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Economy Adjudicator Feedback Series 44/75
페이지 정보

본문
Debate Topic1: Do you agree or disagree the below motion? Why/Why not?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3511
Motion : MINIMUM PRICE GUARANTEES TO COTTON FARMERS SHOULD BE OUTLAWED.
Defending: USA 2, Opposing: Uzbekistan
All the Yes points
1. Impact on Distortion of International Markets
2. Government Reliance and Tokenism
3. Longer Term Solutions Work Better
4. MPG's Always Lead to Overproduction
5. Longer Term Solutions Solve Opp's Problems
6. USA2 (Proposition) Summary
All the No points
1. test 1
2. Ensuring stable development
3. Summary
Decision by Adjudicator: booji
Sorry for the delay, I had thought Nick had put this up as well as sending it to me and Neill: Nick Bibby's decision:
1st Place (winner) Opposition Uzbekistan 2nd Place Proposition USA 2
Let me start with a technical point, this was a clear victory for Opposition, had it been closer, writing in the definition box would have cost them the debate. However opposition controlled the debate from the start with clearer logic, a more international perspective and a use of fact that supported their arguments rather than swamping them.
Two general points which apply to both sides: try and keep citations as recent as possible, matter should be used to support arguments not to replace them. Additionally, think about what arguments the other side is missing before developing you own case.
One major area of clash that was missing from this debate was that of cotton per se. Proposition devoted one sentence to the fact that in the poorest of countries growing things that people can't eat is a waste of resources. There was also some confusion over the nature of a developing country when Opposition is talking about Bukino Faso and Mali, replying with China, India and Brazil are poor counter-examples.
It may be useful to focus on one argument that came later in the debate and was a little weak on both sides but illustrates two problems than ran on both sides. Opposition argued that there was no tension betwee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ubsidy as the US did the most of both. This highlights the distinction between correlation (two things happening at the same time) and causation (one thing causing another). Clearly the US can afford to do both, Mali can't. Equally Proposition responded by saying, in terms of capacity building, that “A centralized approach would be cheaper & more effective”, that's a massive claim and would need a huge amount of evidence where none was provided. This is assertion. They're both fairly common mistakes but worth avoiding.
NB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3511
로론 주제 : 면화를 재배하는 농부들에게 최저 가격을 보장해주는 법률은 폐기되어야 한다.
찬성 팀 : 미국 2, 반대 팀 : 우즈베키스탄
찬성 팀의 요점
1. 국제 시장의 왜곡
2. 정부 의존과 형식주의
3. 더 일을 잘할 수 있는 장기적인 해결방안
4. 최저 가격 보장은 항상 과도한 생산으로 이어진다.
5. 반대 팀의 문제를 해결하는 장기 방안
6. 미국 2(찬성 팀) 요약정리
All the No points
1. 시험 1
2. 안정된 발전의 보장
3. 요약
심판 판정 : booji
늦어서 미안하고, Nick이 이번 일 때문에 나와 Neill을 보내는 일을 성가셔했다 : Nick Bibby의 판정 :
1등(승자 팀) 반대 팀 - 우즈베키스탄, 2등 찬성 팀 - 미국 2
기술적인 요점들부터 시작하자면, 반대 팀의 확실한 승리였고, 더 구체적으로 들여다 보자면, 정의 란에 썼던 것들이 찬성 팀에게는 토론에서 악재로 작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반대 팀이 보다 분명한 논리로 토론을 시작하면서 주도권을 잡았고, 그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보다 국제적인 시각과 사실들의 사용으로 이야기가 삼천포로 빠지지 않았다.
2가지의 전반적인 지적을 양 팀 모두에게 할 수 있다. : 최대한 최신의 정보를 인용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내용물들은 주장들을 뒷받침해야지 주장을 대체해서는 안 된다. 여기에 추가해서, 자기 팀의 주장을 전개하기에 앞서서 상대 팀이 어떤 주장을 빼먹었는지 고려하라.
이번 토론에서 논의되지 않았지만 쟁점이 되었어야 할 중요했던 부분은 면화 그 자체에 관련된 것이다. 찬성 팀은 길러놓은 면화들을 가장 가난한 국가의 국민들이 먹을 수 없다는 것은 자원 낭비라는 사실을 한 문장으로 언급해서 약간이나마 기여하긴 했다. 개도국의 상태와 관련해서 약간의 혼선이 있었다 - 반대 팀이 부르키노파소와 말리를 얘기한 등시에, 중국과 인도, 그리고 브라질을 반례로 제시했던 게 빈약했다. 토론 끝 부분에 제시된 하나의 주장에 초점을 맞췄다면 보다 나았을 것이고 양 팀 모두 2가지 문제를 제시했지만 좀 약했다. 반대 팀은 기술적 발전과 미국의 보조금 지원이 대체로 갈등 관계에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는 연관성(동시에 발생했던 두 가지 사항)과 인과 관계(하나가 다른 일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분명하게 밝혀주었다. 확실히 미국은 둘다 할 수 있지만, 말리는 못한다. 찬성 팀이 이에 대응하면서 말하기를, 능력 향상 문제에 관해서, “중앙집중화된 접근방법은 보다 값싸고 보다 효과적이다” 는 것은 굉장히 광범위한 주장이었고 엄청난 양의 증거로 뒷받침되었어야 했지만 아무것도 제시되지 않았다. 이건 증명 안 된 단언이었다. 양 팀 다 상당한 정도로 공통된 실수를 저질렀지만 충분히 피할 수 있었다.
NB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검색어는 '농산물', '가격', '최저', '보장'입니다. '면화'를 검색어로 넣었을 때는 관련 자료를 찾기 어려웠는데, 대한민국 농업계에서 면화라는 단일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그렇게 크지 않거나, 농업 관련 학계에서 면화에 대한 최저 가격 보장에 덜 관심을 기울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위 주제가 토론 논제로 나왔다는 것은 면화를 주력 생산품으로 삼는 농업국에서라면 충분히 사회 문제가 될 수 있는 사안이고 해당 국가의 학계가 연구를 했을 것이란 이야기도 되기 때문에 해외 자료를 뒤지면 좀 더 관련성 높은 자료를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한국 상황과 무관한 채로 내버려두긴 그래서, 면화라는 특정 품목이 아니라 한국의 농업 보호 정책 전반과 연결 시켜서 검색어를 선정했고, 그렇게 해서 찾은 참고자료들을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
(1)친환경농산물 도매시장유통의 거래방식 및 운영방향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1200061
(2)농지연금 적용을 위한 농촌노인가구의 생계비 추정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2344273
(3)한국의 국가안보를 위한 식량확보 방안 연구 http://www.riss.kr/link?id=T12261757
(4)施設園藝農業의 收益性 增大方案 http://www.riss.kr/link?id=T8886454
2. 책
(1)UR 紛爭解決制度 硏究 : GATT 事例를 中心으로 = (The) Study of UR dispute settlement : Gatt cases and others http://www.riss.kr/link?id=M3354104
3. 학술논문
(1)채소류 수급안정 관련 지방자치단체 협력 방안 http://www.riss.kr/link?id=A103043959
(2)경남의 친환경농업 활성화와 지역농식품체계 구축 http://www.riss.kr/link?id=A100565262
(3)미국의 농업보조금 정책 http://www.riss.kr/link?id=A82422073
(4)농산물 계약재배 정책에 관한 한,일 비교 고찰 http://www.riss.kr/link?id=A99902522
(5)마늘.양파의 가격동향(價格動向)과 변동(變動)패턴 분석(分析) http://www.riss.kr/link?id=A100187846
(6)중국 도농격차 심화의 원인과 해소를 위한 주요정책 http://www.riss.kr/link?id=A101990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