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me>영어토론방 |
Environment The 38th NDT Final Adjudication
페이지 정보

본문
You can see the original debate and adjudication text in Austin J. Freeley(1986, pp. 345~410).
The debate topic of the NDT Final is 'Resolved: That any and all injury resulting from the disposal of hazardous waste in the United States should be the legal responsibility of the producer of that waste'. The Key terms of above topic are 'any and all', 'injury', 'disposal of hazardous waste', 'in the United States', 'legal responsibility', 'producer of that waste'. The key clash of this debate is 'Even if the case in when the causal link between some injury and some hazardous waste is not clear, do we still require responsibility to the producers of the waste?' To help your further understanding, I introduce the Korean academic resources.
1. 학위논문
(1)國際法上 原子力事故로 인한 國家責任에 관한 硏究 http://www.riss.kr/link?id=T13246766
(2)海洋汚染防止를 위한 國際協約 및 國內法의 改善方向에 관한 고찰 http://www.riss.kr/link?id=T1554376
(3)憲法上 環境權의 實現方案 = The Implementation Measures of the Constitutional Environmental Rights http://www.riss.kr/link?id=T10699577
(4)원자력 안전규제 및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의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2382075
(5)우리나라 환경법상 토양오염에 관한 법적 고찰 : 독일 환경법상 Altlasten법제와 비교하여 http://www.riss.kr/link?id=T10922598
(6)환경범죄의 효율적 규제를 위한 개선방안 http://www.riss.kr/link?id=T14444467
(7)환경규제법제 상 이산화탄소 스트림 (CO₂Stream)의 법적 성질과 누출피해 시 구제수단에 대한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정책의 시행을 배경으로 http://www.riss.kr/link?id=T14373294
(8)美國의 綜合環境對處補償責任法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 Response compensation and Liability Act in U.S.A http://www.riss.kr/link?id=T7324602
(9)土壤環境保全法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 土壤環境侵害에 대한 法的 責任을 중심으로 = (The) problems of soil environmental protection act and its improvement : legal responsibility for soil environment deterioration http://www.riss.kr/link?id=T8219226
(10)環境損傷으로 因한 國際責任과 國際犯罪 http://www.riss.kr/link?id=T13247082
(11)土壤汚染淨化責任에 관한 公法的 硏究 : 美國의 Superfund Act를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Liability for Cleaning up Contaminated Land to Public Law http://www.riss.kr/link?id=T3833667
(12)토양오염에 대한 민사책임과 정화책임 http://www.riss.kr/link?id=T14020324
(13)공법상 토양오염책임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3439016
(14)미국의 엄격책임에 대한 고찰 http://www.riss.kr/link?id=T11753277
2. 책(관련된 책이 너무 많아 몇 개만 샘플로 제시하오니 더 많은 책을 찾고자 하는 분들은 www.riss.kr에서 관련 내용을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1)환경관련법규 및 실무지침 http://www.riss.kr/link?id=M10214283
(2)環境法 http://www.riss.kr/link?id=M12726639
(3)토양환경사법론 http://www.riss.kr/link?id=M13597925
(4)環境法 http://www.riss.kr/link?id=M13425790
(5)환경법 http://www.riss.kr/link?id=M9250335
(6)로스쿨環境法 http://www.riss.kr/link?id=M14018493
(7)(알기쉬운) 환경법 http://www.riss.kr/link?id=M11277312
(8)環境法 : 問題·判例 http://www.riss.kr/link?id=M10872276
3. 학술논문
(1)원자력에너지에 대한 미국법의 대응과 시사점 http://www.riss.kr/link?id=A100082184
(2)일본의 방사능오염수 해양배출에 대한 국제책임 연구 http://www.riss.kr/link?id=A60014677
(3)이슈 : 환경책임법 주요내용과 보험제도 운영방안 고찰 http://www.riss.kr/link?id=A100681490
(4)토양환경보전법 책임체계의 새로운 방향 http://www.riss.kr/link?id=A76364094
(5)기업의 환경책임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철강부지 오염에 대한 정화책임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82388405
(6)현행법상의 環境汚染에 대한 企業의 責任 = The Legal Responsibility of the Enterprise for the Environmental Pollution http://www.riss.kr/link?id=A30035211
(7)토양환경보전법의 무과실책임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관한 소고 : 위험오염부지의 소유자 등에 대한 책임귀속의 문제를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A99959397
(8)폐기물매립후 토지가 전전유통된 경우 최후계약당사자간의 채무불이행책임원 - 대법원 2016.5.19. 2009다66549 판례를 중심으로 - http://www.riss.kr/link?id=A104987819
(9)자신의 토지에 토양오염을 유발하고 폐기물을 매립한 자의 불법행위책임-대상판결: 대법원 2016.5.19. 선고 2009다66549 전원합의체 판결- http://www.riss.kr/link?id=A103260225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