다 접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6. 지금까지의 조사 결과
7. 멕시코의 요약정리
반대 팀의 요지
1. 토착 문화의 장려는 미래 세대에게 해악을 끼친다.
2. 희생 의식을 그린 예술 작품들을 장려할 수는 없다.
3. 토착 문화에 대한 연구와 교육에 대한 자금 지원이 토착 문화 활동 그 자체에 대한 자금지원보다 명백하게 더욱 중요하다:
4. 정부의 자금 지원은 토착민들에 대한 공공 보건에 쓰여 져야 한다.
심판 판정 : booji
1등 (승자 팀) 찬성 팀 멕시코
2등 반대 팀 몽골
이번 토론은 시작부터 양 팀이 정확히 무엇을 놓고 토론하는 지 약간 불분명해서 이해하기가 좀 힘들었다. 하지만, 찬성 팀이 이번 이슈가 부각된 목적에 관해서 정의하고자 하는 노력이 어느 정도 있었다. 이슈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었던 언어의 보존에 대해서 양 팀 모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겨우 1개의 주장 정도만이 연관되어 있었다는 데 대해 실망했다.
반대 팀의 반박은 괜찮았지만 그들 자신의 주장은 오해를 부를 소지가 다분했다. 분명히 누구도 살인이나 인신매매에 관련된 법을 폐지하자고 주장한 적이 없고, 그런 해석은 그들의 주장을 토론의 쟁점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들었다. 다시 말해서 언어에 관련된 사안에 조금만 주의를 더 기울였어도 피할 수 있는 문제였다.
전반적으로 사실적 지식을 잘 이용한 사례가 조금 보이고 몇몇 흥미로운 주장들도 제시되었다. 내용 전달 방식의 경우, 이번 토론이 인신 공격성 발언들(주장이 아닌 개인을 공격하는 것)로 얼룩진 것을 발견했다. 이는 변명의 여지가 없는 규칙 위반이며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반대 팀이 제시했던 가장 강력했던 주장은 만약 정부들이 보건과 교육 문제에 써야 할 돈을 토착민들에게 너무 많이 쓰고 있다는 것이다(비록 찬성 팀이 이 주장에 잘 대응하기는 했지만 말이다). 이 주장은 토론 도입부부터 다뤄졌어야 했고 결론 부분에 와서야 관철하려고 해서는 안 되는 것이었다. 양 팀 모두 그들의 주장을 보다 강화시키는 것에서 득을 볼 것이다 - 가장 강한 주장으로부터 시작하라.
NB
Nick은 나에게 각 토론은 가급적 많은 희망자들이 참가하는 두 팀에 의해 구성되어야 하며, 최대 참가 가능 인원수(여기서 말하는 인원들이란 토론자들을 지칭한다.)는 한 팀 당 10명이다 라고 규정한 규칙 1.1.1에 대해 문의했다.
"해당 규칙을 문의했다는 사실은 판정에는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았지만 토론자들이 앞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한국에 다양한 지역 방언이 있다고는 하지만 '한국어'라는 큰 테두리로 묶이기 때문에 '언어 보존'을 검색어로 활용할 경우 관련 자료를 찾기 어려웠습니다. 그렇다고 외국인 이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기에는 흔히 생각할 수 있는 필리핀/베트남/말레이시아 등의 나라 언어가 멸종 위기 언어라고 생각하기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저출산과 수도권 집중으로 인해 소멸 위기에 놓인 지방자치단체들이 꽤 되고, 지역이 소멸하게 되면 그 지역의 문화도 같이 소멸하기 때문에 검색어를 '문화', '자금', '지원', '예술', '지역', '지방'으로 하여 아래 자료들을 찾았습니다. 정부가 직접 지역 문화를 지원하는 것이 지역 문화를 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인가, 그리고 지역 문화를 살릴 수 있다고 한다면 그렇게 살린 지역 문화가 한국 전체의 문화 발전에 득이 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문화가 등장하는 것을 막는 기회 비용으로 작용하는가 등이 쟁점이 될 수 있습니다.
1. 학위논문
(1)지역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문화예술 정책방향에 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3257843
(2)우리나라 문화예술 진흥정책과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경남 합천지역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0912159
(3)지방분권시대의 지역영화진흥정책 연구 :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정책 및 영화진흥정책 비교분석을 통하여 http://www.riss.kr/link?id=T13248006
(4)지역문화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광주비엔날레 사례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1650569
(5)지속가능한 주민참여형 예술창작공간 연구 : 부산시민공원 문화예술촌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4212627
(6)지역문화재단의 재원확충 방안 연구 http://www.riss.kr/link?id=T13414047
(7)대구광역시 문화공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대구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8978644
(8)대구문화재단의 설립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http://www.riss.kr/link?id=T11584563
(9)지역발전을 위한 지역문학관 활성화 정책연구 http://www.riss.kr/link?id=T12909132
(10)지역개발을 위한 사회적자본 육성방안 http://www.riss.kr/link?id=T12164740
2. 책
(1)(지방정부 문화담당자들을 위한) 문화기획 편람 http://www.riss.kr/link?id=M9482610
3. 학술논문
(1)지방 문화예산 재정 분석을 통한 지방문화 발전방향 http://www.riss.kr/link?id=A102116312
(2)地域活性化를 위한 文化이벤트의 觀光資源化 戰略에 관한 硏究 : '春川人形劇祭' 사례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75005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