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Politics Adjudicator Feedback Series 52/75
페이지 정보

본문

토론 주제 1 : 아래 주제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각각의 입장을 취했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
Debate Topic 2 : If you translate below English adjudication feedback to Korean,what is the desirable wayof translation? Does 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original English contexts and grammar as much as possible?Orthetranslation should reflect the grammar and contexts in Korean?
토론 주제2: 아래의 심판 판정문 원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원문의 문법과 맥락, 의미에 보다 충실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한국어로 번역하는 이상 한국어 문법과 맥락에 맞게바꾸는 것이 바람직한가?
Discussion Topic : How can you translate better than below 1st Korean draft? Please suggest your alternative translation.
토의 주제 : 아래의 한국어 번역문보다 어떻게 더 나은 번역을 할 수 있겠는가? 대체할 만한 번역문을 제시해보시오.
http://debatewise.org/debates/3542
Motion : WHEN A NATION SECEDES THE RICHER PART SHOULD BEAR THE COSTS OF SEPARATION
Defending: Czech Republic 2011, Opposing: Scotland
All the Yes points
1. Paying the costs by the richer is just
2. Importance of right for self-determination
3. Increase of development
4. Improve future relations
5. Preventing conflicts
6. The utopia of the idea of separation
7. Czech Republic Summary
All the No points
Decision by Adjudicator: valkanne
The proposition rather obviously wins this debate.
Some feedback on the position and arguments: The clarifications at the beginning were strong and necessary. Some of the arguments that came after could have used the same clarification between one the one hand - arguments that support the case in which a poorer part of the nation wants to secede - and on the other hand when the richer nation wishes to secede. For example, the arguments about the economic future (which will be better) do not distinguish very clearly between both situations and probably should.
The argumentation in the first point does not conclusively show why a country where the poorer nation wishes to secede, but where the richer nation is not (or largely not) responsible for the poverty in the other nation should bear these costs. You do a good job of showing that this is basically always the case, and probably should just skip the more generic argumentation of "it is always good to help someone who is poorer" given that it does not prove why this particular richer nation should pay for these costs
Lastly, you do need to watch out with the consistency of your argumentation: it is problematic to state on the one hand that the richer part exploits the poorer part and on the other that the fact that the rich part sends the poor part money means that they do not develop as strongly as they could otherwise.
Overall your use of examples is very good, although it could be more detailed at times and the case was well set up. Well done - and good luck the next round!
<번역자 : 이민섭>
http://debatewise.org/debates/3542
토론 주제 : 국가가 분리 독립할 때 부유한 분리 독립한 국가들 중 보다 부유한 국가가 분리 독립의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찬성 팀 : 체코 공화국 2011, 반대 팀 : 스코틀랜드
찬성 팀의 요점
1. 보다 부유한 국가가 비용을 부담하는 것은 정당하다.
2. 자기 결정권의 중요성
3. 개발의 증대
4. 미래 관계의 우호적 증진
5. 갈등 예방
6. 분리 독립이란 유토피아
7. 체코 공화국의 요약정리
반대 팀의 요점
심판 판정 : valkanne
찬성 팀이 이번 토론의 명백한 승자다.
입장과 주장들에 대해 몇 가지 피드백을 하자면 : 토론 도입부에서 구체화된 설명이 하는 역할이 굉장히 막중하다. 한 편으로 한 국가의 가난한 지역이 분리 독립을 원하고 - 다른 한 편으로 부유한 지역도 분리 독립을 원해서 서로 분리 독립을 원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관련되어 주장 몇 개가 이어서 나왔다. 예를 들어, 경제적 미래(전망이 밝다)에 관련된 주장은 위에 제시했던 상황들과 뚜렷이 구분되어야 하는 데 그러지 않았다.
첫 번째 주장은 가난한 지역이 분리 독립을 원하는데 부유한 지역은 분리 독립을 원하지 않을 경우, 왜 가난한 지역의 사람들을 위해 다른 지역이 이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지 결론적으로 보여주지 않았다. 찬성 팀은 이런 경우가 거의 항상 일어나는 일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은 언제나 좋은 것이다.’와 같은 상투적인 얘기는 하지 말고 왜 부유한 국가가 이 문제에 있어서 비용을 부담해야만 하는 지에 대한 증명을 해야 했는데 못했다.
마지막으로, 주장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한편으로 부유한 지역이 가난한 지역을 착취한다고 얘기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가난한 지역이 부유한 지역만큼 개발이 안됐다는 이유로 부유한 지역이 가난한 지역에 돈을 주고 있다고 얘기하는 것은 문제 있다.
비록 보다 세부적이고 잘 설계된 주장 제시가 가능했겠지만 전반적으로 사례 제시가 좋았다. 잘했다. - 다음 경기에서 보겠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ace나그네님의 댓글
ace나그네 작성일
'국가', '분리', '독립'까지는 공통 검색어지만 '경제', '부담', '비용' 등은 따로 따로 써서 찾은 참고자료들이 아래와 같습니다. 공통 검색어까지만 쓸 때는 참고자료가 넘쳐났지만, 국가 간 빈부 격차 등과 연관시켜서 이를 해소하는 방안에 이르는 학술자료는 찾기 어려웠습니다. 두 국가가 서로 분리되고자 할 때 부유한 쪽이 먼저 분리되고자 했는지, 가난한 쪽이 먼저 분리되고자 했는지에 따라 나올 수 있는 주장이 달라지기는 합니다. 부유한 쪽이 분리되고자 할 경우는 부유한 쪽이 국가라는 틀을 깬 책임이 있기 때문에 가난한 쪽에서 '이혼에 책임 있으니 위자료 내놔라'는 식의 주장을 할 수도 있겠으나, 가난한 쪽이 분리되고자 할 경우는 스스로 선택한 결과니 책임져야 하는 것 아닌가 싶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많은 경우, 가난한 쪽이 먼저 분리되고자 할 경우는 이전에 식민지였다든가, 억압을 받았다든가, 민족, 종교 등의 차이로 타 지역과 갈등이 심한 경우이기 때문에 '식민 배상금'이나 다른 명목을 붙여 위 토론 주제에 찬성하는 입장에 설 수도 있습니다. 반대하는 쪽이야 분리한 이상 각자 사는 것이란 이야기도 할 수 있고 내놓을 수 있는 주장은 많습니다. 아래에 관련 자료를 소개합니다.
1. 학위논문
(1)중국의 티베트 분리독립에 대한 대응정책 http://www.riss.kr/link?id=T11560427
(2)싱가포르의 경제성장동인 분석 : 발전국가모델 분석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9893811
(3)중국 신쟝(新疆)위구르자치구 분리독립운동의 변화 http://www.riss.kr/link?id=T7766974
(4)이라크와 터키 쿠르드족 민족분쟁에 관한 연구 : -분리독립운동단체 KDP와 PKK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3737260
(5)저항의례를 통해 본 카탈루냐 독립운동 : 참여주체의 확장과 운동의 일상화 http://www.riss.kr/link?id=T13925892
(6)유럽 통합 과정에 나타난 지역주의 : 스코틀랜드 민족주의 정당 사례연구 http://www.riss.kr/link?id=T10781930
2. 책
(1)새로운 러시아 : 독립국가연합 http://www.riss.kr/link?id=M29996
(2)싱가포르 : 동남아의 선진복지국가 http://www.riss.kr/link?id=M3874231
3. 학술논문
(1)인도의 독립과 마하트마 간디의 죽음 http://www.riss.kr/link?id=A99767189
(2)오스트레일리아의 포스트식민성과 인종주의 국가의 탄생 http://www.riss.kr/link?id=A103148732
(3)남태 말레이무슬림의 분리주의운동 : 변화와 연속 http://www.riss.kr/link?id=A30079175
(4)캐나다 퀘벡주의 분리독립 문제와 불어권국가연합기구(O. I. F.)의 향후 위상 전망 http://www.riss.kr/link?id=A76125419
(5)불어권 국가연합지구 (OIF) 의 정치적 위상과 캐나다 퀘벡주의 분리 독립 문제 http://www.riss.kr/link?id=A103206102
(6)마르꼬스 권위주의 체제와 Moro 분리독립운동 http://www.riss.kr/link?id=A76465338
(7)마르꼬스 권위주의 체제와 Moro 분리독립운동 http://www.riss.kr/link?id=A2078463
(8)약소국의 자주외교전략 : 유럽 사례를 통해 본 가능성과 한계 http://www.riss.kr/link?id=A45019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